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3/12 16:16:53
Name 월터화이트
Subject [질문] (뻘질문) 라면 정수기물로 끓이시는 분들이용
먼저 저는 수돗물파입니다

순수한 호기심입니다

집에서 고기 구워드시거나 하실 때

상추나 깻잎 등도 정수기 물로 씻어 드시나요?

라면은 한번 끓이는 것이고

쌈채소들은 물기 털어낸다 해도 수돗물 잔여분이

남을 수밖에 없을 텐데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루빨리
24/03/12 16:24
수정 아이콘
라면 정수기물로 끓여먹습니다만 정수물이 필요한게 아니라 뜨거운 물이 필요한거라(여름에는 바로 면투하 가능하고 겨울에도 끓이는 시간 단축하죠.) 쌈채소는 수돗물로 씻습니다. 마찬가지로 비빔면 행굴때도 여름엔 정수기물을 쓰지만 찬물이 나오기 때문에 쓰는거고요. (수돗물은 미지근하거나 경우에따라선 뜨뜻하거든요.)
24/03/12 16:24
수정 아이콘
단지 '씻는 행위'일 때는 수돗물로 하고요
'그 물 자체가 음식이 되는' 경우에는 정수기로 합니다.

야채는 씻어 내는 것일 뿐이니 수돗물로 하지만
라면은 물 자체가 음식의 핵심 구성 재료이므로 정수기를 씁니다.

정수기파 사람들의 매커니즘이 이해 되셨기를...
24/03/12 16:30
수정 아이콘
대부분은 그냥 정수기가 있으니까 정수기 물로 끓이는거지 수돗물이 엄청 찝찝하거나 그런 건 아니지 않을까요? 일단 저는 그렇습니다.
정수기 없는 곳에선 그냥 수돗물로 끓어요. 과일 야채도 당연히 수돗물로 씻고 크크

그리고 '한번 끓인다 하더라도 내가 상당량을 마시기 때문'에 찝찝하게 여기는 것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과일 야채 세척 후 남은 물방울은 극소량이니....
지니팅커벨여행
24/03/12 18:06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습니다.
정수기 없을 땐 수돗물에 대해 전혀 거리낌 없었어요.
지금도 마찬가지이고 과일 채소 씻을 땐 당연히 수돗물 씁니다.
월터화이트
24/03/12 16:32
수정 아이콘
아 뜨거운 물 생각을 못했네요 멍청하게 크크
수리검
24/03/12 16:36
수정 아이콘
보통 수돗물을 벌컥벌컥 마시진 않잖아요?
그 연장입니다

