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09 11:34:56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한국 기준 게임 goat 는 뭘까요?

게임완성도, 대중성, 판매량, 사회적 영향력..등등..

모든 게임 통틀어서, 종합적인 기준을 합쳐 goat 를 뽑는다면 어떤 게임일까요?

윷놀이, 화투, 바둑 같은 게임은 제외하고..

피씨나 콘솔게임으로 한정한다고 했을때 말이죠..

pgr21 이다보니 스타1 이 딱 떠오르는데..

스타1을 넘어설 게임이 있을까요?

다른 분들이 보기엔 어떠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S Tony Parker
23/07/09 11:43
수정 아이콘
여기선 스1이고 다른데선 롤이겠죠
연령대가 있다보니
콘칩콘치즈
23/07/09 11:49
수정 아이콘
스1이나 롤중 하나인데 전 스1이라고 생각합니다
피죤투
23/07/09 1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피방 최장기간 1위,핵인싸겜,e스포츠 흥행,10년 넘게 지금도 잘나가는 롤
동네노는아이
23/07/09 12:03
수정 아이콘
매출액으로 보면..리니지...
23/07/09 12:31
수정 아이콘
창세기전?
아카데미
23/07/09 12:40
수정 아이콘
롤?
23/07/09 12:54
수정 아이콘
스1
23/07/09 13:23
수정 아이콘
스타, 롤, 리니지..정도 아닐지?
23/07/09 13:33
수정 아이콘
스1
나른한오후
23/07/09 13:57
수정 아이콘
와우라고 생각합니다.
23/07/09 13:59
수정 아이콘
롤루?
항정살
23/07/09 13:59
수정 아이콘
Pc방을 탄생 시킨 스타1
23/07/09 14:24
수정 아이콘
스타,와우
23/07/09 14:34
수정 아이콘
GOAT의 기준이 뭐냐에 따라 다르긴 한데 대중성이면 롤이 맞죠.
포프의대모험
23/07/09 14:38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면 스타 게임이면 롤
알카즈네
23/07/09 15:17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goat는 디아2이지만 객관적으로 따지면 명백하게 LOL이라 생각합니다.
23/07/09 15:45
수정 아이콘
wow s1 d2 lol 이게 4강인건맞는데
갓기태
23/07/09 17:07
수정 아이콘
LOL이죠 스1은 서든 등등 따인적 많아요 손스타자체가 빡세기도하고
그말싫
23/07/09 17:57
수정 아이콘
객관적으론 롤이고 스타는 상징성으로 비벼보기는 가능
와우, 디아2는 개오바죠.
23/07/09 18:27
수정 아이콘
23/07/09 19:09
수정 아이콘
유투브, 인터넷 방송과의 시너지로 인해 뇌절, 자강두천 같은 표현도 예능 방송에서 사용될 정도로 롤이 젊은 세대에 끼친 영향력이 어마어마 하죠. 저는 배그도 스타1을 넘었다고 보는 쪽입니다.
23/07/09 23:52
수정 아이콘
뇌절, 자강두천이 롤때문에 사용되는 단어였나요...? 뇌절은 그냥 옛날부터 있어오던 단어고 자강두천은 사자성어 아닌가요?
23/07/10 00:03
수정 아이콘
롤과 관계는 저도 잘 모르겠는데
뇌절은 나루토에서 가져온 말이라 오래된 말이 아닙니다
자강두천은 자존심 강한 두 천재의 줄임말입니다
신조어에 속하는 거고 사자성어랑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23/07/10 00:12
수정 아이콘
오 잘 배워갑니다
지니쏠
23/07/10 00:51
수정 아이콘
자강두천은 아마 관전채널에서 페이커대 도파의 싸움을 포장하는 말이었던가 할거예요
23/07/10 09:34
수정 아이콘
이게 정확하겐 기억이 안 나는데
젤 첨은 트롤하는 두놈을 비꼬다가 나왔었고
이후에 좋은 뜻으로 바뀐 케이스일겁니다.
23/07/10 00:50
수정 아이콘
자강두천은 롤에서 나온게 맞습니다
지니쏠
23/07/10 00:53
수정 아이콘
스타 용어도 예능방송에서 사용될 정도로 엄청난 영향 끼친게 많아요. 지금도 인터넷 밈이 디시에서 많이 나오지만, 그때는 지금보다 더 압도적인 인터넷 선두주자가 디씨인사이드였고, 그중에서도 소위 '수도' 가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였거든요. 시대를 풍미했던 삼체, 아직도 사용하는 주작, 그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데 당장 생각이 안나네요.
지니쏠
23/07/10 00:56
수정 아이콘
버로우, 지지, 클로킹, 스캔, 양학 같은 용어도 아직도 생명력이 제법 남아있고요.
BALENCIAGA
23/07/10 02:07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
23/07/10 07:23
수정 아이콘
아이돌로 치면 스1이 HOT라면 롤은 방탄 같은 느낌.. 상징성은 스1이긴 하지만 사실상 goat라고 하면 lol이 맞겠죠.
김유라
23/07/10 09:17
수정 아이콘
저도 현 시장의 파이를 봤을 때 롤이라는데는 이견이 없지만, 그 근거로 "한국에서의 대중성" 으로 롤을 들이밀기에는 좀 달리죠.

