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21 11:21:03
Name 플레인
Subject [질문] 한손으로 덤벨 100kg 드는 난이도?는 어느정도일까요?
예전에 다니던 헬스장에서 문자온걸 보고 갑자기 궁금해져서 쓸데없는 질문 하나 드립니다!

헬스장 회원님들중 한손으로 덤벨 100kg을 들면 헬스장 1년 추가 무료!  라는 이벤트를 한다는 문자였습니다.(여자는 50kg)

운동 무지렁이인 저한테는 감도 안오는 말인데(보자마자 저게 되긴 하는겨? 했습니다), 한손으로 덤벨 100kg을 든다는게 어느정도 난이도일까요?

1. 동네 헬스장 꾸준히 나가는 건장한 사람이면 가능
2. 동네 헬스장에서 잘나가는 네임드(...) 면 가능
3. 3대 몇백씩 치는 울끈불끈 형님들이면 가능
4. 최소 선수급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3/09/21 11: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4번도 힘듭니다.
무반동이면 아예 불가능

댓글 보다보니 저는 당연히 덤벨컬을 생각했는데 그냥 땅에서 뽑는걸 얘기했을수도 있겠군요?
그러면 3번 부터는 가능한 사람들 나올듯
이정재
23/09/21 11:32
수정 아이콘
든다는거의 정의가 뭘까요
땅에서 어느정도 높이까지 들어올린다는건지
덤벨컬을 한개이상 한다는건지
회색사과
23/09/21 11:38
수정 아이콘
들다의 정의가 뭐냐에 따라 다를텐데요.

바닥에서 띄우기만 하면 된다.. 면 단순하게는 데드리프트 200키로 하는 사람이겠죠?
데드 200 드시는 분이면 최소 3대 500쯤?

그리고 초헤비 덤벨은 손잡이 자체가 두꺼운 경우도 있던데 그런 경우는 더 힘들구요..
몽키매직
23/09/21 14:12
수정 아이콘
저 데드 140 까지 해봤는데 덤벨은 50 어림도 없더라고요.
1/2 이 아니라 1/3 이하일 거 같아요.
회색사과
23/09/21 14:1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힘을 싣기가 훨씬 어려운가보네요 흐흐
감사합니다
윤니에스타
23/09/21 11:43
수정 아이콘
못드니까 그런 광고가 나갔겠죠.
23/09/21 11:47
수정 아이콘
묠니르 아닌가요 크크
23/09/21 12:21
수정 아이콘
어벤져스의 묠니르 챌린지가 한국에서 열리는군요 크크
담배상품권
23/09/21 11: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정도면 파워리프터나 스트롱맨이나 가능한 무게입니다. 일반인이 팔힘만으로 들어올리는 건 불가능합니다.