국이나 찌개 라면은 그 국물을 상당량 섭취하는 것이니 정수기로

예로 드신 야채는 양치질 비슷한거죠
과정에서 약간 먹기야 하겠습니다만 먹는 게 목적도 아니고 주된 느낌도 없죠
43년신혼1년
24/03/12 16:36
수정 아이콘
직접적으로 마시는 물 - 정수기물
씻고, 간접적으로 마시게 되는 물 - 수돗물
이렇게 사용 합니다.
월터화이트
24/03/12 16:41
수정 아이콘
이해가 되었습니다 뻘질문에 현답들 감사드립니다~
24/03/12 22:02
수정 아이콘
야채는 살균력 때문에 찬 수돗물로 씻는 게 정석입니다. 저는 밥, 국만 정수물로 합니다.
고라니
24/03/12 22:11
수정 아이콘
비빔면은 수돗물에서 무릎을 탁 치게 되는군요!
아케르나르
24/03/12 23:23
수정 아이콘
쌈채소는 수돗물 받아다 레몬즢이나 식초 좀 타고 십여분쯤 담가뒀다가 흐르는 물에 슬슬 씻습니다. 이파리가 수분 먹어서 살아나가지고 식감이 더 좋아져요.
키모이맨
24/03/13 08:23
수정 아이콘
자주 궁금한것중 하나인데 음식점에서 만드는 음식들은 밥부터 국까지 모조리다 그냥 수돗물로 만들텐데
정수파이신분들은 외식할때 꺼림직하지않으신가요 크크
24/03/13 09:12
수정 아이콘
일정부분은 포기하는 거죠. 집에선 유기농 채소 먹는 분들도 음식점에서 먹을 땐 유기농 채소 기대하지 않잖아요. 김치 같은 것도 가정에서 중국김치 사 먹는 분은 없겠지만 식당에서 나오는 김치는 그러려니 하는 거죠
Far Niente
24/03/13 09:13
수정 아이콘
내가 그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 중에 큰 노력을 유발하지 않는 최선을 고르는 거라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외식 시 주방 환경에는 큰 생각이 없습니다 뭐 너무 위생 신경 안 쓰는 게 보이는 노포는 가기 힘들지만
무냐고
24/03/13 11:50
수정 아이콘
전 라면은 기분에 따라 와리가리하고 밥 국 찌개는 귀찮아서 수돗물 씁니다
이혜리
24/03/13 11:55
수정 아이콘
사실 정수기는 그냥.................. 정확한 물의 양을 맞추기 위한 용도일 뿐 입니다.
24/03/13 12:58
수정 아이콘
엘지, 코웨이 써보니 뜨거운 물은 설정해둔 양보다 많이 나오더라구요.
한강라면이 되서 오열했습니다ㅠ
이혜리
24/03/13 12:59
수정 아이콘
그럴리가요,
원래 라면은 물을 끓일 때 증발하는 것까지 고려해서 물 세팅이 되어 있다고 하던데,
아마 뜨거운 물이라서 증발하는 양이 적어서 그럴 겁니다,
24/03/13 15:23
수정 아이콘
뜨거운 물은 이상하게 많이 나오는거 같아서 계량컵에500ml 받아보니 550~600ml정도 나오던데요?
반면 냉수와 정수는 정확하게 나왔었습니다.
부산헹
24/03/13 12:39
수정 아이콘
아파트도 오래된 곳이나 배관상태에 따라
가끔씩 하얀 그릇에 물 받아보시면 가루 나오는 곳들이 많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397 [삭제예정] 결혼 후 답례품 어떻게 하시나요? [20] 나이스후니4453 24/03/19 4453
175396 [질문] 총선 편하게 볼 수 있는 사이트? [2] 오타니4880 24/03/19 4880
175395 [질문] 기프티콘 거래는 보통 어디서 하나요? [7] 世宗3392 24/03/19 3392
175394 [질문] 맥북 & 아이패드 사이드카 간헐적 스크린 멈춤 질문 [2] 엔지니어4077 24/03/19 4077
175393 [질문] 메모리 부족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25] raztuns5757 24/03/18 5757
175392 [질문]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잘 안 될 때 [8] 4150 24/03/18 4150
175391 [질문] 개인 전세 계약 시 절차 관련.. [2] 3695 24/03/18 3695
175390 [질문] 눈이 금방 피곤해지는분 계신가요? [9] 라리3964 24/03/18 3964
175389 [질문] 베란다 탄성 코드 벗겨짐 문제 [1] 귀여운호랑이3326 24/03/18 3326
175388 [질문] H2 소장판을 사고 싶습니다. [4] 히로&히까리3126 24/03/18 3126
175387 [질문] D&D 세계관 간단하게 찍먹할만한 컨텐츠 [33] 샤한샤4399 24/03/18 4399
175386 [질문] 주말 고속도로 질문입니다. [4] Like a stone3519 24/03/18 3519
175385 [질문] 한의원에서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검사 실효성? [8] 스핔스핔4344 24/03/18 4344
175384 [질문] 레고 질문드립니다. [14] 쉬군3908 24/03/18 3908
175383 [질문] 일본 현지에서 한국으로 편지 보내기 [4] 토미스3147 24/03/18 3147
175382 [질문] 어렸을 때 본 애니메이션 제목을 찾습니다. [4] 간옹손건미축3443 24/03/18 3443
175381 [질문] 90년대 발라드는 왜 이렇게 우중충하고 우울할까요? [25] 붕붕붕6186 24/03/18 6186
175380 [질문] 폰에서 pdf 파일볼때 클릭시 넘어가게 할 수 있나요? [4] 위동동3296 24/03/17 3296
175379 [질문] 낙태죄 전면폐지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3] 칭찬합시다.4947 24/03/17 4947
175378 [질문] 편한 주말 알바 급여인상 요청 할까요, 말까요. [6] rukawa5591 24/03/17 5591
175377 [질문] ai 중에 A문서를 보고 B문서에 양식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기능 있을까요? [4] 안녕!곤3569 24/03/17 3569
175376 [질문] 30대에 공무원 그만둔 분들은 뭐할까요? [18] 무민6814 24/03/17 6814
175375 [삭제예정] 테무 [1] 삭제됨3828 24/03/17 38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