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16 20:50:40
Name 수지짜응
Subject [질문] 이번 전공의 사직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 여쭤봅니다
많은 분들이 이번 일과 관련해서 얘기를 많이 나누고 계시지만
제가 궁금해 하는 부분들에 대해서 얘기는 잘 안다뤄지고 있는 것 같아 여쭤봅니다.

의사분들이시든 내용을 잘 알고 계시는 분들이든 답변 부탁드려요

1. 의사가 많아지면 의료비가 치솟는다는 얘기는 어째서인가요?
나라에서 수가를 낮추면 국민 전체가 부담할 의료비가 어느정도 조정되지 않나요..?
그리고.. 환자가 많아져야 의료비가 치솟을텐데(같은 가격이면) 의사가 많아진다고 의료비 치솟는건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되는데..
수가 조정, 환자 수 고정일 때 의사가 많아지면.. 왜 국민이 부담하는 의료비가 치솟게 되는건가요?

2. 지금 상황이 택시기사들이 개인택시 허가증 개수 늘려주면
사고파는 가격 떨어져서 곤란한 상황하고 거의 똑같다고 생각하는데 맞을까요..?
그러면 그냥 가치가 떨어져서 기존에 개인택시 라이센스 갖고 있던 사람들은 곤란한거고
새로 라이센스 따려는 사람들은 기회가 생기고 뭐 이럴거 같은데..
이게 의료체계 붕괴랑 어떤 연결고리가 있나요..?
그냥 가치 좀 떨어지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의료체계 붕괴까지는 제가 이해가 잘 안돼서 설명해주실 분 있으실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몬테레이
24/02/16 21:24
수정 아이콘
1.지금 의사 A가 월 3천만원의 병원매출을 얻어서, 간호사 월급 1천만원 주고 건물+기기임대료 1천만원 내고 본인 월급 500만원 이후 월 500만원의 수익을 얻어간다고 합시다. (손익분기점 매출 월2,500만원) 여기에 의사 B가 추가되면, 이사람도 월 500만원의 수익을 얻어가려면 월 3천만원의 매출이 필요하고, 두 사람이 원하는 합계매출은 월 6천만원입니다. 그리고, 두 병원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매출은 2,500만원+ 2,500만원= 5천만원입니다.
의사 A,B가 공존하기 위해서는 의료매출이 3천만원에서 최소 5천만원 이상으로 증가해야 하는 겁니다.

2. 의료수가는 급여의 경우 지금도 원가의 70%이하입니다. 30%를 손해보면서 병원에서 진료하는데, 비급여항목이나 대학병원은 주차장 등 부속시설 수입으로 보완합니다. 더이상 낮출 수는 없습니다.

3. 의사B가 새로 들어와서 건물 임대도 하고, 새로운 의료기계도 들여오고, 대출도 차입했는데, 돈을 벌어야겠죠. 어떤 형태로든 새로운 환자 또는 기존 환자에게 새로운 의료행위를 추구해서 돈을 벌려고 할 겁니다. 생존의 문제이죠. 지금도 의사중에 개업이후 망하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개인사업자이므로 다 잘 될 수는 없죠. 의사수가 지금보다 많이 늘면 이러한 경쟁이 심해지고, 불필요한 치료나 검사의 권유 등 비윤리적인 의료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의료의 경쟁화는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몬테레이
24/02/16 21:40
수정 아이콘
한국의 의료는 건강보험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습니다. 급여치료의 대부분은 건보 재정에서 부담하고 나머지 일부만 환자가 부담하죠. 비급여는 대부분 환자 부담인데, 요새는 실손보험에서 많이 보상이 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건강보험에서 커버하는 질병의 범위가 커지다 보니, 특히 문재인케어 이후 보장율이 높아져서, 건보 지출이 증가하고, 건보 재정이 축소되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죠. 이를 막기 위해서는 현재 월 급여의 7.2%를 내는 건보료를 대폭 인상해야 하는데, 정치권에서 이 이야기를 국민에게 하지 못하고 있읍니다. (표 떨어지는 정책이니)

건보가 고갈되어, 자금이 없으면 건보가 더이상 기능을 못하고, 환자들은 의료비 원래 금액을 모두 환자부담으로 내야 합니다. 보건부는 벌써부터 실손 보험의 보상액과 보장범위에 제한을 두겠다고 하죠. 이래 저래 환자의 비용 부담은 늘어나게 됩니다. 병원에도 덜 가고 못 가겠죠.

