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16 09:23:30
Name backtoback
Subject [질문] 청량리 기차역의 인지도에 관해서
저는 원주사람이라 서울에 기차타고 갈일이 있으면 중앙선 청량리역에서 내립니다.
서울역은 평생 이용해본적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역보다는 못하지만 한 서울역80퍼 정도의 인지도는 있을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서울분들하고 얘기하다보니 사실상 듣보잡역이더라구요.
보통 지방으로 가는 기차역은 서울역,용산역,광명역등에서 담당하는걸 이제야 알았습니다.
청량리 기차역 존재감 미미한가요?
옛날에 정동진가는 기차있을때에도 미미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16 09:33
수정 아이콘
이용객수 10위던데 듣보잡 취급 받을 정도는 아닌 듯

2위 동대구역이 저는 더 놀랍네요.서울사람이라 그런가
일반상대성이론
23/12/16 09:35
수정 아이콘
듣보잡은 아니고 많이 쇠퇴하긴 했죠.
원래는 한손가락에 잡히던 역이었습니다.
manymaster
23/12/16 09:43
수정 아이콘
청량리역은 강원이나 경북 북부에서 많이 이용할텐데... 그 쪽으로는 사람이 많이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청량리역에서 무궁화호 탄 적 한 번 있네요. 102 보충대 입대하러 간다고...
청량리역에서 모여서 경춘선 타고 놀러나갔다는 말도 많았는데 지금 경춘선은 수도권 전철화되어서 대부분 상봉이나 망우에서 타기도 하고요.
23/12/16 09:57
수정 아이콘
청량리역은 중앙선-태백선-영동선 축선의 강원도와 경북북부 담당인데 이쪽 교통은 영동고속도로 확장, 중앙고속도로 개통 등으로 KTX 투입 전까지 한동안 철도가 버스에 압살당했었죠. 경춘선도 전철 개통과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 등으로 청량리역의 역할이 예전같지 않고.
23/12/16 11:43
수정 아이콘
지하철로서의 쓰임은 크지 않아서
서울사람들은 모를만합니다.
차라리 왕십리 바로 옆이라고 하면 알아들을 듯
Phlying Dolphin
23/12/16 12:52
수정 아이콘
서울의 관문역은 서울역, 용산역, 수서역, 영등포역, 청량리역(+광명역)이 다니까 기차역으로는 중요한 역이지만 지하철 주요 환승역이거나 도심지가 아닌 게 인지도가 낮은 원인이겠죠.
사람되고싶다
23/12/16 14:52
수정 아이콘
뭐랄까 다들 알고는 있는데 기억 저 편에 묻혀있는 느낌? 청량리 얘기 하고 경춘선 강원도 얘기하면 다들 '아 그랬지'라고 하는데 가만 두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정도까지는 아닌 느낌입니다.
Jedi Woon
23/12/16 19:56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이용하는 패턴이 다르니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서울역 다음 인지도인 사람도 있죠.
저는 가평이 시골이라 어릴때부터 청량리 역이 친근했지만, 대학 때 엠티가면서 청량리 역을 처음 알거나 처음 가본 애들도 있었습니다.
성야무인
23/12/16 23:09
수정 아이콘
90년대 대학생들이면 맨날 가는 MT 코스라 모를리가 없습니다만

지금은 굳이 그쪽으로 MT나 OT를 가지 않아서 말이죠.
23/12/17 23:57
수정 아이콘
지하철 환승역인 역들에 비하면 좀 떨어지는 느낌이 있죠 크크크
앙겔루스 노부스
23/12/20 22:20
수정 아이콘
그쪽동네에 다닐일 없는 사람이라면 써볼일이 거의 없는 역이라서요. 위상은 강남이나 신도림 영등포만도 못할겁니다. 다만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긴 할테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085 [질문] 연말정산 질문…. [4] Chandler7275 23/12/20 7275
174084 [질문] 가열식 가습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30] 오늘보다 나은 내일8856 23/12/20 8856
174083 [질문] 40대 스키 배울 수 있나요? [29] 자콰마9406 23/12/20 9406
174082 [질문] 사기를 당할뻔했는데.. [13] 방탄노년단7826 23/12/20 7826
174081 [질문] 그래픽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쑈메9203 23/12/20 9203
174080 [질문] 몸이 자주 아픈 직원 때문에 난감하네요 [31] 앗흥13321 23/12/20 13321
174079 [질문] 윈도우 비밀번호를 분실했습니다. [6] 삭제됨8409 23/12/20 8409
174078 [질문] 아이패드를 샀는데 지불방법 추가가 안 됩니다. [5] 귀여운호랑이7922 23/12/20 7922
174077 [질문] WiFi 연결해서 인터넷방송을 들을 수 있는 라디오가 있을까요? [4] 바다로7308 23/12/20 7308
174076 [질문] SUV 가 세단에 비해 주차가 어려운가요? [17] 카페알파9347 23/12/20 9347
174075 [질문] 예산 4000 정도로 살수 있는 자동차는 어떤게 있을까요? [43] 펠릭스9262 23/12/20 9262
174074 [질문] 리디북스 메가 마크다운 만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Arya Stark7826 23/12/19 7826
174073 [질문] 컴퓨존 게이밍 pc 그냥 사도 되나요? [22] 묵리이장9545 23/12/19 9545
174072 [질문] 크리스마스 혼자 재미있게 보내는 방법 질문 드립니다. [21] 송기범8762 23/12/19 8762
174071 [질문] 차의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가 의전원인가요? [9] Judith Hopps8130 23/12/19 8130
174070 [질문] 결혼하고 첫 크리스마스인데 선물로 추천해 주실만한게 있을까요? [23] 안녕!곤8753 23/12/19 8753
174069 [질문] 알뜰폰+인터넷 추천 부탁드립니다. [5] 7108582 23/12/19 8582
174068 [질문] 엑셀 행/열 간격 조절시 딜레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2] 수리검7051 23/12/19 7051
174067 [질문] 어렸을 적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일본 애니메이션 질문 드립니다. [18] 회색사과7963 23/12/19 7963
174066 [질문] 탈모약 프로페시아 1년치 약값이 어느정도 나오나요? [19] 원장9462 23/12/19 9462
174065 [질문] 어머니 생신 선물 어떤 것이 좋을까요? [2] 욱상이7009 23/12/19 7009
174064 [질문] 인스타에서 광고하는 세미패키지 여행 상품 어떨까요? [7] 호비브라운7983 23/12/19 7983
174063 [질문] 멀티페어링 키보드 1티어는 뭘까요. [7] 엔쏘7342 23/12/18 73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