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19 14:49:17
Name 애플댄스
Subject [질문] 오락실 펌프 잇 업 더블하시는 분 입문 할 때 레벨 몇부터 하셨나요? (수정됨)
더블 모드를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옛날 펌프 1st부터 엑스트라까지 1999~2001년 기준으로 싱글 모드(주로, 하드나 크레이지 모드)할 동안 더블은 몇 판 밖에 안 했었습니다.

저는 버전 1st 기준 레벨2 난 널 원해 스테이지 실패한 기억이 생생하네요. 거기다가 1스테이지 브레이크 온이 설정되어 있어서 게임오버였고요.
(1스테이지 브레이크 온은 조금 과한 거 아닌가 한데...)

근데 저 당시 레벨이 2가 맞나 싶을 정도로 레벨 치고는 체감난이도가 높았던 걸로 생각합니다.

현재는 레벨8 정도 밖에 안 되는 실력이지만 10까지는 무난할 듯 싶으나, 11부터 슬슬 어려워지기 시작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무룩
23/09/19 14:59
수정 아이콘
입문은 초등학생때 한 판 가격이 비싸니까 둘이서 더블을 같이 했던게 입문이었네요 크크
펌프를 본격적으로 해본적은 없지만 한참 나중에 싱글 15~17쯤 할 때 더블을 하기 시작했고 대충 13~14정도부터 시작했습니다
하프더블 영역이 문제였는데 쪼끔 감을 익히니(쪼끔 익힌 상태에서 멈췄지만...) 금방 싱글 레벨이랑 같아졌구요
페로몬아돌
23/09/19 15:00
수정 아이콘
싱글에서 다 깨고 난 뒤에 더블 하지 않나요. 입문이 대부분 펑키투나잇인걸로 기억 하는데
기무라탈리야
23/09/19 23:04
수정 아이콘
펑키투나잇, 경고, 우리는
요하네
23/09/19 15:52
수정 아이콘
펌갤 추천으로 펌트리스 콰트로 D15(구13)을 죽어라 파다보니 18 이후의 패턴들까지도 어찌저찌 대처가 되긴 됩니다.
물론 겹발이나 떨기는 여전히 개인차가 심한 부분이라 이 부분에 대한 대처능력은 본인하기 나름이겠습니다만....
23/09/19 15:58
수정 아이콘
초반에도 레벨 개념이 있었군요. 저는 세컨드부터 입문했는데 기억이 잘 안 나네요. 하드는 몇 판 안하고 바로 더블로 넘어가서 EXTRA 때 그만둘 때까지 더블만 했네요. 더블 입문곡은 Funky Tonight으로 기억합니다. 당시 셀렉트 올 커맨드가 널리 알려지기 전이라서 스테이지별로 곡을 골랐는데, 더블 1스테이지의 경우 호기심, 싫어는 곡 자체가 취향이 아니었고 Tell me Tell me는 지나치게 쉬웠기 때문에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는 식으로 기억합니다.
사비알론소
23/09/19 21:55
수정 아이콘
더블은 싱글이랑 아예 다른 게임이라 생각했었습니다
크레이지 디그니티 깰때도 라푸스 더블 못깼던것 같은..
아브렐슈드
23/09/19 22:09
수정 아이콘
올라오거나 내려오는 노트를 판정선에 맞춰서 치는 스타일의 리겜을 아예 안 하신 분이라면 이걸 익숙하게 하는 것 부터가 챌린지입니다
[노트를 눈으로 보고] - [어떤 발판인지 인지하고] - [어떤 발을 어떻게 뻗어서 밟을 지 생각한 다음] - [몸을 움직여 밟는다]
라는 프로세스가 지체 없이, 막힘 없이, 별 생각 없이 자동적으로 되어야 그 다음 단계로 전진할 수 있는데,
입문하는 분들이 이걸 숙달하지 않은 채로 레벨만 올리다가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대략 70~80% 정도 보고 따라갈 수 있으면 클리어에는 별 문제가 없는데, 거기에 만족하고 다음 레벨로 빨리 가려고 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현재 무난하게 클리어하는 레벨 안에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한 곡을 완벽하게 하는 것]을 추천했었습니다
사실 외워서 한 곡을 올퍼펙트 치라는 소리인데, 이걸 위해서 노력하다 보면 위에 쓴 4단계에서 중간 2개를 건너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몇 곡을 해 보면 "일단 내 몸이 실제로 움직여 본 패턴에 대해서는 몸이 반자동으로 반응"하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조금 더 빠른 비트도 도전해보고, 새로운 패턴도 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굳이 단계로 나누자면...
1. 아마도 동체시력을 키우는 게 우선일 것 같네요. 배속을 걸고 빨리 올라오는 노트에 눈을 적응시켜야 합니다.
2. 여러가지 패턴을 따라가면서 허리틀기를 해 봐야 합니다. 15레벨 밑으로는 대부분의 패턴이 왼발-오른발-왼발-오른발 번갈아 나옵니다. 이 점을 인지하면서 부자연스럽더라도 몸을 돌려봅니다.