한마디로 건보가 한국 의료시스템의 돈통입니다. 잘 유지해야 되는데, 이게 깨지는 순간 한국 의료는 다른 시스템으로 갈 겁니다. 미국의 민영 또는 영국의 공영 시스템
몬테레이
24/02/16 21:46
수정 아이콘
첨언하자면, 한정된 돈통에서 돈을 쓰려는 의사들이 늘어날수록, 재정의 고갈은 앞당겨지겠죠
24/02/16 22:0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현 정부의 의료관련 드라이브가 통과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데,
결국 의료 민영화로 갈거라고 생각합니다. 재정고갈은 필연적이에요.
스토리북
24/02/16 23:03
수정 아이콘
"인구 1000명당 의사 1명이 증가하면 의료비가 22% 증가" -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보고서

의사가 늘면 의료비는 늡니다. 이거 의사가 조사한 게 아니예요.
보통 의사 증원의 예로 일본을 드는데, 일본정부는 의사 숫자를 줄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일본정부는 2018년 6월 '경제재정운영과 개혁 기본방침'을 발표하고 "향후 의대 정원 감축을 위해 의사 양성 방침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2008년판 '기본방침'에서 "가능한 빠르게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의대 정원을 증원한다"고 한 지 10년 만이다."

의사증원 10년 돌려봤는데 국가재정을 집어삼키고 있거든요. 일본 한해 예산이 114조인데, 의료비 중심의 사회보장비가 37조입니다.
옆에 좋은 반면교사가 있는데, 왜 같은 길을 걸으려 하냐고 묻는 거죠.
파이프라인
24/02/16 23:33
수정 아이콘
의대정원이 증가하고 건강보험의 보장 부분이 줄어드는게 수순이 될겁니다. 한국의 재정은 이제 줄어드는 방향입니다. 대기업들이 꺾이고 있거든요. 현재의 건강보험 보장이 결국 버틸수 없는거죠.. 따라서 개인들의 부담금을 올려서 병원 수요를 줄이는 시나리오를 생각할수 있습니다. 고령화로 병원의 총진료는 늘어나게 될겁니다. 국민들이 부담하는 비용증가는 필수인데 현재 건강보험으로는 답이 없고, 그상태에서 의사수가 적으면 국민들은 더 힘들겠죠. 면허를 대폭 늘리는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사분란한 집단행동이 더이상 통하지 않고 손해가 되어야 할겁니다.. 이번에 못하면, 건강보험 재정이 버틸때까지 해당집단은 자본을 축적하고, 이후 축적된 자본으로 살아남고. 그외 다수는 건보와 세금을 부담하다가 병약해지겠죠.
공부맨
24/02/17 00:08
수정 아이콘
의사가 늘어나면
비급여 미용 피부 비만
같은 비필수 의료행위가 늘어나고
전체적인 의료비가 늘어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검증은 쉽지 않은것으로 알지만 아주 오래된 이야기이고 일리도 있습니다.

변호사도 비슷하죠
변호사 숫자가늘어나면 소송이늘어나서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고 당사자간 합의가 줄어든다는 이야기가 있었던것으로 압니다.
이민들레
24/02/17 00:14
수정 아이콘
변호사랑은 궤가 다른게 의료는 치료받을때마다 공금을 까먹는 구조라서 환자도 어떻게든 공금을 타먹고 싶어하고 변호사는 개인이 다 부담하는 구조라 한계가 있죠. 그래서 변호사 증가는 비용증가로 곧 이어지지 않지만 의료는 좀 다릅니다.
앨마봄미뽕와
24/02/17 10:24
수정 아이콘
1. 수가를 조정한다는 가정 없이 현상태에서 의사 수만 늘어나면 그렇다는 얘기죠. 의사가 늘어나면 병원이 많이 생겨 병원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져서 환자 본인 부담금이 적은 진료의 경우 더 자주 병원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죠. 이는 곧 건강보험료의 고갈로 이어질 확률이 높구요.

2. 현재 의료비는 환자의 개인부담금 뿐만이 아니고 그보다 훨씬 많은 부분을 건강보험료에서 지급을 하는데.. 건강보험료는 당연히 한계가 있기 때문에 건강보험료가 고갈 되면 국민들이 받을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의 양, 질은 떨어지게 될겁니다. 물론 돈 많은 사람들은 아무 영향 없겠죠.

3. 건보는 어차피 거덜날거라는데 그 미래를 대비해야 되지 않는가? 라는 의문이 생길수도 있는데 전 의사가 많이 늘어난다고 해서 필수 의료비가 줄어들거라는 생각이 안듭니다. 건보 재정이 악화 될거라 예상되면 그것을 막는 쪽으로 가야지, 그걸 미리 다 없어진다고 가정하고 계획을 세우면 결국 의료민영화가 되는거죠.
돔페리뇽
24/02/17 10:49
수정 아이콘
나라에서 수가를 낮추면 국민 전체가 부담할 의료비가 어느정도 조정되지 않나요..?
--> 지금도 원가보존이 안되는데 수가를 더 낮추라니요 ;;;;;;;;;;;;;;;;;
F.Lampard
24/02/17 14:09
수정 아이콘
몇가지 자료를 찾아보고 드는 의문은 과연 항상 나오는 진료원가의 몇프로 라고 할때 의사의 적정 인건비를 어느정도로 책정한걸까요?

