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19 14:49:17
Name 애플댄스
Subject [질문] 오락실 펌프 잇 업 더블하시는 분 입문 할 때 레벨 몇부터 하셨나요? (수정됨)
더블 모드를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옛날 펌프 1st부터 엑스트라까지 1999~2001년 기준으로 싱글 모드(주로, 하드나 크레이지 모드)할 동안 더블은 몇 판 밖에 안 했었습니다.

저는 버전 1st 기준 레벨2 난 널 원해 스테이지 실패한 기억이 생생하네요. 거기다가 1스테이지 브레이크 온이 설정되어 있어서 게임오버였고요.
(1스테이지 브레이크 온은 조금 과한 거 아닌가 한데...)

근데 저 당시 레벨이 2가 맞나 싶을 정도로 레벨 치고는 체감난이도가 높았던 걸로 생각합니다.

현재는 레벨8 정도 밖에 안 되는 실력이지만 10까지는 무난할 듯 싶으나, 11부터 슬슬 어려워지기 시작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무룩
23/09/19 14:59
수정 아이콘
입문은 초등학생때 한 판 가격이 비싸니까 둘이서 더블을 같이 했던게 입문이었네요 크크
펌프를 본격적으로 해본적은 없지만 한참 나중에 싱글 15~17쯤 할 때 더블을 하기 시작했고 대충 13~14정도부터 시작했습니다
하프더블 영역이 문제였는데 쪼끔 감을 익히니(쪼끔 익힌 상태에서 멈췄지만...) 금방 싱글 레벨이랑 같아졌구요
페로몬아돌
23/09/19 15:00
수정 아이콘
싱글에서 다 깨고 난 뒤에 더블 하지 않나요. 입문이 대부분 펑키투나잇인걸로 기억 하는데
기무라탈리야
23/09/19 23:04
수정 아이콘
펑키투나잇, 경고, 우리는
요하네
23/09/19 15:52
수정 아이콘
펌갤 추천으로 펌트리스 콰트로 D15(구13)을 죽어라 파다보니 18 이후의 패턴들까지도 어찌저찌 대처가 되긴 됩니다.
물론 겹발이나 떨기는 여전히 개인차가 심한 부분이라 이 부분에 대한 대처능력은 본인하기 나름이겠습니다만....
23/09/19 15:58
수정 아이콘
초반에도 레벨 개념이 있었군요. 저는 세컨드부터 입문했는데 기억이 잘 안 나네요. 하드는 몇 판 안하고 바로 더블로 넘어가서 EXTRA 때 그만둘 때까지 더블만 했네요. 더블 입문곡은 Funky Tonight으로 기억합니다. 당시 셀렉트 올 커맨드가 널리 알려지기 전이라서 스테이지별로 곡을 골랐는데, 더블 1스테이지의 경우 호기심, 싫어는 곡 자체가 취향이 아니었고 Tell me Tell me는 지나치게 쉬웠기 때문에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는 식으로 기억합니다.
사비알론소
23/09/19 21:55
수정 아이콘
더블은 싱글이랑 아예 다른 게임이라 생각했었습니다
크레이지 디그니티 깰때도 라푸스 더블 못깼던것 같은..
아브렐슈드
23/09/19 22:09
수정 아이콘
올라오거나 내려오는 노트를 판정선에 맞춰서 치는 스타일의 리겜을 아예 안 하신 분이라면 이걸 익숙하게 하는 것 부터가 챌린지입니다
[노트를 눈으로 보고] - [어떤 발판인지 인지하고] - [어떤 발을 어떻게 뻗어서 밟을 지 생각한 다음] - [몸을 움직여 밟는다]
라는 프로세스가 지체 없이, 막힘 없이, 별 생각 없이 자동적으로 되어야 그 다음 단계로 전진할 수 있는데,
입문하는 분들이 이걸 숙달하지 않은 채로 레벨만 올리다가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대략 70~80% 정도 보고 따라갈 수 있으면 클리어에는 별 문제가 없는데, 거기에 만족하고 다음 레벨로 빨리 가려고 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현재 무난하게 클리어하는 레벨 안에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한 곡을 완벽하게 하는 것]을 추천했었습니다
사실 외워서 한 곡을 올퍼펙트 치라는 소리인데, 이걸 위해서 노력하다 보면 위에 쓴 4단계에서 중간 2개를 건너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몇 곡을 해 보면 "일단 내 몸이 실제로 움직여 본 패턴에 대해서는 몸이 반자동으로 반응"하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조금 더 빠른 비트도 도전해보고, 새로운 패턴도 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굳이 단계로 나누자면...
1. 아마도 동체시력을 키우는 게 우선일 것 같네요. 배속을 걸고 빨리 올라오는 노트에 눈을 적응시켜야 합니다.
2. 여러가지 패턴을 따라가면서 허리틀기를 해 봐야 합니다. 15레벨 밑으로는 대부분의 패턴이 왼발-오른발-왼발-오른발 번갈아 나옵니다. 이 점을 인지하면서 부자연스럽더라도 몸을 돌려봅니다.