3. 눈과 몸이 익숙해지면 비트가 빠른 곡, 빠른 난이도에 도전합니다. 곡 마다 적혀 있는 BPM도 보시고, 같은 곡에서 레벨을 올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4. 더블은 1p-2p 중간 구간에서 익숙하지 않은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1-3단계를 어느 정도 하신 뒤에 도전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 갑자기 튀어나와서 장문으로 훈수 드리는 게 마음에 걸려서;;; 저는 1st 부터 지금까지 25년?째 계속 하고 있습니다.
애플댄스
23/09/20 21:27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오래하긴 했지만 공백기간이 많이 길었네요.
한화이글스
23/09/19 22:32
수정 아이콘
펑키투나잇이였습니다
기무라탈리야
23/09/19 23:07
수정 아이콘
세컨드부터 시작했으니 펑키투나잇 > 또다른진심 > 피버 or 뫼비우스의 띠 했습니다.
포커페쑤
23/09/19 23:20
수정 아이콘
요즘 펌프 시작하셨으면 저는 현재 어드벤스드1 겨우 딴정도인데 더블 처음입문할땐 제가 17~18레벨 싱글 하던때였는데 더블은 5~6레벨 하고있습니다. 일단 채보 리딩이되고 그다음 상체를 이용할줄알아야합니다. 저는 참고로 extra까지 중학교떄하다가 접다가 xx와서 다시 시작해서 저렇게 된 사례입니다.
STONCOLD
23/09/20 11:41
수정 아이콘
현재 더블25 7개 클리어한 익스퍼트4입니다. 옛날과는 게임시스템이 너무 많이 달라지긴 했는데 더블 입문은 빨리 하실수록 좋습니다. 제 경우엔 싱글15쯤 하면서 더블13-14부터 시작했네요.
애플댄스
23/09/25 14:58
수정 아이콘
와..엄청난 실력이네요..해골을 넘어선 단계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808 [질문] 자취 장소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삭제됨8436 23/09/25 8436
172807 [질문] 비싼 시계(오토매틱)는 왜 사는 걸까요. [39] 8억빠9987 23/09/25 9987
172806 [질문] 콜오브듀티 구매 질문입니다. 노잼7355 23/09/25 7355
172805 [질문] 한국의 해외 진출 역량은 어느 정도일까요? [11] 사람되고싶다8753 23/09/25 8753
172804 [질문] 전남지역(여수/순천/광주/담양 등등)에 경치 좋은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20] 목캔디9319 23/09/25 9319
172803 [질문] 런닝 훈련 질문입니다. [4] 대출 30년9266 23/09/25 9266
172802 [질문] 아시안게임 롤 영상 어디서 보죠? [2] 잉차잉차9513 23/09/25 9513
172801 [질문] PC 견적 질문 [6] 최적화8596 23/09/25 8596
172800 [질문] 모니터 고장인것 같은데요 [3] Vulture6821 23/09/25 6821
172799 [질문] 모니터 꺼진 상태에서 컴퓨터 켤 경우 경고음 문제입니다. [3] 귀여운호랑이7974 23/09/25 7974
172798 [질문] 배트맨 아캄시리즈 전편 안해봐도 상관없을까요? [15] 포포7793 23/09/25 7793
172797 [질문] 자동차 계약 및 출고 관련 질문드립니다. [12] 원스6587 23/09/25 6587
172796 [질문] 나스와 TV 연결방법 문의 드립니다. [9] 황신강림6875 23/09/25 6875
172795 [질문] 제주도 안의 택배 질문? [6] 당근병아리6689 23/09/25 6689
172794 [질문] (사진 없음)환 공포증은 의학적으로 정말 없나요? [8] 무냐고9452 23/09/25 9452
172793 [질문] PC가 많아지면 공유기 스펙 중 어느 항목이 중요해지나요 앗흥7846 23/09/25 7846
172792 [질문] 갤럭시 스마트폰 '특정 확장자' 연결프로그램 설정법 문의 앗흥6843 23/09/25 6843
172791 [질문] 롤 계정이 해킹당했는데...뭔가 이상하네요? [6] 스톰윈드수비대장8259 23/09/25 8259
172790 [질문] 아이들 키 크는 영양제 실제로 효과가 있나요? [16] 민서8483 23/09/25 8483
172789 [질문] 맥-윈도우간 외장하드 안전하게 사용하는법 [3] 따루라라랑6080 23/09/24 6080
172788 [질문] 성인 왕초보영어 공부 [10] 빠르7905 23/09/24 7905
172787 [질문] 연휴때 귀향길 안막히는 시간대 질문입니다. [10] 싸구려신사8305 23/09/24 8305
172786 [질문] 돈문제 관련 질문입니다. [23] 마제스티8256 23/09/24 82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