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9 08:49:29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스타크래프트 1 래더에서 프로토스 유저들이 제일 많은 이유가 뭘까요?
제가 피지알에 아주 오랜만에 스타크래프트 1 래더 배치를 한 소감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실제로 통계를 보니까 래더게임 대부분의 구간대에서 프로토스 유저들이 압도적으로 많더군요

제가 학생이던 2005년, 2006년 때만 해도 래더에서 프로토스 유저들 비율이 이렇게 많지는 않았던거로 기억하는데

무슨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클로로 루실후르
23/09/09 09:18
수정 아이콘
아마 레벨에서는 프로토스가 가장 세다는게 정설일겁니다.
(초고수 레벨 아니라면)
테란은 원래 상성이고,
저그랑도 반반 하니까요
미카엘
23/09/09 09:20
수정 아이콘
질럿이 되게 세요
완성형폭풍저그
23/09/09 09:26
수정 아이콘
저그유저인데 플토가 쉽긴 쉬워요.
저그는 부대지정이 거의 불가능해서 중요한 몇개만 해두고 나머지는 드래그 어택땅인데 플토는 부대지정 4~5개면 왠만해선 해결이 되고요.
테란은 바이오닉 아차하면 럴커에 몰살당하는데, 플토는 몇번 긁혀도 아차 빼야지 하면 큰 손상없이 뺄 수가 있어서 편해요.
멀티 활성화도 해쳐리 완성 때까지 아무것도 못하는 저그나, 일꾼이 여러마리 몰려가서 건물지어야 하는 테란과 달리 일꾼 한마리 스윽 들어가면 멀티 방어까지 든든하게 지어지는 것도 편하고 레더 abc구간에서는 플토가 공굴리기 너무 편하고 좋은 것 같아요.
이민들레
23/09/09 09:41
수정 아이콘
쉬워서..? 질럿드라군이면 거의 해결되고 포토캐논도 좋고.
T.F)Byung4
23/09/09 10:08
수정 아이콘
테란 등에 비해 요구되는 APM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오랜 고인 물들이 하기에 나은 면도 한몫 할듯요.
이재인
23/09/09 10:09
수정 아이콘
포크
손금불산입
23/09/09 10:12
수정 아이콘
많이 먹고 많이 뽑는게 기본적으로 안되는 초보 레벨에서 일단 뽑아 놓으면 가장 센게 플토죠
EurobeatMIX
23/09/09 11:42
수정 아이콘
맞아요 이부분이 제일 크다고 봅니다 질럿한번뽑을동안 마린은 두번돌려야 되는데 초보레벨은 그게안되어서 질럿하나에 마린도 하나나오면 당연히 못이기니까.
페로몬아돌
23/09/09 10:57
수정 아이콘
기본 유닛들 체력이 좋아서 잘 안 죽음. 포토가 공대지를 다 커버 함. 이거 때문에 손을 많이 쓸 필요가 없죠.
토스히리언
23/09/09 10:57
수정 아이콘
메타의 발전으로 2005년에 비해 게임이 요구하는 멀티태스킹이 현저하게 늘었는데 그나마 프로토스가 영향을 덜 받아서 그런 것 같아요

