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28 17:22:10
Name 연애잘합니다
Subject [질문] [소송] 변론기일 잡혔습니다. 변론기일 전 준비사항?

  나홀로소송 통해 이거저거 준비하고 소송까지 하였는데,

  결국 변론기일 잡혀서 준비 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변론기일 앞서 어떤거 준비해야할지 모르겠네요;;; 후후


  관련 자료는 소장 작성하면서 입증서류로 전부 다 제출하였는데,

  만일 변론기일 당일에 피고측이 이거저거 이야기할텐데,

  이에 대한 자료를 현장에서 준비되어있지 않으면 망하는거 아닌지 조금 신경 쓰입니다.

  경험 있으신분은 변론기일 전에 뭐뭐 준비하고 가셨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1/28 17: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장과 입증자료 제출을 하셨다고 하니,
요건사실 잘 쓰셨다는 전제 하에,

상대방이 답변서를 제출했다면, 그 내용을 반박하는 준비서면을 제출하시면 되고,
상대방이 답변서도 안냈다면 무변론판결 받으실거고요(청구취지 그대로 인정).
연애잘합니다
23/11/28 17:3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무변론 판결이면 좋을거 같은데...

일단 피고측에서 답변서를 아직은 제출하진 않았네요...!
23/11/28 20:27
수정 아이콘
다듀님 말씀대로 변론기일이 열리는데 무변론판결은 안나오겠네요;;
생각없이 댓글을 달았네요;;

상대방이 답변서 제출하지 않았는데 굳이 변론기일이 잡힌 거라면,
소장에 요건사실 기재가 명확치 않은 부분이 있다는 말이니 잘 준비해가시기 바랍니다.
넉살좋은다듀
23/11/28 17: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먼저, 변론기일은 1회만으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번에 지정된 변론기일에 모든 것이 정해질 것이라는 부담감은 가지지 않으셔도 됩니다(상대방이 뒤늦게 자료를 제출하거나, 변론기일 당일에 의견을 진술하면 연애잘합니다님께 반박할 기회를 주기 위하여 변론기일을 다시 잡아주는 것이 통상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대리인을 선임하지 않은 채 사건을 진행하면 판사가 절차적인 부분을 잘 지도해 주니 판사가 하는 말을 잘 따르시면 됩니다.

참고로 변론기일 전에는 아래와 같이 준비해 가시면 좋습니다.

1. 상대측이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소장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여 진술할 준비

가. 무변론 판결을 바로 선고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무변론 판결은 통상 변론기일을 잡지 않고 바로 선고를 하는 것이므로, 변론기일이 지정되었다면 어쨌든 변론에 출석하셔야 합니다.
나. 그리고 변론에 출석을 하시게 되면, 판사가 소장 내용을 간략히 진술할 것을 요구할 수 있어서 소장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 상대측이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도 변론기일을 지정한 것은 좀 이례적이긴 한데, 연애잘합니다님께서 작성하신 청구취지나 청구원인에 보완할 사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청구취지와 청구원인이 다른 경우 등). 이런 경우, 재판부가 어떤 어떤 사항을 보완하라고 말을 해주기 때문에 잘 들어 놓았다가 재판부의 지시에 따라 보완을 하시면 됩니다.

2. 상대측이 답변서를 제출한 경우
가.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 상대측 답변서를 반박하는 서면과 자료들을 제출
나.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
1) 구두로 반박하는 것이 충분한 경우: 상대측 답변서를 구두로 반박할 내용을 간략히 준비
2) 구두로 반박하는 것만으로 부족하고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경우: 상대측 답변서를 구두로 반박할 내용을 간략히 준비하면서, 차회 변론기일까지 어떤 자료를 제출할 예정인지 간략히 준비 (판사에게는 상대측이 답변서를 늦게 제출해서 추가적인 자료를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고 차회 변론기일을 잡아준다면 상대측 주장을 반박하는 내용을 담은 서면과 자료를 제출하겠다고 말하기)

3. 상대측이 변론기일에 출석하여 그 즉시 변론하는 경우
가. 들어보고 바로 반박이 가능한 경우: 바로 반박
나. 들어보고 바로 반박이 어려운 경우: 판사에게, 오늘 바로 듣게 된 주장이라 반박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차회 변론기일을 잡아줄 것을 요구
다. 들어보고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는 경우: 판사에게, 상대방이 하는 말을 이해하기가 어려우니 상대방으로 하여금 서면으로 주장을 정리해서 제출하게 해줄 것을 요구

대충 가능성을 나누어 보면 위와 같은데, 서두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대리인 없이 소송을 진행하시면 판사가 잘 지도를 해줄 것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취지로 준비만 해두신 다음 판사가 하는 말에 잘 따르시면 됩니다.

