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1/15 16:05:20
Name Garnett21
Subject [질문] 경제력=군사력이 아닌가요?(feat. 러시아)
미국 없으면 유럽연합(+영국)은 러시아와 맞서기 힘들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데, 핵 안 쓴다치면 EU 내 투톱인 프랑스/독일 그리고 영국또한 단일 세력만으로도 러시아보다 경제력이 강한데.. 어쩌다가 러시아가 유럽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이 된 건가요?

물론, 러시아는 핵도 있고 영토도 넓고 인구도 1억 넘으며 식량이랑 에너지 자급자족도 되는 강대국이긴 합니다만.. 핵이 없었다면(=상호확증파괴가 성립되지 않았다면) 이렇게까지 러시아가 강해보이진 않았으려남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4/01/15 16:22
수정 아이콘
부자는 망해도 3대는 간다고 러시아도 소련시절부터 내려오던 장비나 물자, 군사력이 있으니까요.
반면 부유한 서유럽은 소련도 붕괴했겠다, NATO 믿고 군축 풀로 땡겨서 그 돈 딴데 쓴 거고...
Garnett21
24/01/15 16:45
수정 아이콘
여윽시.. 돈은 있는데 딴데 썼군요
망고베리
24/01/15 16:28
수정 아이콘
시간도 자원이죠. 군축 신나게 해댔으니 지금와서 하려면 시간이 걸리는 거구요
Garnett21
24/01/15 16:45
수정 아이콘
시간도 자원이라고 하신 점 깊이 이해했습니다
키작은나무
24/01/15 16:29
수정 아이콘
NATO에서 미국과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 프랑스 독일 같은 국가들이 죄다 군비를 복지예산으로 때린 결과가 지금의 모습이지요.
독일의 메르켈이 퇴임 이후 욕먹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고요.
Garnett21
24/01/15 16:44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빡친게 어찌보면 이해가(…)
sionatlasia
24/01/15 16:33
수정 아이콘
러시아의 루블화 경제를 달러로 재단하려 하는것 자체가 무리가 있다는 주장이 있었던걸로 압니다.
달러로 보이는 러시아 경제보다 실제 러시아 경제규모는 훨씬 크다는게 주 논지였죠.
그리고 거의 우리나라 언론이 다루지 않지만 러시아는 암암리에 인도와 계속해서 무역 거래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사실상 인도 중국과 거래가 전혀 제한이 없으니 금수조치 또한 제제효과가 약하죠.
마지막으로 위에 분들이 말씀해주신 기초과학 분야는 적어도 소련시절부터 내려온 것이다보니 왠만해서는 따라잡기 힘들죠.. 그런 노하우나 기술력은 경제력에 전혀 반영이 안되니까요.
Garnett21
24/01/15 16:44
수정 아이콘
시간으로 축적한 유무형의 그것들 또한 국력이군요..
24/01/15 16:33
수정 아이콘
"러시아는 핵도 있고 영토도 넓고 인구도 1억 넘으며 식량이랑 에너지 자급자족도 되는 강대국이긴 합니다만.."
여기에 정답이 다 있는것 같습니다.
Garnett21
24/01/15 16:44
수정 아이콘
아…앗..크크크
무딜링호흡머신
24/01/15 16:33
수정 아이콘
스타에서도 멀티 많으면
이길 확률이 높듯, 자원은 많은데

지금 배럭이고 팩토리고 서플이고 다 줄여놓은 상태라고 보면 맞지 않나요?
Garnett21
24/01/15 16:43
수정 아이콘
아.. 어찌보면 군사분야에 덜 투자했던거군요
cruithne
24/01/15 16:36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GDP%20%EB%8C%80%EB%B9%84%20%EA%B5%AD%EB%B0%A9%EB%B9%84#s-1.1

11. 러시아 3.9%
28. 대한민국 2.7%
52. 프랑스 1.9%
58. 영국 1.7%
88. 독일 1.3%

GDP 대비 국방비 비율이 많이 차이나니까요. 유럽은 국방비 아껴서 복지니 친환경이니 쓰고싶은데 쓴 결과죠.
Garnett21
24/01/15 16:43
수정 아이콘
아! 저런 자료로 보니 명확하네요
ioi(아이오아이)
24/01/15 17:07
수정 아이콘
주한미군도 있는 나라에서 할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지금의 EU는 국방은 사실상 나토군에 위임한 상태라고 생각해도 무리가 아니죠.

트럼프가 무임승차라고 욕하면서, 영향력을 줄이는 발언을 해도 인기가 있는 이유구요
파르셀
24/01/15 17:12
수정 아이콘
유럽애들이 나토 이후 군비 감축해서 꿀빤거 보면 이건 트럼프 말이 맞다고 봅니다
안군시대
24/01/15 17:28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북한이 세상에서 제일 군사력이 약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죠.
나라 역량의 얼마까지 국방에다가 때려박느냐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샤한샤
24/01/15 17:42
수정 아이콘
GDP대비 국방비 비율을 볼때 고려해야할게 있는데
러시아가 쓰는 1달러 국방비가 영프독이 쓰는 1달러 국방비보다 몇배는 값진 국방비입니다.

