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5 15:03:53
Name 인생은서른부터
Subject [질문] 차알못 운알못 첫차 운용 팁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사람입니다.

나이가 찼는데도 운전을 할 줄 모른다는 것이 부끄러워져서
재작년에 면허를 땄습니다.

그 후, 차량 구매 계획이 없어 장롱에 방치해뒀다가,
이번에 지인의 차를 받아올 기회가 생겨 이를 통해 운전 연수를 받으려 합니다.
(연식 오래됨, 거의 15-20년)

그래서... 이게 나름 첫차가 되는건데,
혹시 첫차를 운용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알아둬야 하고
어떤 것들을 체크해야하고,
어떤 것들을 해야하는지 등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배터리 방전 관리, 하이패스 설치 이런거도 잘 몰라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5/25 15: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나 빼고 도로위에서 운전하는 놈들은 미친놈들이다

-> 언제나 방어운전, 항상 안전거리 충분히 유지

하이패스는 건전지 넣는 타입 사서 부착하면 됩니다 (삽입형 사기엔 차가 너무 구형임)

하이패스 카드는 후불형으로 하시는게 정신 건강에 편합니다

배터리는 차를 보통 1주일 이상 안 몰면 방전가능성이 대폭 올라가므로 1주일에 최소 한번만 몰아주면 별 걱정 없습니다

블랙박스가 없다면 블랙박스는 반드시 설치하세요

고속도로에서 2시간 이상 운전할 땐 반드시 10분 이상 휴식 취하세요 그래야 졸음운전 사고를 막을수 있습니다

여름철에 에어컨을 켤때 자동차 내기 버튼으로 켜면 빨리 시원해집니다

주행종료 5분 전부터는 외기모드로 바꿔서 에어컨을 말려주세요 그러면 곰팡이가 안 핍니다

마지막으로 5천키로마다 엔진오일 교체하면서 기본점검 받으면 엔간해선 별 문제 없을 껍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16:0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딱 제가 바라던 조언이었습니다 흐흐흐
말씀주신 내용 명심하며 배워보겠습니다
무지개그네
23/05/25 16:18
수정 아이콘
첫차라고 하시고 마침 연식도 오래된 중고라고 하시니 긁는것에 연연하지 말고 운전하시다가 정말 맘에 드는차로 바꾸세요 흐흐
축하드립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23: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흐흐 잘 배워보겠습니다
카페알파
23/05/25 16:47
수정 아이콘
위에 같은 내용이 있긴 한데, 엔진오일 교환 주기(보통 5천에서 1만 사이)에 정확하게 엔진오일을 교환해 주는 것이 중요한 것이, 엔진오일도 물론, 당연히 제때 교환해 주어야 하지만 엔진오일 교환할 때 그 외 필요한 부품의 수리나 교체를 해야 해서 더 중요합니다. 대개 주요 부품 교체 시기가 5천이나 1만 단위거든요.

그 외에 운전하실 때 '내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어디로 가는지' 등을 주위 차들에게 알게 해서 나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즉, 우회전하거나 좌회전 할 때 해당 방향 지시등을 켠다든지, 머리 내밀 때 천천히 내민다든지, 후진하거나 차가 일반적인 움직임을 하지 않을 때 양쪽 방향지시등을 다 깜빡거린다든지....... 아, 그리고 마지막의 경우처럼 후진하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움직임을 할 때는 되도록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다른 차들이 이러한 것을 지키지 않고 불시에 예측 불허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개는 다들 잘 하시는데, 가끔 이상하게 운전하는 차량이 있거든요.

내가 다른 차가 잘 안 보이는 상황은 다른 차도 내 차가 잘 안보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날이 저물든 터널 안으로 들어가든 주위가 어두워져서 내가 다른 차 식별이 힘든 경우는 다른 차도 내 차 식별히 힘든 거니까 헤드라이트를 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다른 차가 움직이는 건지, 정지해 있는 건지 순간적으로 헷갈리거나 차선 대비 위치가 얼른 파악이 안 될 때 그 차의 바퀴를 잠깐 보는 것도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차가 정지해 있으면 휠이 움직이지 않고 있을 것이고, 움직이면 휠도 움직이겠죠. 그리고 바퀴 위치로 이 차가 차선에 접근했는지 조금 떨어져 있는지 파악이 되고요. 다만 이건 초보 시절보다는 조금 익숙해 지신 다음에 하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23:03
수정 아이콘
주행거리 기준으로 부품 점검을 쭉 해야하는거였군요 흐흐
따뜻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천천히 잘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23/05/25 23:03
수정 아이콘
적어도 첫해 한정해서는 과하다 싶을정도로 조심스럽게 운전하는거 추천합니다. 신차보단 그래도 긁어도 부담적다 이러기도 하지만 제가 첫해에 접촉내는바람에 남들보다 비싼 보험료를 내고 있습니다.. 말마따나 첫해에서 두번째 해로 갈때 보험료가 확 깎이는데 똑같이 사고를 내도 첫해에 내면 첫해의 비싼 보험료가 3년은 이어질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5/25 23:04
수정 아이콘
보험은 초반을 무탈하게 잘 넘기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흐흐
조언 감사드립니다!
원딜은안해요
23/05/26 10:00
수정 아이콘
안전 운전이 최우선입니다!! 안전 거리 충분히 확보하시고 비 오거나 할 때 충분히 감속하시면서 천천히 안전 운전 하시는게 최고입니다.
엔진 오일 같은거는 뭐 5~7천킬로미터마다 당골을 만드시든 편한 곳으로 다니시면 거기서 꾸준히 다른건 점검 해줄껍니다
블랙박스는 없으면 꼭 설치 하시고 나머지는 운전 안전하게 하시는게 최고입니다 크크
23/05/26 12:12
수정 아이콘
알아두면 좋은 운전매너? 팁? 같은것도 좋습니다
차선이 합쳐지는 구간에서(차선이 없어지거나 공사구간) 막히는경우 왼쪽 오른쪽 한대씩 양보하기
우회전 가능 차선은 가급적 막지않기
양보받거나 민폐운전등을 했을땐 꼭 손을 들어주거나 비상깜빡이를 켜 고마움, 미안함을 표현하기
수리, 점검, 소모품 교체등 관련해서 날짜, 내용, 금액 기록해 놓기
당장생각나는건 이정도 네요..
아델라이데
23/05/26 14:00
수정 아이콘
우회전 조심하세요.. 저도 그렇고 제가 아는분들은 첫 사고가 대부분 우회전 중 사고였습니다.

