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7 09:30:35
Name Alfine
File #1 CB2B1661_93BF_4B4D_9D48_C29878F80D48.jpg (523.6 KB), Download : 432
Subject [질문] 러닝 더 빠르게 달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개인 최장 거리 러닝 (지난 주) 입니다.

각 잡고 뛴 건 아니지만 뭐 기록?이 크게 다를 것 같진 않아요

암튼 150~160 심박수 구간보다 심박수 넘어가면 달리기가 너무 힘들어서

어제 130 심박수 구간으로 달려봤는데 730 페이스가 나오더라구요

인터넷에서 슥 보기로는 120~130 심박수 구간으로 계속 달려봐야한다던데

어떻게 훈련하는게 좋을까요??

목표는 하프마라톤 / 가능하면 마라톤 해보기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민들레
24/06/17 09:58
수정 아이콘
달리기를 하고나서 다리가 힘들면 lsd 숨이 모자르면 인터벌 인것 같습니다.
24/06/17 09:59
수정 아이콘
저 페이스로 뛰면 숨이 차는 느낌은 거~의 없고 근육이 힘들다는 느낌인데 LSD 해보겠습니다!
24/06/17 10:27
수정 아이콘
하프랑 풀이 목표시면 일단 35km까지 거리를 늘려 놓고 그다음에 지속주로 속도를 올리면 됩니다
심박 150으로 35km 가능할 때까지 조깅만 하다가 그 이후에는 주 3회 조깅 주 1회 역치 지속주 하세요
24/06/17 10:52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경험으론 케이던스 올리는 게 속력 올리는데 제일 도움이 되더군요

저는 가민포러너 뮤직 245 썼는데 스포티파이 플레이리스트 동기화할 수 있어서 170 bpm 음악들만 넣어놓은 플레이리스트 들으면서 뛰고 했습니다
의문의남자
24/06/17 12:08
수정 아이콘
동호회 활동 하면서 같이 뛰는것도 방법 입니다.
24/06/17 13: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러닝 시작하신지 일년 넘으셨나요?

마일리지를 기본적으로 좀 많이 쌓아야합니다

600~ 630 조깅으로 10키로씩 일주일에 최소 3번이상 뛰시고 조깅끝나고 마지막에 4분 플랫 정도나 그보다 더 빠른 전력질주 몇개 해주세요!!

몇번 하시다보면 심박이 눈에 띄게 안정될거에요


저도 러닝 시작한지 한 6개월 정도 된 런린이 이고.. 10키로 48분정도 뛰는데 인터벌보다 양극화 훈련을 하는게 초심자가 부상 없이 실력을 키우는데 가장 좋다고 하더라고요

국내 국외 수많은 유투버들의 트레이닝 플랜을 다 뒤져봤는데.. 결국 조깅 베이스를 엄청나게 깔아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24/06/17 14:03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 혼자 이렇게 해야겠다 라는 느낌의 훈련과 가장 비슷하네요
630 페이스로 1시간 채워서 뛰기 + 마지막 전력질주..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10km 이상 뛰어본게 5번? 정도뿐이 안됩니다 저는 흐흐
24/06/17 14: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초심자들이 인터벌 훈련을 견뎌내지 못하는 몸으로 자꾸 인터벌, 미드템포런을 하니까 부상을 당한다고 합니다

절대 페이스 무리해서 올리지 마세요 . 뛸 수 있더라도 심박을 안정시키는 연습을 하면서 몸을 만드는게 좋다고 합니다.
(저는 러닝 초반에 고관절 통증이 생겨서 흠칫 놀랐었습니다 ..ㅠㅠ)

그리고 꼭 크루를 찾아보세요 페이스 늦춰서 뛰는 조깅이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자꾸 빨라지는데 그럼 템포영역에 자꾸 들어가서 부상 위험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피쟐 러너 화이팅입니다
24/06/17 14:39
수정 아이콘
넵, 저도 처음 12km 뛰고 관절 아파져서 한 4개월 넘게 쉬었는데 안아픈게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813 [질문] 삼국지 같은 srpg는 없나요? [20] APONO2413 24/06/25 2413
176812 [질문] 웨이브 지상파 UHD 문의 [5] 24년에살아있을까1282 24/06/25 1282
176811 [질문] 건강보험료에서 고지금액이 무엇인가요? [4] 레너블1986 24/06/25 1986
176810 [질문] 아이폰 12 미니가 셀룰러,와이파이,블루투스가 모두 연결 안됩니다. [7] chamchI1858 24/06/25 1858
176809 [질문] 나의 해방일지에서 조경선이 염기정을 싫어하는 이유? [4] 교대가즈아1853 24/06/25 1853
176808 [질문] 엘든링 DLC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6] 공염불1223 24/06/25 1223
176807 [질문] 견적 이게 맞나요? [13] 이러다가는다죽어2467 24/06/25 2467
176806 [질문] 집에 일을 가져와서 야근하는 것도 52시간 기준에 포함이 될까요? [12] 곰돌곰돌파트나2249 24/06/25 2249
176805 [질문] 첨가물 거의 없는 단백질 음료 있나요? [6] 앗흥1413 24/06/25 1413
176804 [질문] (주택관련) 제 현재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3] 걱정말아요그대1532 24/06/25 1532
176803 [질문] 간단한 4k 영상 편집용 컴퓨터 견적 좀 봐주세요 [6] 빵pro점쟁이1103 24/06/25 1103
176802 [질문] 맞춤 셔츠 어디에서 구입하시나요? 4561140 24/06/24 1140
176801 [질문] 부동산 경매 배당기일 관련 질문입니다 [1] 박세웅1247 24/06/24 1247
176799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4] 일반회원1279 24/06/24 1279
176798 [질문] PGR 자유게시판에서 댓글 달 수 있는 방침이 궁금합니다. [4] 스폰지뚱1197 24/06/24 1197
176797 [질문] 태블릿용 블루투스 컨트롤러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2] 먼산바라기848 24/06/24 848
176796 [질문] 혹시 건물 도면 볼 줄 아시는 분 있나요? [6] 그때가언제라도1025 24/06/24 1025
176795 [질문] 스마트 쓰레기통 써보신분 계신가요? [10] 월터화이트1170 24/06/24 1170
176794 [질문] 차 정비비용 얼마 생각하고 가면 될까요?(크로스멤버 부식+엔진오일 누유) [2] 아웃라이어865 24/06/24 865
176793 [질문] 월세 보증금 관련으로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나요? [7] 물소1103 24/06/24 1103
176791 [질문] 안쓰는 마이너스 통장을 해지할지, 유지할지 고민입니다 mbily690 24/06/24 690
176790 [질문] 유부남 .. 십년만에 컴퓨터 구매 관련 질문글 입니다 [10] 프리크라919 24/06/24 919
176788 [질문] 아정당 이런곳들 추천할만한가요? [5] 돔페리뇽1898 24/06/24 18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