어쨌든 소송에 휘말리시면 신경쓰실 일이 많고 걱정이 많으실텐데 모쪼록 잘 해결하시기를 응원합니다!
연애잘합니다
23/11/28 18:06
수정 아이콘
정말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일단 1번에 대해 소장 내용 요약해두어야겠네요! 도움됐습니다.
karlstyner
23/11/28 18:37
수정 아이콘
정확한 진행상황은 모르겠지만

원고 소장에 피고가 아무런 액션을 하지 않았는데 무변론선고기일이 아니라 변론기일이 잡혔다면 소장을 잘못 쓰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 경우 법원에 출석하시면 재판장이 대략 알려줄 것인데, 그래도 잘 모르겠으면 법률상담을 받으셔야 할겁니다.

그리고 법정에서 너무 많이 이야기하려하지 마시고, 정리해서 다음 기일전까지 서면으로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으로 해봐야 재판장이 다 기억하지도 못하고 말하다가 실수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23/11/28 19:05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
23/11/28 20:12
수정 아이콘
보통 판사가 미리 제출받은 서면에 이해가 안가거나 궁금한것만 물어보고 말할거 있으면 또 준비서면으로 제출하라고 할테니 따로 준비할 것도 없더라구요.
나른한오후
23/11/28 20:14
수정 아이콘
기일에 나가도 상대방이 차후 서류제출한다고 하거나 안나오던가 하고 다음 변론기일 잡힐겁니다.
이번에 판결 나온다는 생각은 하지마시고 그냥
상대방이 무슨이야기하나 들으러간다고 생각하시면 마음편하실겁니다..
상대가 변론기일 2회이상 불참여시 무변론 승소합니다
성야무인
23/11/28 20:41
수정 아이콘
뭐 법원가도 판사가 증거확인하고 추가 증거 달라고 하는거 외에는

별다를꺼 없습니다.

준비서면 준비하라고 하면 되구요.

다만 이게 1심에서 결판나야지 그렇지 않으면 몇년 걸립니다.
23/11/29 13:28
수정 아이콘
기일 전에 작성하신 소장 지참해서 변호사 상담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 수정해서 기일 전에 청구취지 및 청구원인변경신청서 제출하고 상대방에게 송달되면 절차 진행이 수월합니다.
상대방이 기일에 출석하지 않으면 바로 변론 종결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최소 1번이상 더 재판에 출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817 [질문] 요즘 커피만 마시는 소개팅 많이 하나요?? [16] 아이폰1210703 23/12/02 10703
173816 [질문] 차량용 방향제 추천부탁드립니다 [17] 태엽감는새8081 23/12/02 8081
173814 [질문] 선물 고민)셀린느라는 브랜드 어떤가요? [19] 찹쌀탕수육9612 23/12/01 9612
173813 [질문] 아이들 메신저 [6] 오하이오8207 23/12/01 8207
173812 [질문] 예비고 영어 인강 추천 부탁드립니당~ [10] Jedi_Master8257 23/12/01 8257
173811 [질문] 발더스게이트3 PC? PS5? [14] kkaksai10732 23/12/01 10732
173810 [질문] 현재 사양에서 VGA 교체가 큰 의미가 있을까요? [16] 기무라탈리야8837 23/12/01 8837
173809 [질문] 해외에서 전화 하는방법 [4] 싸구려신사9165 23/11/30 9165
173808 [질문] [pc견적] 이륙해도 되겠습니까? [7] 류 하야부사7498 23/11/30 7498
173807 [질문] 간수치 질문입니다 [7] 아이시스 8.07937 23/11/30 7937
173806 [질문] T1 영상팀 질문이 있습니다 [5] 콩돌이9056 23/11/30 9056
173805 [질문] 삿포로 여행 추천 장소 있으실까요? [23] 아야나미레이8621 23/11/30 8621
173804 [질문] 통영에서 가볼만한 곳 [17] 로드바이크7869 23/11/30 7869
173803 [삭제예정] 수학문제 하나 풀어 주세요 [3] 삭제됨6312 23/11/30 6312
173802 [질문] 냉동 닭가슴살 요리해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데워 먹어도 되는 기간은 어느정도일까요 [7] 마이스타일7596 23/11/30 7596
173801 [질문] 보일러 풀가동 언제해야 하나요?? [3] Alfine9383 23/11/30 9383
173800 [삭제예정] 같은 컴퓨터로 항공권을 여러번 검색하면 값이 올라가는 이유가 뭘까요? [9] 조헌9128 23/11/30 9128
173799 [질문] 전기차 여행 질문 [10] 스토리북7459 23/11/30 7459
173798 [질문] 필기용 태블릿 추천 부탁 드리겠습니다. [9] 전반전0대08419 23/11/30 8419
173797 [질문] 컴퓨터 구매 예정입니다. 견적 한번 봐주실수 있을까요 [6] Wanya7571 23/11/30 7571
173796 [질문] 성남-부산 자차여행, 미친 짓일까요? [55] 철판닭갈비10652 23/11/30 10652
173795 [질문] 유럽의 성공적인 출산장려 정책이었는데..기억이 안납니다. [4] Emas Parker7922 23/11/30 7922
173794 [질문] 월급관리 내용을 찾고 있습니다. [3] 보급보급7329 23/11/30 73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