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17 15:07:11
Name Vertigo
Subject [질문] 부모자식간 부동산 매매서 증여세 문의드립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저희 할아버지, 어머니 간의 사례인데 절세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 지 싶어 문의 드립니다.

부동산은 빌라고 시세는 2.7억입니다. 지난 10년 간 증여 내역은 없습니다.
직계존속 거래에선 시세의 70%까지 매매를 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러면 2.7억의 30%인 0.81억을 깐 1.89억까지 매매가 가능한 것인지요?
1.89억 밑으로는 아얘 거래로 신고할 수 없는 것인지 헷갈리네요.
아니면 차라리 30% 밑인 1.39억에 매매를 하고 남은 0.5억(1.89억-1.39억)에 대해선 증여로 신고해도 되는 것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작은마음
24/04/17 15:32
수정 아이콘
시세 30% 이상은 증여로 간주 증여세가 부과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4/04/17 15:38
수정 아이콘
그러면 위에 예시에서 1.39억에 매매시 2.7억-1.39억인 1.31억에 대해서 증여세를 매긴다는 거죠? 여기서 0.5억을 증여로 한다치면 0.81억이 과세표준이 되는 것이고요.
백양로폭주
24/04/17 15:48
수정 아이콘
상증세법 제35조 ① 특수관계인 간에 재산(전환사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재산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시가보다 낮은 가액으로 양수하거나 시가보다 높은 가액으로 양도한 경우로서 그 대가와 시가의 차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금액(이하 이 항에서 “기준금액”이라 한다)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재산의 양수일 또는 양도일을 증여일로 하여 그 대가와 시가의 차액에서 기준금액을 뺀 금액을 그 이익을 얻은 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한다.

시가가 2.7억, 대가가 1.39억이라면 시가와 대가의 차액 1.31억에서 기준금액 0.81억을 뺀 0.5억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작은마음
24/04/17 15:52
수정 아이콘
https://furune.info/440

위 링크 참조하시면 될듯합니다.
시세가 2.7억인 빌라는 1.39억에 매매 진행시
1. 증여세의 경우 30%를 초과하는 0.5억에 대해서 증여세를 부과합니다.
증여세의 과세표준은 30% 초과 금액인 0.5억입니다.
2. 양도소득세는 시세의 95%로 계산하여 2.57억이 과세표준입니다.
3. 취득세는 거래 금액인 1.39억이 취득세 과세표준입니다.

비전문가의 답변으로 참조만 하시기 바랍니다.
24/04/17 15:5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번에서 0.5억에 대한 증여세는 부과되는 것이 맞겠군요. 현금으로 증여가 아니기 때문에... 개념이 명확해집니다.
24/04/18 09:28
수정 아이콘
법은 잘 모르지만 제 경우 의도치않게 증여분이 발생해서 동사무소를 찾아가 납부를 한적이 있는데 이 때 차액중에 증여가능한 금액은 증여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5억 증여세를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제가 항목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데 부동산 증여에 관해서는 또 별도의 세금이 있었던거로 기억합니다. (증여세보다는 작았습니다. 자세히는 기억이 나지 않네요.)

거래한 방식은 이렇습니다. 2.7억인 집을 1.89억으로 거래합니다. 거래 후 잔금을 송금할 때 증여가능한 금액인 0.5억을 제외하고 1.39억만 송금합니다.
24/04/18 09:32
수정 아이콘
아 이미 같은 답변이 있었네요. 흐흐. 현금 5천만원을 따로 증여하는 방식이 제가 택한 방식과 다르다면 문제가 없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계약서 상의 금액보다 작게 송금하고 차액분을 증여라할 때 부동산 증여에 대한 세금이 별도로 붙었던 부분만 주의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절대불멸마수
24/04/17 15:48
수정 아이콘
양도가는 얼마든 가능합니다.
다만, 작은마음님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공정가의 30%를 벗어난다면, 차액을 증여로 보게 됩니다.

