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6 19:40:13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Subject [질문] 승률제, 승점제의 장단점이 각각 뭘까요?
스포츠 알못인데요,

리그 돌리는 경쟁 스포츠들 보면 야구 농구는 승률제고 축구 배구는 승점제인데

어떤 점 때문에 이런 차이가 있는건지 알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만 이런 것도 아니고 전세계적으로 거의 같은거 같은데 알못 입장에선 승점제가 직관적이긴 하지만 나름 이유가 있겠지요?

어떤 특징 때문에 그런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현종
23/06/26 19:45
수정 아이콘
축구는 1무= 0.5승이면 수비적으로 무승부를 노리는 전략 때문에 지루해질 수 있습니다.
23/06/26 19:47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는 잘 모르겠고 축구가 승점제인것은 비교적 무승부가 자주나는 스포츠라서 무승부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승률변동이 심해서 계산이 까다롭기도 하고 승리시 3점, 무승부시 1점으로 부여해서 무승부 대비 승리의 가치를 높여서 더 공격적이고 득점이 많이 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함으로 알고 있어요.
23/06/26 1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승점제의 경우 보통은

1. 무승부가 많이 나는 스포츠(축구 같은 경우)
2. 배구의 경우에는 3:0, 3:1 승리와 3:2 승리에 차등을 주는 차등승점제를 시행 중 -> 국제배구연맹 쪽에서는 박진감 있는 경기를 유도하기 위해서라고 밝힘

사실상 1도 2에 포함되는 이유일텐데
승리의 보상을 늘려서 무승부나 전력을 아끼는 걸 피하고 정규시즌의 비중을 늘리는 방법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23/06/26 20:43
수정 아이콘
야구는 무승부를 경기 수에서 제외하는 방법(승률제), 0.5승으로 계산하는 방법(실질적 승점제), 무승부를 경기 수에 포함하는 방법(실질적 다승제)
이 3가지 방식을 왔다 갔다 했는데 실질적 다승제를 하던 때는 말공격 팀이 앞서지 못 하면 사실상 던지는 경기들이 나오는 문제가 있었고,
실질적 승점제를 할 때는 다승에서 뒤지더라도 무승부가 많으면 앞설 수 있어서 무승부의 가치가 너무 크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승률제의 경우엔 승률 5할을 기준으로 무승부의 유불리가 나뉘기 때문에 무승부의 가치가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어 승률제를 가장 많이 썼습니다.

축구의 경우엔 승률제(또는 다승제)를 하기엔 무승부의 비중이 너무 많고 경기수가 적기 때문에 승점제를 사용하는데
과거에는 승리 2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의 승점제를 사용했는데 지나치게 무승부를 노리는 경기가 많다 보니
승리 시에 승점 3점으로 바꿔 무승부와의 가치에 차이를 더 크게 부여했습니다.

농구의 경우는 무승부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승률제(다승제)를 사용합니다.

배구의 경우도 무승부가 없는 스포츠라서 일반적으로 승률제(다승제)를 썼지만 농구와 달리 종합 스코어가 아닌 세트 스코어 경기다 보니
세트에서 밀린다 싶으면 다음 세트 생각해 해당 세트를 버리는 단점이 존재했습니다. 이 단점을 해결하고 조금 더 적극적으로
세트를 따내는 경기를 유도하기 위해 승리 3점, 패배 0점, 3:2 승리 2점, 2:3 패배 1점의 승점제를 도입했습니다.

무승부가 없는 종합 스코어 스포츠에선 승리 아니면 패배기 때문에 승률제, 다승제, 승점제의 결과가 동일합니다.
무승부가 없는 세트 스코어 스포츠에선 승률제와 다승제의 결과는 동일하고 승점제의 경우 차이를 둘 수 있습니다.
무승부가 있는 종합 스코어 스포츠에선 승률제, 다승제, 승점제의 결과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종목의 특성에 맞춰 적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423 [질문] 요즘 건의게시판 가동되고 있나요? [7] Dresden6286 23/07/02 6286
171422 [질문] 머리 염색이 잘못되서... 재염색하면 문제될까요..? [6] 까만고양이7745 23/07/02 7745
171421 [질문] 인터넷에서 물건 산 이야기에요. [3] 좋은마음7495 23/07/02 7495
171420 [질문] asus 랩탑 tdp 질문 있습니다 [1] 인생은서른부터7149 23/07/01 7149
171419 [질문]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 질문입니다 [9] 니체9286 23/07/01 9286
171418 [질문] 보라카이 vs 푸켓 비교 [5] 김보노11789 23/07/01 11789
171417 [질문] 테니스) 2개월차 테린이 질문있습니다~ [11] 꿀깅이5925 23/07/01 5925
171416 [질문] 미국 팁문화에 대해 궁금한 점.. [9] 나혼자만레벨업9046 23/07/01 9046
171415 [질문] 부러진 철제다리 어떻게 수리할 수 있을까요?? [17] 모나크모나크7707 23/07/01 7707
171414 [질문] 태어난김에 세계일주2 인도 결혼식 주작인가요? [36] 생각이11491 23/07/01 11491
171413 [질문] 기술이 발달하면 인식을 바꿀 수 있을 까요? [7] 베요네타7479 23/07/01 7479
171412 [질문] 아직도 인터넷은 KT인가요?? [10] 꿀벌7801 23/07/01 7801
171411 [질문] 전세금 반환 임차권 등기 설정 등 질문입니다. [1] 라온하제7743 23/07/01 7743
171410 [질문] 축구선수 능력치(오버롤) 가장 권위있는 게임은 뭔가요? [15] 후루꾸8853 23/07/01 8853
171409 [질문] 음식을 남긴 상태로 벌레가 안 나타나게 하는 방법 [13] 애플댄스9637 23/07/01 9637
171408 [질문] 일러스트용 아이패드 추천 부탁 드립니다. [5] 토마룬쟈네조9147 23/07/01 9147
171407 [질문] 4060ti가 그렇게 구린가요? [7] 반항하는인간10251 23/06/30 10251
171406 [질문] 부대찌개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월터화이트9137 23/06/30 9137
171405 [질문] 영어 문장 해석 질문입니다. [4] 아찌빠7561 23/06/30 7561
171403 [질문] 드래곤(서양 용)하면 어떤 체형이 떠오르세요? [15] 무냐고8361 23/06/30 8361
171402 [삭제예정] 회사에서 무이자 대환대출을 받으려는데 [3] 삭제됨6863 23/06/30 6863
171401 [질문] 흠뻑쇼 가보신 분들 팁 부탁 드립니다 [4] 대출 30년8090 23/06/30 8090
171400 [질문] 약본즈급 타자 vs 오타니 가 mvp 경쟁을 하면.. [21] 마르키아르9377 23/06/30 93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