1. 골목길 우회전 중 우회전 방향 직진차량과 충돌 → 빨리오는 차들은 고개를 좌측으로 돌려 숄더체크를 90도 이상 해야 보입니다.
2. 우회전 중 맞은편 좌회전 차량과 충돌 → 좌회전 차가 크게 돌면서 우회전 영역을 침범하는 경우 많으니 좌회전차 몰려올때는 우회전 조심
3. 우회전 할 때 직진차량중에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차선변경하는 차 있을수 있음.. 조심
4. 우회전 중 보행자 또는 자전거 조심

그다음은 좌우측 차선 변경시 사각지대
1. 뒷바퀴 바로 대각선 뒤에 차가 붙어가는 경우 안보일때 있습니다.
2. 옆옆 차선에서 오던차가 내가 차선변경할때 그차도 같은 차로로 변경하는 경우 → 가운데 차선으로 같이 몰리면서 안보일 때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897 [질문] 아이클라우드 질문입니다(사진및영상다운로드) [2] 교자만두7036 23/05/30 7036
170896 [질문] 깜박하고 종합소득세 신고를 안했는데 저도 신청해야하는걸까요? [3] 아줌마너무좋아6583 23/05/30 6583
170895 [질문] 평생교육원 어떤가요 ? [4] hobbang8492 23/05/30 8492
170894 [질문] 8살 아이 고열 지속(5.6부터..) [7] 카시므10447 23/05/30 10447
170893 [질문] 구 세무서 일반 문의로 찾아가면 상담 가능한가요? [1] 무한도전의삶7993 23/05/30 7993
170892 [질문] 저축은행 예금 관련 질문입니다. [4] 알라딘7517 23/05/30 7517
170891 [질문] 옛날 양판소 비꼬는 노래를 찾습니다 [3] cero6881 23/05/30 6881
170890 [질문] 옛날 디씨 주갤에 연재되었던 좌파 우파 차이 설명한 글 기억하시는 분... 단비아빠7882 23/05/30 7882
170889 [질문] 광마회귀 너무 재미있는데 비슷한 소설 있습니까 [27] JimmyEatWorld10895 23/05/30 10895
170888 [질문] 40대 아저씨가 운동/식사 관련 질문드립니다. [10] 생생지락6307 23/05/30 6307
170887 [질문] 어머니께서 하실 만한 일이 있을까요? +퇴직금 문의드립니다. [8] Aiurr7527 23/05/30 7527
170886 [질문] Derive from에 대한 문법 질문인데요 [10] nekorean8916 23/05/30 8916
170885 [질문] 그래픽카드 업글 질문(3060ti?) [11] 루체른9731 23/05/30 9731
170884 [질문] 막걸리 맛집 혹은 막걸리바 추천해 주세요! [4] 벤자민비올레이7339 23/05/30 7339
170883 [질문] 인천쪽 운전 연수 정보 구해봅니다? [2] 인생은서른부터7625 23/05/30 7625
170882 [질문] 일본어 회화 교재, 유튜브 등 추천 부탁드립니다. [4] ComeAgain9598 23/05/30 9598
170881 [질문] 아이 홍삼이나 영양제 뭐가 좋을까요? [8] 어느새아재8259 23/05/30 8259
170880 [질문] (스포)범죄도시3 쿠키 내용 물어보면 안 되겠죠?.. [9] CastorPollux9367 23/05/30 9367
170879 [질문] 소규모 사업장 인터넷 설치 조언 부탁드립니다. [2] Red Key8509 23/05/30 8509
170878 [질문] 다이슨 에어랩 사용해보신 분 계실까요? [4] 노피어8283 23/05/30 8283
170876 [질문] 3단우산 추천 부탁드려요! [5] 마신_이천상7439 23/05/30 7439
170875 [질문] 정제야자경화유는 트랜스지방산인가요? [2] ZAKU8260 23/05/30 8260
170874 [질문] 혹시 이런 모바일겜 어디 없을까요? [5] Ika1328351 23/05/30 83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