관련 자료 등에서 사용되는 상대가치평가에도 의료의 난이도 등 을 포함하여 계산함에도 기본 진찰료가 낮다는게 논리의 골조로 이해되는데 이부분에서 제일 큰 포션이 인건비로 추정되는데 해당 부분의 언급없이 일괄로 원가율만 논하는게 이해가 어렵습니다
스토리북
24/02/20 02:23
수정 아이콘
전문의 인건비는 수가의 10%를 차지합니다. 그래서 언급이 잘 안 되는 겁니다.
F.Lampard
24/02/20 03:54
수정 아이콘
혹시 원가의 세부내역에 대한 자료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일단 제가 다른 글에서 본 한 의료관련 언론사의 기사인데(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9968)

해당 기사에 따르면 일반 병원을 기준으로 전문의 인건비가 16%입니다(종합병원 기준으로는 말씀해주신 10%가 나오네요).

그런데 통계를 보면 의아한점이 전체 의료비 중 인건비의 비율은 48%에 달하는데, 전문인력인 전문의(16%)+간호사(9%)의 인건비를 합쳐도 25%밖에 안되니 나머지 23%는 무슨 인건비로 이해하면 될까요?
스토리북
24/02/21 04:21
수정 아이콘
제가 댓글이 달린 걸 늦게 봤네요.
수가 문제는 종합병원이 돈 안 되는 의사를 박대하기 때문에 생기는 거라서, 기피과 수가 문제를 논할 땐 종합병원 외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보통 10% 라고 이야기합니다.

나머지 인건비는 청소, 경비, 회계 등등 병원 인력 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968 [질문] 예전 오락실 예의 관련 드립(?). 진지한 얘기인가요? [28] 헤나투5540 24/02/18 5540
174967 [질문] 라면 샀는데 스프가 안 들어있을 때 [4] 새님5216 24/02/18 5216
174966 [질문] 9급공무원 주민센터 창구업무 [14] 방구차야5556 24/02/17 5556
174965 [질문] 윈도우용 오프라인 위키 프로그램 있나요? [4] classic4105 24/02/17 4105
174964 [질문] .... [48] 삭제됨5568 24/02/17 5568
174963 [질문] 의사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 건가요? [2] 칭찬합시다.3903 24/02/17 3903
174962 [질문] 4070 ti super 적정가는 어느정도일까요? [5] APONO3871 24/02/17 3871
174961 [질문] 주변에 국제결혼한 젊은 분들 실제로 있으신가요..? [47] nexon5911 24/02/17 5911
174960 [질문] 조조전을 스마트폰으로 할 수있나요? [7] 정공법5224 24/02/17 5224
174959 [질문] 키보드 관련 질문입니다. [4] 행복a4227 24/02/17 4227
174958 [질문] 광역버스를 타고 다니면서 의문점이 하나 있는데요... [6] 잘가라장동건4674 24/02/17 4674
174957 [질문] 7살 조카들에게 자전거를 체험시켜주고 싶습니다.(서울) [10] 앙겔루스 노부스4114 24/02/17 4114
174956 [질문] 캐리어 손잡이가 고장이 나서 안 접히는데 탑승 가능할까요? [4] 고요4761 24/02/17 4761
174955 [질문] 식기세척기 설치하려는데 부품은 어디서 살 수 있을까요? [4] 사람되고싶다4811 24/02/17 4811
174954 [질문] 듄 영화 시청 질문드립니다 [7] 인민 프로듀서4046 24/02/17 4046
174953 [질문] 윗집 아들 혼내는 소리 정상인가요? [25] 버류버6137 24/02/17 6137
174952 [질문] 메모리의 클럭이 중요할까요, 용량이 중요할까요? [11] 휘군4397 24/02/17 4397
174951 [질문]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 코시엔5043 24/02/17 5043
174950 [질문] DOS 기반 PLC 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2편) [3] 늘새로워3855 24/02/17 3855
174949 [질문] 용산아이파크 듄2 3월6일 예매 언제 풀릴까요? [4] 어센틱3679 24/02/17 3679
174948 [질문] [무도 장면찾기] 무한도전 고수를 찾습니다ㅠㅠ [2] 김유라4439 24/02/17 4439
174947 [질문] 자차로 대전 갔을 때 성심당 빵 사오는 좋은 동선이 있을까요? [8] 호비브라운4052 24/02/17 4052
174946 [질문] 술/담배 제로 vs 운동 제로 어느 쪽이 건강에 이로울까요? [17] armian4409 24/02/17 44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