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3 13:37:59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1금융 신용대출 관련 문의입니다.(삭제 예정)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adiologist
24/06/13 14:10
수정 아이콘
보통 1금융 재직 3개월 기준은 건보료 납부 3회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상은 4개월에서 5개월정도 채워야 가능한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연봉의 250%를 한번에 대출해주는 곳은 거의 없어서 아마 은행 발품을 좀 팔아야 할듯 하네요.
기존에 대출이 없다면 가능할 수 도 있는데 요즘 dsr기준이 워낙 빡빡해서 주거래은행을 찾아서 알아보시는게 좋겠어요.
자게에 부동산 대출건에 설명해주신 글이 있던데 참고하셔도 좋겠네요.
24/06/13 14:47
수정 아이콘
원래의 주택 구매 자금 계획은 이게 아니었는데, 다양한 사정상 기금대출+신용대출이 가장 조건이 좋아보여 이렇게 진행하려 했는데 이것도 여러 사정상 쉽지가 않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혜리
24/06/13 14:18
수정 아이콘
연봉 계약서 및 전년도 원천징수명세서로도 가능한데 이건 일단 지점방문이 필수.
그리고 연봉 4천이면 1억 절대로 안 나옵니다.
연봉 1억 넘는데도 전문직 특판으로 관련서류 내야만 1억 넘지, 그냥 건보료 납부 조회로는 몇 천정도..예요. 그리고 신용대출 받을 때 요즘은 부동산구매자금으로 쓰면 바로 환수한다 이런거 안 붙나요?
24/06/13 14:47
수정 아이콘
아이고 점점 베스트 계획과는 멀어지는 것 같네요 ㅠ 답변 감사드립니다!
24/06/13 14: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대부분의 1금융권 시중은행에서는, 만근 급여를 수령하게 되면 소득환산하여 신용대출 진행이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상품성대출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3개월,6개월) 미경과 시 한도에 제한을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은행의 경우에는 건보 정보를 스크래핑해서 가져오기때문에, 3개월 딱 맞춰서 신청하면 안되는 경우가 많고요.
경험적으로는 길게는 한달 넘게 더 지나도 안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2) 원천징수 소득의 250%를 해주는 신용대출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구요,
일부 직군(공무원, 소방공무원, 경찰공무원 등) 및 일부 전문직 단체협약대출이 한도를 열어놓는 경우는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렵다고 보시면 되고, 일반 회사원이시라면 연소득의 100%정도를 최대 한도로 자금계획 세우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3) 글로 설명하려니 조금 복잡한데, 대출시에는 DSR을 따지는데요,
수요자대출인 전세대출은 DSR 산출 제외이나, (전세대출) -> (신용대출) 순으로 실행하게 되면 이미 가지고 있는 전세대출은
신용대출의 DSR을 산출할 때 총대출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한도를 최대한 뺴셔야 하면 신용대 -> 전세대 순으로 실행해야 하는데,
전세대 상품에 따라 기 보유한 신용대출이 또 한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전세대출을 취급할 은행에 미리 계획을 고지하고
한도를 대략적으로 잡아보셔야 할 것 같아요.
24/06/13 14:49
수정 아이콘
아이고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생전 DSR, DTI 남의 얘긴줄 알고있다가 막상 벼락치기 해보려니 어렬운게 많고, 하필 매매 타이밍이 영 좋지가 않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764 [질문] 키안띠클라시코 와인중에 한국 미수입 와인이 어떤게 있나요 [9] 옥동이1327 24/06/21 1327
176763 [질문] 차량 기변 고민입니다 [32] 월터화이트2598 24/06/21 2598
176762 [질문] 언제쯤 AI번역이 자연스러워질까요 [14] 김경호1928 24/06/21 1928
176761 [질문] 범죄사건에서 용의자가 서로 상대가 했다고 주장하면 어떻게 되나요? [16] 붕붕붕1704 24/06/21 1704
176760 [질문] 블랙박스 SD카드 보는 방법에 대해서 질문이요. [7] 그리움 그 뒤936 24/06/21 936
176759 [질문]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14] 목캔디2639 24/06/20 2639
176758 [질문]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공부방법 좀 알려주세요 [62] 던돌3287 24/06/20 3287
176757 [질문] 사무용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6] Dango2007 24/06/20 2007
176756 [삭제예정] 팀원 전체가 관두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28] 김소현4587 24/06/20 4587
176755 [질문] 지금 시점에 콘솔게임기 어떨까요? [19] 스물다섯대째뺨2616 24/06/20 2616
176754 [질문] PGR 디아4 클랜 살아있나요? [2] Psyki1162 24/06/20 1162
176753 [질문] 허리받침 있는 소형의자 구할 수 있을까요? [5] VictoryFood1225 24/06/20 1225
176752 [질문] 휴대폰 교체 관련 질문(S22->A55) [6] 선생1588 24/06/20 1588
176751 [질문] 여름철 집안 온도 고민 입니다. [22] 원스3022 24/06/20 3022
176749 [질문] 인바디 정확도는 어느 정도 되나요? [13] 시무룩2049 24/06/20 2049
176748 [질문] 자전거 타시는 분들... 벌레 돌진 어떻게 대처하나요? [26] 사람되고싶다3114 24/06/19 3114
176747 [질문] 페트로달러 체제의 종료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요..? [4] nexon2116 24/06/19 2116
176746 [질문] lck 처음 오프닝에 나오는 선수 누구인가요? [6] 뜨거운눈물1885 24/06/19 1885
176745 [질문] 광랜(물리)이 계속 끊어질 수 있나요? [3] 묵리이장1764 24/06/19 1764
176744 [질문] 서울 데이트 코스 질문드립니다 [8] 살려는드림1831 24/06/19 1831
176743 [질문] 관악구 부동산 가격이 싼 이유? [24] 향기나는사람3084 24/06/19 3084
176742 [질문] 저도 밑분의 글에 편승해서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일월마가1274 24/06/19 1274
176741 [질문] 게이 목욕탕에 대한, lgbt분들의 스탠스가 궁금합니다. [7] 샤크어택2391 24/06/19 23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