100키로 덤벨은

https://www.youtube.com/watch?v=kluqHOPL2lQ

요렇게 생겼습니다.
HighlandPark
23/09/21 12:02
수정 아이콘
100kg는 커녕 50kg 짜리 움찔도 못하게 하는 사람이 태반일겁니다.
DownTeamisDown
23/09/21 13:41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저는 움찔까지는 해볼것 같긴한데 든다는 무리수(50kg한손으로요)
23/09/21 12:07
수정 아이콘
한손 데드리프트... 100kg 크크
글쓴이
23/09/21 12:13
수정 아이콘
세상에는 별 사람들이 많으나.. 한손으로 드는 것도 전문적으로 연습하는 프로 스트롱맨 선수 정도면 가능할 것 같아요.
우리 헬스장에는 이렇게 무거운 덤벨도 보유하고 있다 정도의 이벤트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23/09/21 12:35
수정 아이콘
한손 데드 100kg를 의미하는 거겠죠? 덤벨컬 100은 말이 안되니까...
Just do it
23/09/21 13:27
수정 아이콘
데드 200이상 드는 사람은 들 수 있을정도로
의외?로 간혹 있을 수 있는데
보통 저런건 손잡이가 두꺼워서 손이크고 악력이 센 사람 아니면 더 힘들겁니다.
시무룩
23/09/21 13:39
수정 아이콘
든다의 기준이 뭔지 모르겠는데
1. 데드리프트처럼 그냥 땅에서 올리는거 - 3대 500정도?
2. 덤벨 프레스 - 로니 콜먼이 전성기 시절에 덤벨 프레스를 90으로 했다고 합니다
3. 덤벨 컬 - 바벨 컬 세계 기록이 170인가 그렇다는데.. 현 인류에는 없지 않을까요
샤르미에티미
23/09/21 14:08
수정 아이콘
WWE 선수이자 UFC 선수였던 브록 레스너가 20대 때 헬스 잡지를 찍었나 헬스 영상을 찍었나 했습니다. 200파운드 (대충 90kg) 짜리 덤벨을 들 수 있냐고 하니까 레스너가 힘들 것 같다고 하면서 덤벨 컬을 힘겹게 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그게 정확히 200 파운드인지 확실치가 않아서, 내용을 찾기도 힘들어서 기억이 정확한 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어쨌든 힘 넘칠 때의 + 약물까지 한 레스너 같은 몸이어야 가능할까 말까는 논하는 수준이라고 보면 되죠. 스트롱맨들 중에서는 가능한 사람이 좀 있을 정도 아닐까 싶네요.
유료도로당
23/09/21 14:20
수정 아이콘
'든다'의 기준이 데드처럼 완전히 들고 서야되는게 아니라 바닥에서 진짜 1cm라도 순간적으로 띄울수 있냐는 의미라면 3부턴 가능하지 않을까요.
샤한샤
23/09/21 14: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youtube.com/watch?v=7SMesEhgqYY
양손 허용이지만 영상에 어느정도 답이 있네요