라떼만 해도 황밸의 랜덤유저였는데 이제 저그는 너무 어려워져서 엄두가 안 나더군요
이빨곰
23/09/09 11:04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는 저그였는데 늙어서 못 해요
EurobeatMIX
23/09/09 11:40
수정 아이콘
입문이 쉬워요. 생산 매커니즘상 실력이 떨어질수록 강해요. 한 래더 b까지는 토스가 동실력으로 제일 강하고 a정도되면 슬슬 비벼나가서 s정도되면 방송으로 보던 밸런스가 생기기 시작하는 느낌입니다.
이혜리
23/09/09 12:08
수정 아이콘
늙어서.. 그래요..
저도 주종 저그였는데 늙어서 멀티테스킹도 잘 안되고 한 번 삐끗하면 수습도 안되고..
23/09/09 12:34
수정 아이콘
드래군이 답답해서 많이 까이지만 질럿좀 섞고 무지성 뽑기만해도 강력한 전천후 유닛이죠. 질럿은 말할꺼도없고요. 기본유닛이 초중후반 다 무난하게 쓰기좋습니다.
카사네
23/09/09 12:36
수정 아이콘
아마 수준에는 프로토스가 쉽고 가장 강하죠 뭐
윤지호
23/09/09 12:41
수정 아이콘
유닛 하나하나가 쎄기때문에 초반 멀티태스킹에서 토스가 이득볼 확률이 높습니다.
역상성인 프저만 예를 들어봐도 겟더블 출발 후 저그본진에서 질럿이 실갱이 부리는 상황에서, 토스는 그냥 미네랄 뒤나 구석에 홀드 박아놓고 잠깐 본진가서 건물짓고 와도 됩니다. 근데 저그는 그거 잡을려면 링 하나하나 컨 해줘야되는(1:1로 안싸우게) 상황이 생기죠.
탄단지
23/09/09 12:44
수정 아이콘
쉽고 쎄서
밥과글
23/09/09 12:52
수정 아이콘
여러분은 왜 프로토스를 시작하십니까 라고 물어보면은

하드코어 질럿 러쉬가 정말 좋기 때문에
교대가즈아
23/09/09 14:03
수정 아이콘
어택땅으로 싸웠을 때 제일 효율이 좋거든요. 테란은 압도적이지 않는 이상 어택땅이 아예 안 되는 종족이고, 저그도 특정 상황이 아니면 어택땅이 안 되는 종족인데, 토스는 어느 종족전이건 기본 싸움이 어택땅 + 소수 마법 유닛 컨트롤이라 그렇습니다. 이 점 때문에 전투 상황에서의 고점이 마법 유닛에 달려있고 이 마법유닛의 컨트롤 여하에 따라 테사기와 저사기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대신 저점이 상당히 높죠.
드랍쉽도 잡는 질럿
23/09/09 14:05
수정 아이콘
옛날부터 유저가 많았죠.
플레이 난이도도 난이도고, 디자인이나 스토리나 종족 자체가 인기가 많아서 그런 것도 크죠.
23/09/09 14:21
수정 아이콘
쉽고 쌔기 때무네?
(여자)아이들
23/09/09 14:34
수정 아이콘
초보 입문 종족에 가장 탁월해요.
쉽고 편하고 쎄다. 다만... 최고점으로 가면 한계가 있는..
저 중딩 때 스타도 더럽게 못 해서 친구들과 아이들에게 비웃음당하고 스타X밥으로 놀림당했죠. 첨부터 줄곧 저그만 했거든요,..저그를 좋아하고 외계 벌레나 에일리언 좋아해서..
그러다가 3학년 때 토스로 종족 바꿔서 얘들과 팀플을 시작한 후론...스타 잘하는 얘로 학교에서 소문이...
쉽고 안정감있고, 초반 유닛이 강해서 일당백이에요.
저그나 테란은 진짜 빠릿빠릿하고, 당시에도 비디오 게임도 잘하던, 게임 잘하는 얘들이 주종으로 하고 잘했죠.
사상최악
23/09/09 15: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처음부터 계속 가장 많았습니다.
제일 쉽고, 제일 세죠.
valewalker
23/09/09 17:59
수정 아이콘
갑자기 궁금해졌는데 워3 래더는 어느 종족이 제일 많고 난이도가 쉬운편일까요? 휴먼 아니면 오크일려나
알빠노
23/09/09 18:56
수정 아이콘
딱딱이가 좋습니다
카바라스
23/09/09 19:48
수정 아이콘
zd원툴로도 어느정도 겜은 다 되니까요
23/09/09 20:04
수정 아이콘
이영호급 아닌 이상 테란은 프로토스에 후달립니다.
김유라
23/09/10 10:12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동감. 보통 프로씬에서 상성 난이도가 테저 > 저프 > 프테 인데, 개인적으로 아마 쪽은 딱 반대라고 봅니다.

