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17 22:36:58
Name 방구차야
Subject [질문] 9급공무원 주민센터 창구업무
9급 공무원의 주민센터 창구업무의 난이도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보통 주민센터에서 하는일은 주민등록증 최초 발급, 인감증명서 발급, 여러종류의 주민등록 관련 서류발급등이 기본적인 업무일 것이고
간단한 것도 있겠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아주 복잡한 것도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세대주 변경이나 합가, 분가, 의식불명자의 전입신고 등 다양한 상황은 신입 직원이 특별한 교육을 받거나 사수가 실시간 1:1로 봐주는게 아닌이상 즉흥적으로 처리해내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겁니다.

게다가 단순 실수로 법적인 문제가 될수도 있는 큰 부담감이 있을거고요. 난이도에 따라 윗선이 대신 처리해주는게 아니라
그저 당사자에게 던져놓고 조력을 적극적으로 해주지 못한다는 상황이 참 이해가 안가는데요.

일반 사기업에서 텔레마케팅을 하더라도 1:1로 전담교육을 하고 업무에 익숙해지도록 멘토를 붙혀 진행하는 것으로 아는데,

공무원 업무는 이런 전담 교육이나 인수인계가 지자체별로,지소 상황별로 상이하고, 기본적으로는 그런 시스템이 없다는 것이 좀 충격적이긴 합니다.
바로 창구 업무에 투입되 옆자리 선임에게 어깨넘어로 배우는 수준이고 이마저도 서로 바쁘기 때문에 진득히 시간두고 배운다는 개념이 아니라
계속 빵구나는 땜질상황으로 보이고요.

세올행정시스템이라고, 그런 매뉴얼이나 채팅을 통한 조력을 얻을수 있는 내부망이 있다던데 이것을 활용하면 어느정도의 업무는 가능한지요

일과중에는 창구업무에 정신이 없고, 그런 매뉴얼에 대한 공부는 일과이후 9시~10시까지 야근을 하거나, 주말출근을 하여 공부를 하는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여기까지 들으니 요새 공무원 이탈율이 높아졌다는게 이해가 가는데, 일반적인 분위기인지 모르겠네요

이번에 공무원된 신입이 주민센터 창구업무를 한다면(하루 민원상대 15명 정도?), 보통 적응하는 기간이 몇달 정도 걸릴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S Tony Parker
24/02/17 22:47
수정 아이콘
세올+ 담당 계장 이정도가 조력인데 부바부가 너무 심해서 일반적이라고 딱 기준 세우기가 어렵습니다

지역 편차도 크고
오드폘
24/02/17 23:01
수정 아이콘
전임자 잘 만나면 마치고 와서 도와주고 주말에도 나와서 도와줍니다
못 만나면 사막에 버려진 1인이죠 뭐
동기둘 전화해서 물어보고, 어쩌다 착한 사람 하나 알게되면 전화로 물어보고
아니면 민원인인척 다른 동사무소 전화해서 물어보는것도 봤습니다 크크

