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11 21:04:22
Name 퍼피별
Subject [질문] 통풍약 복용 고민 (수정됨)
통풍과 관련해서 경험해보셨던 분들이나 의사 선생님, 약사 선생님 조언좀 구하고 싶습니다.
고요산 증상자인데 십년 넘게 7.x 대를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건진 초기 내과 상담때도 그랬고 일반적으로 9 이상이 아니면 통풍 무증상자는 약물치료를 안하는 것으로 알고있었거든요. 근데 최근 각기 다른 치료로 내과 두분, 정형외과 한 선생님으로부터 통풍 무증상이더라도 약물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게 좋다는 조언을 주시네요. 최근에는 처방전까지 받아서 페브릭정을 사왔는데 이걸 먹는게 맞는지 아직 고민중이예요. 무증상 통풍 고요산자에게 권하지 않는게 혹시 부작용이나 다른 안좋을수 있을 상황이 있을런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11 21:40
수정 아이콘
주호민 작가의 통풍 학회 다녀온 썰 보면 요산 수치를 6이하로 유지하는걸 권장한다고 하더라고요.
23/07/11 21:43
수정 아이콘
의사-약사는 아니지만 예전에 통풍으로 고생한 적이 있어서 좀 말씀드리자면, 일단 의사가 체혈검사를 한 후에 내린 처방이라면 다 이유가 있을테니 의사의 권고에 따르는게 좋습니다. 당장에 통풍증상은 없더라도 고요산혈증이 있으면 신장결석, 신장질환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페브릭정이 40mg 또는 80mg 두 가지가 있는데 무증상일 때 그정도 용량을 하루 1정 복용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습니다.

참고: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09090300019 (페브릭정에 대한 정보)

참고: https://www.healthpro.or.kr/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oZWFsdGhwcm8vaHRkb2NzL3VwbG9hZC9zdHVkeS8wMS4gv6y89rCtwcIgMTEuIMPWwOew5iC8sbv9tNQucGRm&filename=MDEuIL+svPawrcHCIDExLiDD1sDnsOYgvLG7/bTULnBkZg== (무증상 고요산혈증의 치료와 관리)
23/07/11 21:49
수정 아이콘
통풍발작이 없었으면 먹을 근거는 약합니다. 더 궁금하신건 쪽지주세요~
다부짐
23/07/11 22:56
수정 아이콘
류마티스내과 전문의입니다.
무증상 고요산혈증은 치료 대상이 아닙니다.
괴물군
23/07/11 23:58
수정 아이콘
저도 통풍때문에 좀 고생했었는데 의사선생님마다 차이는 좀 있더라구요 전 정형외과 의사선생님께서 통증이 없으면 굳이 먹지 말고

음식조절하면서 요산수치 신경쓰라고 하시더라구요 급성으로 올때만 먹으라도 약은 주셨습니다. 간에 부담이 된다고 장복은 권하시진 않더군요
퍼피별
23/07/12 00:04
수정 아이콘
답글 달아주신 회원님들, 의사 선생님들 우선 감사드립니다^^
두분 선생님께서 부정적인 의견 주시니 아무래도 그쪽으로 쏠리긴 하네요. 제가 알고있던 정보도 그렇긴 했고요.
그나저나 집근처 주치의처럼 다닐 동네 내과라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데 뭐라하시는건 아닌지 걱정이네요. 그 선생님 입장에서는 환자가 지 맘대로 결정해서 처방을 안따른 모양새라^^
나만한량
23/07/12 08:54
수정 아이콘
통풍 발작 두번 격고 나니 맘편히 먹게 되드라고요. ^^