일단 테란해서 전선 주도권을 잡고 형성하기가 아마 레벨에서 굉장히 어렵죠. 컨트롤은 덤이고요.
저프전은 저그가 운영으로 토스를 조져놔야 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아마 영역에서 꽤나 까다롭고... 거지같은 땡히드라(?) 빼면 아마 쪽은 저프전이 생각보다 수월하죠. 그런데 그거 하나가 너무 커서 그렇지.
캐러거
23/09/10 01:04
수정 아이콘
저는 확실히 늙어서 그런듯ㅠ
주종인 테란이고 나름토스잘잡았는데도 이젠 지침
승률대폭상승!
23/09/10 02:25
수정 아이콘
보는것과 달리 해보면 공격적인 종족인데 쉽고 쌤
23/09/10 02:44
수정 아이콘
저테하면 진짜 어이없이 한번실수로 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636 [질문] 앱 개발 입문서 [2] 티타늄6588 23/09/16 6588
172635 [질문] 기사시험 실기를 준비중인데 공부를 너무 빨리(?) 마쳤습니다. [5] WhiteBerry8532 23/09/16 8532
172634 [질문] 화장실 등이 나갔는데 냄새가 이상합니다. [3] 아밀다6874 23/09/16 6874
172633 [질문] 다급/절실] 3~4일간 알차게 마무리 가능한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37] 비 평 = 이 백 만10771 23/09/15 10771
172632 [질문] 홈텍스 관련 질문 [4] 원딜은안해요6681 23/09/15 6681
172631 [질문] 3프로 네이버페이 포인트적립 또는 1.2프로 할인 어떻게 할까요? [8] 콩순이7513 23/09/15 7513
172630 [질문] 인천공항 주차 질문입니다. [9] Nothing Phone(1)6338 23/09/15 6338
172629 [질문] 혹시 각자 쓰시는 중국어 번역기가 있다면 번역 제일 잘되는 걸로 추천해주실 수있을까요 별가느게6381 23/09/15 6381
172628 [질문] 사용중인 스마트폰 한글 자판 [77] 반대칭고양이21939 23/09/15 21939
172627 [질문] 이벌레는 이름이 무엇인가요?(사진주의) [13] 교자만두7474 23/09/15 7474
172626 [질문] 미러리스 a6700 vs r8 중에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크루개7962 23/09/15 7962
172625 [질문] 넷플릭스 애니 질문입니다. [2] 하얀샤프란6583 23/09/15 6583
172624 [삭제예정] 친구 부고소식을 오랫동안 연락 안했던 다른 친구에게 알리는게 좋을까요? [44] 삭제됨9108 23/09/15 9108
172623 [질문] 갤럭시 탭에서 글자체 깨져서 열리는 것 해결 방법 문의 수타군5976 23/09/15 5976
172622 [질문] PC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유자마카롱6768 23/09/15 6768
172621 [질문] 키와 근육의 상관관계에 대한 궁금증 [36] 시무룩7305 23/09/15 7305
172620 [질문] 일본야구 한신 우승이 어느정도인건가요? [9] 리나장6840 23/09/15 6840
172619 [질문] 일본에 대해 공부하고 싶습니다 [15] 0126양력반대8091 23/09/15 8091
172618 [질문] 라데온 7900 xtx 쓰는데 방이 너무 더워지네요. 방법이 없을까요? [7] 곰돌곰돌파트나8249 23/09/14 8249
172617 [질문] 게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3] 기대7588 23/09/14 7588
172615 [삭제예정] 직장동료에게 돈을 빌려줬습니다 [6] 삭제됨8013 23/09/14 8013
172614 [질문] 맨투맨 브랜드 추천 좀 부탁드려요. [9] 지금이대로7099 23/09/14 7099
172613 [질문] 푸쉬업바 하나로 홈트 어느정도 가능한가요? [20] rukawa7339 23/09/14 73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