제 생각은
1. 현금 5천만원은 따로 증여한다.
2. 공정가 * 70%로 계약서를 작성하여 거래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원하는 방식 (= 증여세를 내지 않고 가장 적은 돈을 받고 주택을 이전하는 방법) 일 것 같습니다.
24/04/17 15:5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가 가장 맞겠네요. 매매에서 5천 안받고 까는 것은 합법적인 증여 5천만원으로 계상되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24/04/17 15:59
수정 아이콘
죄송한데 한가지 더 질문드리려 합니다. 그러면 1.89억으로 매매 후에 0.5억을 바로 증여로 주는 방법은 이론상 가능할까요?
작은마음
24/04/17 16:12
수정 아이콘
최근 10년간 증여가 없었다는 가정 하에 직계존속에게 5천만원 증여세 없이 증여 가능합니다.

설명이 길긴 한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mikejk/222617053713
24/04/17 16:21
수정 아이콘
링크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500 [질문] 아파트 창틀, 방충망 청소 방법 질문드립니다. [5] AsuRa1739 24/06/02 1739
176499 [질문] 매드맥스 퓨리오사 전작 안보고 봐도 괜찮나요? [9] dolce biblioteca2920 24/06/01 2920
176498 [질문] 부모님께서 운전하실 3천만원대 자동차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30] 세바준3624 24/06/01 3624
176497 [질문] 챔스결승 스포 안 당하고 하이라이트 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2] 콩돌이2214 24/06/01 2214
176495 [질문] 옛날 만화책 보려면 어디로 가야되나요? [13] Right3785 24/06/01 3785
176494 [질문] 멜라토닌 추천을 부탁 드립니다. [4] 유유할때유2670 24/06/01 2670
176493 [질문] PC를 종료할때 이런 에러가 뜨는데 해결방법 아시는분 계실까요? [6] Skyfall2260 24/06/01 2260
176492 [질문] 식기세척기에 타블렛 세제가 안녹아요 [9] 피지알볼로2603 24/05/31 2603
176491 [질문] 성심당은 과연 특혜일까요? [64] 키토4608 24/05/31 4608
176490 [삭제예정] 감사합니다. 예정대로 삭제하겠습니다. [6] 삭제됨2545 24/05/31 2545
176489 [질문] 직장인이나 자영업분들 맨탈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22] 칭찬합시다.2834 24/05/31 2834
176488 [질문] 우리나라가 지정학적으로 미국에게 중요한가요? [48] Garnett213173 24/05/31 3173
176487 [질문] USB 포맷하라는 팝업창 안 뜨게 할 수 있을까요? [4] 탄야1279 24/05/31 1279
176486 [질문] 발성을 제대로 배우려면 어느 학원을 가야할까요? [7] 사람되고싶다1386 24/05/31 1386
176485 [질문] [루팡] 뺨노트가 생긴다면 사람들은 얼마나 쓸까요? [12] 짐바르도1301 24/05/31 1301
176484 [질문] 흑인 스포츠스타 goat는 누구일까요? [37] rnsr2284 24/05/31 2284
176482 [질문] 이사를 왔는데 벽에 설치된 이게 뭘까요? [14] 24년에살아있을까2186 24/05/31 2186
176481 [질문] 피어슨적률상관계수 질문(통계) [2] Right922 24/05/31 922
176480 [질문] 큰 금액을 은행예금에 넣으면 특별금리가 적용되나요? [11] 꽃비2020 24/05/31 2020
176479 [질문] 클래시 오브 클랜 초보입니다.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8] 사다드2194 24/05/30 2194
176478 [질문] 갤럭시워치 사용 중 따끔거림? [8] 기와선생2715 24/05/30 2715
176477 [질문] 장롱 정리 템 추천 부탁 드립니다 Alfine2276 24/05/30 2276
176476 [질문] 퇴직자 연말 정산 질문 드립니다 [3] PENTAX2612 24/05/30 26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