예전에는 매일 먹었는데 이제는 선생님이 이틀에 한번 최근에는 용량 적은 페브릭 40으로 바꿔서 이틀에 하나씩 먹고 있습니다.
요산 수치는 약을 먹어서인지 5대로 관리가 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통증이 없으시다면 일단 안먹으셔도 되는데 선생님과의 관계를 생각한다면 드시고 있다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요산 관리는 한다는 전제로요. ^^
퍼피별
23/07/12 09:55
수정 아이콘
지난주 진찰과 처방 통해서, 두달 뒤 고지혈증과 함께 검사 일정 잡았거든요. 약 먹는다고 뺑끼치진 못할거 같아요^^ 진찰때도 슬쩍 위 선생님들과 같은 의견을 내비쳤는데, 비전문가가 전문의 앞에서 강한 주장 낼수있는 상황은 아니라 바로 꼬리내렸습니다 하하
Cazellnu
23/07/12 14:30
수정 아이콘
그 혹시 체중은 어떻게 되시는지요.
다이어트하고 체중 유지하니 요산 확 내려가더라구요.
퍼피별
23/07/12 17:37
수정 아이콘
고요산증은 십년넘었고요, 고지혈증때문에 근력 운동이랑 테니스를 1년 넘게 해와서 5킬로 정도 줄였습니다. 근데 요산 수치는 안떨어지네요. 체중은 평균정도예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672 [질문] 회의실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리얼포스6694 23/07/17 6694
171671 [질문] 일반 모니터도 pd 충전기로 사용이 될까요? [3] 귀여운호랑이7609 23/07/17 7609
171670 [질문] 주로 게임용 pc 견적 부탁드립니다. [8] 리린7654 23/07/17 7654
171669 [질문] 미국 블루밍턴 치안 문의 [9] 화서역스타필드7480 23/07/17 7480
171668 [질문] 서울대 근처에 주차 무료이자 업무 보기 좋은 카페가 있을까요? 알렉스터너6829 23/07/17 6829
171667 [질문] 휴대폰 수리에 있어서 삼성케어플러스와 기존 삼성서비스센터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5] 리클라이너6792 23/07/17 6792
171666 [질문] 와이파이 신호관련 질문입니다. [2] Restar7443 23/07/17 7443
171665 [질문] IT개발회사에서 실무를 잘모르는 상사 대처방법 궁금합니다 [19] 삭제됨7273 23/07/17 7273
171664 [질문] nba 올스타전 쇼다운 질문입니다 seotaiji7037 23/07/17 7037
171663 [질문] 컴퓨터 계정에 다른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50기가 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오하영7733 23/07/16 7733
171661 [질문] 스마트폰에서의 유튜브 차단 [13] 콩알이9269 23/07/16 9269
171660 [삭제예정] 연인과의 데이트 횟수 문제와 결혼 [16] 삭제됨8884 23/07/16 8884
171659 [질문] 플스 vs 엑스박스 무엇을 살까요? [44] 림샷10101 23/07/16 10101
171658 [질문] 핸드폰 성지vs자급제 뭐가 더 싼가요? [22] 키모이맨10634 23/07/16 10634
171657 [질문] CPU 업글 질문입니당 [3] 삭제됨8753 23/07/16 8753
171656 [질문] 요즘 기자들은 왜 전문적인 느낌이 안들까요? [33] 10210881 23/07/16 10881
171655 [질문] 매트리스 위에 떨어뜨린 스마트폰에 화면 가득 가로줄이 생겼습니다. [4] Scene7949 23/07/16 7949
171654 [질문] 리튬이온 전지 만들어볼수있을까요? [5] Darkmental6874 23/07/16 6874
171653 [질문] 교통사고 민사소송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요? [5] 유니꽃8760 23/07/16 8760
171652 [질문] 세계문학작품 추천부탁드립니다 [29] rDc669476 23/07/15 9476
171651 [질문] 파밍이 재밌는 싱글 가능한 RPG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수금지화목토천해15572 23/07/15 15572
171650 [질문] 살면서 충격적이었던 사회적 사건사고들이 있으신가요? [45] 상록일기9719 23/07/15 9719
171649 [질문] 피쟐러 선배님들, 밀가루 음식 먹으면 바로 몸에 신호나 변화가 오시나요? [14] 푸끆이8815 23/07/15 88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