3. 눈과 몸이 익숙해지면 비트가 빠른 곡, 빠른 난이도에 도전합니다. 곡 마다 적혀 있는 BPM도 보시고, 같은 곡에서 레벨을 올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4. 더블은 1p-2p 중간 구간에서 익숙하지 않은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1-3단계를 어느 정도 하신 뒤에 도전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 갑자기 튀어나와서 장문으로 훈수 드리는 게 마음에 걸려서;;; 저는 1st 부터 지금까지 25년?째 계속 하고 있습니다.
애플댄스
23/09/20 21:27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오래하긴 했지만 공백기간이 많이 길었네요.
한화이글스
23/09/19 22:32
수정 아이콘
펑키투나잇이였습니다
기무라탈리야
23/09/19 23:07
수정 아이콘
세컨드부터 시작했으니 펑키투나잇 > 또다른진심 > 피버 or 뫼비우스의 띠 했습니다.
포커페쑤
23/09/19 23:20
수정 아이콘
요즘 펌프 시작하셨으면 저는 현재 어드벤스드1 겨우 딴정도인데 더블 처음입문할땐 제가 17~18레벨 싱글 하던때였는데 더블은 5~6레벨 하고있습니다. 일단 채보 리딩이되고 그다음 상체를 이용할줄알아야합니다. 저는 참고로 extra까지 중학교떄하다가 접다가 xx와서 다시 시작해서 저렇게 된 사례입니다.
STONCOLD
23/09/20 11:41
수정 아이콘
현재 더블25 7개 클리어한 익스퍼트4입니다. 옛날과는 게임시스템이 너무 많이 달라지긴 했는데 더블 입문은 빨리 하실수록 좋습니다. 제 경우엔 싱글15쯤 하면서 더블13-14부터 시작했네요.
애플댄스
23/09/25 14:58
수정 아이콘
와..엄청난 실력이네요..해골을 넘어선 단계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855 [질문] 스위치 파고들만한 jrpg추천 부탁드려요!! [33] 순경나부랭이10653 23/09/30 10653
172854 [질문] 추석연휴때 나홀로 바다좀 보러갈까하는데 [18] 앵글로색슨족7987 23/09/29 7987
172853 [질문] 원룸 찾기 관련 질문입니다. [10] 브라보7541 23/09/29 7541
172852 [질문] 차량 주행 중 잡음 질문입니다. [19] GoThree8767 23/09/29 8767
172851 [질문] 치과 선생님들께 질문/상담입니다. - 때운 것이 떨어졌는데...... [4] 카페알파8359 23/09/29 8359
172850 [질문] 추리 예능(ex데블스 플랜, 피의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6] 에바 그린9381 23/09/28 9381
172849 [질문] 방송에서 재벌가를 로열 패밀리라고 부르는 문화는 언제부터 생겼나요? [13] 상록일기9564 23/09/28 9564
172848 [질문] 스타벅스 쿠폰(기프티콘) 먼저 등록해놓기도 되나요? [3] N'Zoth8374 23/09/28 8374
172847 [질문] 추석당일 교대에서 영업하는 접대용 식당이 있을까요? [2] 안녕!곤7638 23/09/28 7638
172846 [질문] 롤 아시안게임 하이라트만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2] onDemand9091 23/09/28 9091
172845 [질문] 냉동 새우튀김 맛있는 게 있을까요? [8] 스토너9653 23/09/28 9653
172844 [질문] 노트북 배터리를 제거했더니 마우스가 제멋대로 움직입니다 [6] Scene8953 23/09/28 8953
172843 [질문] 컴맹 하드디스크 구매 질문입니다. [4] Alcohol bear7147 23/09/28 7147
172842 [질문] 외장 SSD 질문드립니다. [1] 이자크7756 23/09/28 7756
172841 [질문] 천박사/보스톤/거미집 먼저 보신 분들 계실까요? [5] kafka8514 23/09/28 8514
172840 [질문] 스타1 배틀넷아이디 생성 질문 [1] 아이시스 8.08125 23/09/28 8125
172839 [질문] 피지알 최다 리플 글이 어떤 글 이었을까요?? [11] 아오이소라카8136 23/09/27 8136
172838 [질문] 데스크탑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GTX 1660SUPER) [10] 이디야 콜드브루8695 23/09/27 8695
172837 [질문] 갤럭시, 빅스비, 모드 및 루틴 고수님 질문있어요! [4] 니이모를찾아서8615 23/09/27 8615
172836 [질문] 똥 질문입니다. [10] up8734 23/09/27 8734
172835 [질문] 사무실 내선번호로 바로 걸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6] 아델라이데8353 23/09/27 8353
172834 [질문] 이사한 집 주방에 있는 전선?의 용도가 뭘까요?(사진 유) [8] JrD_July7495 23/09/27 7495
172833 [질문] 갑자기 지금, 1박2일로 어디를 놀러갈까요? [7] 맥주귀신7996 23/09/27 79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