저는 그래도 1년이면 마스터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래걸려서 1년인게 아니라 계절마다 하는 일이 다를수있어서..
대신 다른 동사무소가서 다른일 또 맡게되면 또 1년…
유인촌
24/02/17 23:14
수정 아이콘
어떤 읍면동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다를 겁니다.
인구가 좀 되는 읍면동일 경우 민원은 좀 있지만
주민등록쪽이나 사회복지쪽은 창구에 직원이 몇명 있으니까
기본적인 업무는 옆에서 커버도 좀 쳐주면서 적응할 수 있을텐데,
반대로 인구가 적어서 창구마다 직원이 1명 밖에 없는 곳은
그만큼 일도 없지만 업무 범위가 너무 넓어서
1년을 일해도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녀름의끝
24/02/17 23:19
수정 아이콘
만약 센터에서 관련 업무 담당이 자기 밖에 없으면.. 전임자는 무조건 다른 센터에 있는 거라서 전화해서 물어봐야 하는데요. 그 전임자도 그 센터의 전전임자에게 전화해서 물어보고 있는 게 다반사죠 크크...
고진감래
24/02/17 23:33
수정 아이콘
쉽다고 하면 제일 쉽고 어렵다고 하면 많이 어렵습니다 업무의 깊이는 얕은데 다뤄야하고 숙지해야할 부분이 너무 방대해서 마스터가 불가합니다
물론 대부분은 전자긴 합니다만 주민센터 창구업무의 난도는 위치가 7할 그 동네 주민 수가 3할입니다
한적한 주민센터 창구들은 간단한 서류발급 정도밖에 안하기 때문에 업무난도는 매우 쉬운데
문제는 도시의 번화가 쪽 근처 주민센터들은 헬이죠 단순 민원의 양 때문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케이스들의 민원들이 속출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하루 민원 15명은..시골이거나 굉장히 한적한 곳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은 못해도 2-30 남짓은 됩니다
아이시스 8.0
24/02/17 23:37
수정 아이콘
민원 15명이면...완전 깡촌인데요...한두달이면 업무 적응 끝날거같네요~
업무 마스터하는건 반년 봅니다~
아이시스 8.0
24/02/17 23:41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동 민원대의 경우 2~3명이 주민등록, 인감, 가족관계 등을 나눠서 업무 처리하고
시골동의 경우는 담당자 한명이 모든 업무를 다 해야하기때문에 숙지해야 할 업무 량이 많긴합니다만,
그렇다고 해도 민원대 업무가 그렇게 난이도 있는 업무는 아닙니다.
물론 초반엔 관련 지침이나 법령 숙지를 좀 해놔야겠지만, 전임자한테 인수인계만 잘 받았다면
한두달이면 업무 적응은 되리라 봅니다~

단순반복작업이라 금방 익혀요~
방구차야
24/02/17 23:45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천안같은 곳은 공식적인 교육시스템(등록하면 교육도 업무시간으로 처리)이 있다는 기사가 있기도 하던데... 전반적으로 미비하긴 한듯하네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프랑켄~~
24/02/18 03:16
수정 아이콘
한달이면 적응은 합니다. 배우는 과정없이 바로 실전투입이다보니, 초반에 좀 어려울수는 있습니다.
다만, 민원대 업무가 워낙 다양한 법을 적용하는 업무다보니, 예외 사항이 워낙많아 어려운 점이 많죠.. 그거를 하나하나 공부하고 원리를 찾아보다면 어렵습니다. 그래서 찍먹하는 거 생각하면 어렵지 않은 업무고, 제대로 알고 하려면 어려운 업무입니다. 대부분 공무원들이 그 기간동안 일처리정도만 하는 찍먹하다보니,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죠..
민원 창구 업무를 쉽다고 말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일을 잘 못하는 부류입니다... 일을 제대로 익히고 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민원대 업무를 어려워하고요..
(경험상 민원대 업무를 쉽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업무 능력이 별로 였고, 공무원내에서 그래도 능력으로 인정받는 사람들 대부분은 민원대 업무를 어려운 업무라고 말하더라구요..)
교대가즈아
24/02/18 07:23
수정 아이콘
민원대 업무는 그렇게 어렵다고 평가받진 않습니다. 보통 인수인계가 안 된다, 제도가 개판이다 하는 쪽은
민원대 업무보단 본청 내에서 처리하는 인허가 사업/불법 건축물 or 무허가광고, 노점단속 or 교통관련 문제/국공유지/토지보상/세금같은,
이권이 걸린 사업이거나 돈을 징수하는 그런 업무들이죠.