막말로 80년생 이상한테 스타1 유닛/스킬 읊는것처럼 롤 챔피언/아이템/스킬 읊을 수 있냐고 물어보면 몇 개나 알겠어요?
카바라스
23/07/10 18:47
수정 아이콘
23/07/11 17:18
수정 아이콘
당연히 롤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684 [질문] 시놀로지 나스 외부접속 문제 문의 [2] 츠라빈스카야6547 23/07/18 6547
171682 [질문] 헬린이 입니다. 앞으로 운동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탄야5868 23/07/18 5868
171681 [질문] 게이밍 노트북을 사려고합니다 [8] 티아라멘츠7171 23/07/18 7171
171680 [질문] 이거 혹시 바퀴벌레 인가요?.... [12] CastorPollux9877 23/07/17 9877
171679 [질문] 광주 챔피언스필드 근처 맛집 질문 드립니다. [8] 딴따라9569 23/07/17 9569
171678 [질문] 갤 폴드5 자급제폰 싸게 사는 방법이 뭘까요 [14] 앗흥8720 23/07/17 8720
171677 [질문] 독일이 영국, 프랑스보다 더 GDP가 높은 이유가 뭔가요? [21] Rays8545 23/07/17 8545
171676 [질문] 밀키트 음식 맛있는 거 추천부탁드립니다 [9] 보로미어7729 23/07/17 7729
171675 [질문]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20] 감자돌돌이8311 23/07/17 8311
171674 [질문] 도체구 접촉시켜서 전하분배되는 경우 [2] 스핔스핔8097 23/07/17 8097
171673 [질문] 나이 들어가면서 정치성향이 보수적으로 되는건 일반적인가요? [36] 상록일기8350 23/07/17 8350
171672 [질문] 회의실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리얼포스6560 23/07/17 6560
171671 [질문] 일반 모니터도 pd 충전기로 사용이 될까요? [3] 귀여운호랑이7555 23/07/17 7555
171670 [질문] 주로 게임용 pc 견적 부탁드립니다. [8] 리린7543 23/07/17 7543
171669 [질문] 미국 블루밍턴 치안 문의 [9] 화서역스타필드7362 23/07/17 7362
171668 [질문] 서울대 근처에 주차 무료이자 업무 보기 좋은 카페가 있을까요? 알렉스터너6755 23/07/17 6755
171667 [질문] 휴대폰 수리에 있어서 삼성케어플러스와 기존 삼성서비스센터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5] 리클라이너6678 23/07/17 6678
171666 [질문] 와이파이 신호관련 질문입니다. [2] Restar7348 23/07/17 7348
171665 [질문] IT개발회사에서 실무를 잘모르는 상사 대처방법 궁금합니다 [19] 삭제됨7195 23/07/17 7195
171664 [질문] nba 올스타전 쇼다운 질문입니다 seotaiji6916 23/07/17 6916
171663 [질문] 컴퓨터 계정에 다른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50기가 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오하영7645 23/07/16 7645
171661 [질문] 스마트폰에서의 유튜브 차단 [13] 콩알이9130 23/07/16 9130
171660 [삭제예정] 연인과의 데이트 횟수 문제와 결혼 [16] 삭제됨8770 23/07/16 87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