이거 해외 유투브 보면 도전하는 사람들이 좀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일단 제 경험과 지식으로는 3대 500 그러니까 데드 200 정도 하는 사람으로는 덤벨 100 데드리프트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3대 500 넘는 사람들은 아마 쌉 고인물이라서 헬스장을 쉽게 안옮기고 그래서 별 리스크없이 저런 이벤트 하는듯 하네요
zig-jeff
23/09/21 15:44
수정 아이콘
못들것 같은데요. 만약에 드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월클 선수일걸요. 그런 선수가 동네 헬스장에 오면 헬스장이 선수한테 돈줘야죠 많이
페스티
23/09/21 15:45
수정 아이콘
사모안이 출동하면 어떨까?
문어게임
23/09/21 15:50
수정 아이콘
5 선수급도 힘듦. 체급높은사람만 가능
23/09/21 16:05
수정 아이콘
쥐고 들어올리는 건 생각보다 많을 것 같고 덤벨컬 1회는 정말 정말 소수 일 것 같네요 크
근데 갑자기 인치덤벨이 생각났네요.
플레인
23/09/21 16:23
수정 아이콘
아니 열심히 일하고 왔더니 이렇게 많은 답변이.. 헬스장은 손해보지 않는 이벤트였군요 크크크 묠니르 챌린지 때문에 빵터졌습니다 크크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Burnout Syndrome
23/09/21 16:57
수정 아이콘
베르사그립 끼고 데드 210 들지만 헬스장에 있는 40kg 덤벨로 운동할 엄두조차 못냅니다...
나막신
23/09/21 17:2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성인 남자 3명중 1명은 하겠죠
정공법
23/09/21 17:25
수정 아이콘
절대 못합니다,,,,
유튜브에 100kg덤벨 길거리첼린지 영상많이있는데
보시면 아실듯,,,
사바나
23/09/21 17:53
수정 아이콘
택도...
종말메이커
23/09/21 18:22
수정 아이콘
덤벨은 고사하고 성인남자 양손 바벨 데드리프트 100kg 가 3명중 1명은 될까 궁금하네요
Belleville
23/09/21 18:24
수정 아이콘
300명중 한명도 힘들듯..
니하트
23/09/22 16:21
수정 아이콘
예?
23/09/21 18:56
수정 아이콘
일반 헬스장에서는 50kg 덤벨도 본적 없는것 같네요
Extremism
23/09/21 20: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목에만 답하자면 이론적으로 양손 데드리프트 240kg보다도 어렵고 데드 250kg 넘는 네임드 스트롱 리프터들 델꼬와야 시도라도 해볼듯한데 아마 훈련이 안되어서 불가능할겁니다. 전성기 장미란 누님이 데드 245kg인걸로... 약물 쓰는 무제한 체급 팔씨름 쪽 챔피언들은 가능할 것 같아요.
키타산 블랙
23/09/22 04:48
수정 아이콘
덤벨컬 하듯이 든다 <- 세계에 할 수 있는 사람 많이 없을것 같구요
데드리프드 하듯이 든다 <- 덤벨이라 바벨처럼 밸런스 맞추기 힘든게 아니라 중량운동 좋아하는 사람이면 가능할것 같아요
특히 스모로 하면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덤벨 맞춰놓고 일어설수 있어서
땅에서 조금이라도 떨어질정도로 든다 <- 많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831 [질문] 풀업 한개도 불가능합니다. [23] 파이억7850 23/09/27 7850
172830 [질문] 푸쉬업 빡센거 같네요. [3] 파이억7036 23/09/27 7036
172829 [질문] 배터리 거의 안써왔던 노트북이 전원연결상태에서 배터리가 다됐다며 꺼지네요 [14] Scene7813 23/09/27 7813
172828 [질문] 방심하다를 영어로 자연스럽게 어떻게 쓸까요? [16] 모나크모나크9122 23/09/27 9122
172827 [질문] 프라다 백 구매 질문입니다 [24] 월터화이트9155 23/09/27 9155
172826 [질문] 닌텐도 스위치용 어쌔신 크리드 질문 드립니다. [1] 먼산바라기7123 23/09/27 7123
172825 [질문] C드라이브 용량 부족 [4] LeNTE6696 23/09/27 6696
172824 [질문] 아이패드 중고구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1] 리코타홀릭6619 23/09/27 6619
172823 [질문] 노래방 음정 조절에서 정확하게 한 옥타브만큼을 내릴 수 있나요? [13] 별빛정원8348 23/09/27 8348
172822 [삭제예정] [디아 4] 부끄럽지만 틀린 그림 찾기 좀 도와주십시오 [2] 삭제됨7719 23/09/26 7719
172821 [질문] 무슨 벌레일까요? [1] 여자친구6924 23/09/26 6924
172820 [질문] 뮤지컬 관람 좌석 추천 부탁드립니다(블루스퀘어홀) [16] 귀여운호랑이7875 23/09/26 7875
172819 [질문] pc 고장 질문 입니다 [13] 박군9368 23/09/26 9368
172818 [질문] 크롬 엔비디아 이슈는 언제 고쳐질까요? [4] 폰지사기7456 23/09/26 7456
172817 [질문] 이거를 영어로 표현하면 어떤 말들이 적합할까요? [13] SaiNT9023 23/09/26 9023
172816 [질문] 건물 공사로 골목 통행을 막는 행위 신고하는 법 [5] 원해랑7170 23/09/26 7170
172815 [질문] 주택연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2] blessed8752 23/09/26 8752
172814 [질문] 보험점검전화 잊을만 하면 수 없이 계속 옵니다. [7] 애플댄스6504 23/09/26 6504
172813 [질문] 달리기(조깅)을 할 때 심박수가 너무 높은데, 훈련으로 나아질 수 있을까요? [27] superiordd9583 23/09/26 9583
172812 [질문] 차에 대한 고민 [34] 펩시제로라임8935 23/09/26 8935
172811 [질문] 곰팡이 검사지 같은게 있나요? [3] 개떵이다7467 23/09/26 7467
172810 [질문] 웹, 앱 UX/UI 기획 공부하는법? 학원? 같은게 있을까요 [4] 티맥타임7550 23/09/26 7550
172809 [질문] 여러분이 생애 마지막으로 먹고 싶은 음식은? [37] 쎌라비9182 23/09/25 91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