이쪽은 법률도 잘 알아야하고 민원인 조율도 해야하고, 악성 민원인들이 가장 많이 출몰하는 곳이기때문에..
방구차야
24/02/18 08:5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창구민원은 어느정도 할만할듯한데 인허가쪽은 큰문제가 될수도있으니 살얼음 기분이겠네요..
미카엘
24/02/18 08:59
수정 아이콘
결코 쉬운 업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적응하면 다들 어렵지 않게 하는 업무죠. 예외사항 발생하면 그때그때 찾아서 공부해서 해결하면 되고요. 진짜 힘든 업무는 악성 민원인 많이 상대해야 하는 구청 이상 대민/인허가/사업 부서, 공무원에게 절대적으로 부족한 창의력을 쥐어짜내야 하는 중점사업부서, 살얼음판을 걷는 재난 관련 부서 등이 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24/02/18 09:20
수정 아이콘
본문이면 괜찮고 + 요즘엔 괜찮은 편입니다. 창구 업무도 사람 많은 곳 + 무인기 없던 시절 + 인터넷 발급 없던 시절에는 힘든 편에 속했습니다. 그런데 무인기 생기고 점차 완화 되고 인터넷 발급 시키고 점차 완화 되고 하면서 사람 많은 곳은 사람이 적어졌고 원래 없던 곳은 너무도 편해졌죠. 애초에 창구 업무 자체는 난이도가 높은 것이 아니고 사람들을 많이 상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던 거였으니, 그리고 많은 민원 업무를 처리하는 것 자체도 부담이지만 많이 처리하다 보면 트러블이 없을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였던 거니 환경이 많이 괜찮아진 편입니다.
불타는로마
24/02/19 08:55
수정 아이콘
민원대는 보통 큰돈 안만지기 때문에 초임공무원 많이들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824 [질문] 읽기 쉬운 소설 또는 책 추천 [39] 작은마음8979 24/04/17 8979
175823 [질문] 부모자식간 부동산 매매서 증여세 문의드립니다 [12] Vertigo8744 24/04/17 8744
175822 [질문] 스팀할인 몬스터헌터 월드 구매 문의드립니다 [2] 공놀이가뭐라고7378 24/04/17 7378
175821 [질문] 서프샤크 vpn 30일날 환불 요구하니 구독 자동갱신만 취소해줬네요. 방법없을까요? [2] 그때가언제라도7586 24/04/17 7586
175820 [질문] 신차 틴팅 관련 질문 드립니다. [10] 원스5666 24/04/17 5666
175818 [질문] 비슷한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Aiurr6295 24/04/17 6295
175817 [질문] 사이버펑크 2077할만 한가요? [13] 구급킹7088 24/04/17 7088
175816 [질문] 유재석의 12제자는 누구인가요? [23] 오타니8574 24/04/17 8574
175815 [질문] 아기가 키즈카페 대신 어린이집에 가야 하는 이유 [28] 랑비8445 24/04/17 8445
175814 [질문]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쿨럭6657 24/04/17 6657
175813 [질문] 기자가 A모 인사, B모 인사 식으로 익명 출처를 남길때 허위로 쓸 수도 있나요? [9] No.99 AaronJudge6545 24/04/17 6545
175812 [질문] 위탁수화물 물건 중 빼야되는 것을 골라주세요 [7] DogSound-_-*6408 24/04/16 6408
175811 [질문] 5600x에서 5700x3d 업글 가치가 있을까요? [7] 레이오네6888 24/04/16 6888
175810 [질문] 5G 통신사는 어디가 제일 나을까요?? [5] 꿀벌6591 24/04/16 6591
175809 [질문] 이렇게 나오는 음식은 어떻게 먹는게 정석인가요? [7] SaiNT7165 24/04/16 7165
175808 [질문] 버즈2프로는 절대볼륨 비활성화 안 되나요? [2] 귀여운호랑이5964 24/04/16 5964
175807 [질문] 삼체를 보다가 수알못 물리알못이 보기에는... [15] 개가좋아요6013 24/04/16 6013
175806 [질문] 결혼기념일을 집에서 안전하게 보내기 위한 조언을 구합니다. [14] JoyB6749 24/04/16 6749
175805 [질문] 요즘 필름 현상 인화는 어디서 얼마에 하나요? [3] 고요6159 24/04/16 6159
175804 [질문] USB-C KVM 입력에 PC HDMI 연결 가능할까요? [2] 바쿠6925 24/04/16 6925
175803 [질문] 풀리오 목 어깨 마사지기 [11] SKT T1 FAKER7319 24/04/16 7319
175802 [질문] LOL) 본캐가 에메랄든데 실버에서 허덕입니다 [22] 서귀포스포츠클럽7699 24/04/16 7699
175801 [질문] 혹시 뤼튼 사용해서 글을 다듬거나 작성하시는 분 계실까요? [5] Part.35879 24/04/16 58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