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02 11:36:41
Name 지금이시간
Subject [질문] 전기차 제동방식에 대하여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갑자기 샤오미 전기차 사고영상 보다가 돌발의문이 생겼습니다.
혹시 전기차 전문가가 있으실까 해서 문의 드려봅니다.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 제동은 브레이크 패드에 의한 제동인데요.
전기차는 여기에 브레이크 패드 + 회생제동으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냥 머릿속에서 생각하기에는,
급정지와 같은 상황에서 전기모터의 역방향 회전을 통한 제동(그러니까 간단하게 후진이죠 ;;)은 왜 사용하지 않을까 입니다.
내연기관이야 자동차가 알아서 후진으로 바꾸기엔 엔진 및 미션 등 기계장치에 무리도 있고 하니 당연히 어렵지만,
모터는 그냥 전극만 바꾸면 바뀌는거 아닌가요?

그러면 빠른 속도에서 급정지시 약하게 후진을 걸면서 브레이크 제동까지 같이 쓰면 훨씬 더 제동력이 높아지지 않을까...
그러면 차의 접지를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더 적은 거리로 멈추지 않을까... 하는 문과생의 생각인데요 ;;

이미 특허가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냥은 찾기가 쉽지 않네요. 수시로 확인은 못해서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카롱
24/04/02 11:57
수정 아이콘
후진을 걸게되면 접지를 잃어서 슬립납니다. 슬립이 나면 차는 제어를 잃어서 큰 사고로 이어집니다.
정지 시에는 바퀴가 구름-제동을 반복할때 가장 정지거리가 짧으며, 이것을 순간적으로 반복하는 장치가 ABS입니다.
ABS 관련하여 검색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블래스트 도저
24/04/02 12:26
수정 아이콘
모터 자체가 기동할때 전기를 가장 많이 먹는데
정지상태도 아니고 회전 상태에서 위상을 바꾸면
모터가 남아 날 수 없죠
시무룩
24/04/02 12:56
수정 아이콘
이미 차가 미끄러지는 상태는 최대정지마찰력 이하로 떨어진 상태인데 이게 바퀴가 역으로 돈다고 해서 최대정지마찰력이 걸리는게 아니고 그냥 바퀴만 미끄러지면서 도는겁니다
정방향 회전 - 정지 - 정방향 회전 - 정지를 빠르게 지속적으로 하는 ABS 시스템이 최대정지마찰력을 최대한 많이 걸어주려고 생긴 시스템이구요
ABS 없는 차량의 긴급 제동 영상을 보면 차가 슬립 때문에 한쪽으로 휘면서 쭈욱 미끄러지는데 바퀴가 역으로 돌면 오히려 슬립이 더 심하게 날 것 같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4/04/02 13:31
수정 아이콘
역방향 제동을 하게 되면 전류가 급격히 커져서 모터의 코일이 타게 됩니다.
모터 뿐만 아니라 구동계 관련 부품들이 남아 나질 않겠죠.
마술사
24/04/02 13: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퀴가아니라 공기흡입구의 모터를 반대로돌려서
바람을 밀어내어 제동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은 가능하겠네요 제동력은 눈꼽만큼 좋아지겠지만...?
적고보니 사이버포뮬러의 리프팅턴 방식과 비슷한 느낌인가요?
Cazellnu
24/04/02 14:18
수정 아이콘
모터나 기어가 바로 아작날거 같습니다.
24/04/02 15:03
수정 아이콘
아이오닉 5N 같은 차량은 회생제동 출력이 300kw가 넘는다던데, 대충 400마력 가깝네요. 그래도 역회전은 안 됩니다.
겨울삼각형
24/04/02 18:01
수정 아이콘
그 바퀴 회전하던 관성을 이기고 역회전걸기 어려워요

회생제동은 제동력이 크지 않습니다.
그냥 발전기 돌리는 정도에요.
지금이시간
24/04/02 18:58
수정 아이콘
이제 봤네요. 역시 현실적으로 여러 문제가 있군요; abs가 잘 몰랐는데 알아갑니다.
모터도 그냥 쉽게 방향 바뀔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답변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662 [질문] 조금 일하고 적게 돈 버는 일 없을까요? [22] VictoryFood7282 24/04/07 7282
175661 [질문] 무릎 아킬레스건 이슈가 있는데 기초체력을 늘리려면... [6] 짐바르도5444 24/04/07 5444
175660 [질문] 스타2보다 스타1이 인기 많나요? [13] 소오강호6608 24/04/07 6608
175659 [질문] 걸을때 발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24] Fullsun7053 24/04/06 7053
175658 [질문] 넷플릭스에 예전 명작 영화 많지 않았나요??! [5] 잉차잉차6633 24/04/06 6633
175657 [질문] 최현우 마술사가 했던 마술 찾습니다 샤르미에티미5801 24/04/06 5801
175656 [질문] 해외여행후 갤럭시s22 서비스불가(데이터X) 지속현상.. 해결책 아시는분있으실까요 [1] 무언가5946 24/04/06 5946
175655 [질문] 아파트 건설 소음 관련 소송을 비대위에서 준비하는데 [3] 안녕!곤5560 24/04/06 5560
175654 [질문] 여행 질문 [2] 앵글로색슨족8467 24/04/06 8467
175653 [질문] 강남역 이자카야 or 호프 추천부탁드립니다. [1] Mamba5536 24/04/06 5536
175652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 [2] 타츠야7140 24/04/05 7140
175651 [질문] 알파고 김성현 선수 방송에 관련해서.. [19] EY9572 24/04/05 9572
175650 [질문] 재밌는 부동산 커뮤니티 있을까요? [5] 기다리다6314 24/04/05 6314
175649 [질문] 무탄산 제로음료 뭐가 있을까요? [25] 새침한 고양이7719 24/04/05 7719
175648 [질문] 드래곤볼 하다가 질문 (쿨러) [3] 이러다가는다죽어6012 24/04/05 6012
175647 [질문] 카카오택시랑 스쿠터로 접촉사고가 났습니다. [3] 안녕!곤5587 24/04/05 5587
175646 [질문] 유튜브용 영상(음원 사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 고요4754 24/04/05 4754
175645 [질문] [골프] 세계 3대 퍼터 브랜드 [3] 거북왕5849 24/04/05 5849
175644 [질문] 기아 전기차 ev9 질문합니다. [8] 보아남편5751 24/04/05 5751
175643 [질문] 무협 세계관 익히기 좋은 무협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바꿔6730 24/04/05 6730
175642 [질문] 집에서 악기 베이스 연주하려면 뭘 사면 되나요? [12] grrrill4863 24/04/05 4863
175641 [질문] 가족간 금전거래 [11] 스토리북5343 24/04/05 5343
175640 [질문] 주차장에서 사고가 났는데 [6] 속보5254 24/04/05 52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