로씨야의 오랜 전통인 인명경시사상과 1억이 훌쩍 넘는 자국민 그로 인해 군인 유지비가 매우 싸다는것 / 반대로 영프독은 매우 비쌈(이민자는 군대에서 여러 이유로 쓰기 힘듬)
무기체계 사실상 전부를 내부에서 조달하는 러시아의 무기 도입 / 유지 비용과 상당부분 미국에 의존하고 + 또 내수에서 조달하더라도 상당히 비싼 영프독을 비교하면 곤란하다는것
소련 망하기 전에 쌓아둔 노하우나 기술을 무시할 수 없다는것

등등 을 근거로 러시아의 힘을 얕보면 안된다는 논리가 상당히 많았으나.. 러우 전쟁 이후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sionatlasia
24/01/15 18:17
수정 아이콘
러시아가 졸전 치루는것은 명백한 사실이니 둘째치고서라도 현재 러시아가 순수하게 우크라이나하고만 대결하는게 아니라
전 서방의 대리전을 치루는 우크라이나를 상대한다고 생각하면 러시아가 장기전에서 고전하는 이유도 명확하죠. 심지어
미국이 본인 출혈 감수해 가면서 전례없는 수준의 제제를 지속하고 있는데..
지금 서방에서 미국제외 단 하나라라도 똑같은 수준의 경제제제를 받으면서 미국과 나토의 대리전을 치룬다고 상정할 수 있는 국가가 있기는 한가요? 전 이 정도만 되도 솔직히 러시아라는 체급이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1/15 18:42
수정 아이콘
물론 러시아의 경제는 수백년동안 늘 망해왔던 전통이 있습....읍읍(소련시기는 모르겠으나...)
익숙합죠...
샤한샤
24/01/15 19:36
수정 아이콘
그 말씀도 맞습니다.
러시아는 옛날부터 참 이게 전통일 것 같아요
어 뭐야 생각보다 허접인데? 아 근데 이 관점에서 보면 생각보다 강한거같은데?
항상 상반되는 평가가 공존하는 신비한 나라
앙겔루스 노부스
24/01/15 22:39
수정 아이콘
군사비를 볼 때는 PPP로 보는게 꽤 유의미합니다. PPP로는 로시아가 한국의 두배를 넉넉히 넘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605 [질문] 핸드폰 약정기간이 남았을 때 교체를 원하면 공기계가 답인가요?? [9] 애기찌와7097 24/01/24 7097
174604 [질문] 분실보험 보상폰 선택장애 좀 도와주세요! [13] 공염불6947 24/01/24 6947
174603 [질문] 투 폰 쓰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무딜링호흡머신6441 24/01/24 6441
174602 [질문] 모니터 s32bg700 구매전 질문 드립니다 왕컵닭7528 24/01/24 7528
174600 [질문] 밀라노에서 산시로 투어 질문입니다. [3] 아르키메데스6174 24/01/24 6174
174599 [질문] 갤22를 쓰다가 잘 나왔다길래 24U를 질렀는데요 [27] Cand8193 24/01/24 8193
174598 [질문] 진공포장기 쓸만한가요? [14] 사람되고싶다6440 24/01/24 6440
174597 [질문] 원치 않는 팀 이동을 하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36] Lissac8060 24/01/24 8060
174596 [질문] 사무용 컴퓨터로 다음 사양이 어떨까요? [9] 안녕!곤7097 24/01/23 7097
174595 [질문] 부동산관련 질문 드립니다. [5] finesse6803 24/01/23 6803
174594 [질문] 노트북 구매했는데 잘 산건지 궁금해요 [5] 왓두유민6863 24/01/23 6863
174593 [질문] 길거리에서 유튜브 구독해 달라는 2인조 분들 만났는데요 [15] 블랙리스트10516 24/01/23 10516
174592 [질문] 일본 여행 렌트카 운전 난이도 질문드립니다(지역별) [10] 7983 24/01/23 7983
174591 [질문] 파일명 일괄 저장하는 프로그램 있나요? [9] 밤공기6270 24/01/23 6270
174590 [질문] 무선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Nothing Phone(1)6548 24/01/23 6548
174589 [질문] 부산횟집 추천부탁드립니다. [5] 유아린6695 24/01/23 6695
174587 [질문] 대학원 의료상조회비를 낼만 한 걸까요? [15] 호비브라운7904 24/01/23 7904
174586 [질문] 직관 응원 다닐만 한 K리그 팀 추천 부탁 드립니다. [20] 원스7729 24/01/23 7729
174585 [질문] 세안 후 피부에 각질이 생겨요. [10] ZAKU6981 24/01/23 6981
174584 [질문] 다나와 자동차 견적문의시 댓글다는 영맨들 믿을만 한가요? [15] 이동파11116 24/01/23 11116
174583 [질문] 할아버지 돌아가시고 증여 관련 문의 [5] 호루라기장인6392 24/01/23 6392
174582 [질문] PC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2] 이시연7229 24/01/23 7229
174581 [질문] 스탠드 led 통신용이 있을까요? [2] 흥분하지않는사람5138 24/01/23 51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