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19 18:12:58
Name 송마야
Subject [질문] 많이 쓰는 한글 순위? (수정됨)
안녕하세요
한글은 수 많은 글자들이 조합이 가능한데
흔히 많이 쓰이는 글자들수는 몇개나 될까요?
흃 이라던가 밢 이런 글자들은 평상시에 쓰이지 않으니 이런것 빼고
예를들어 단문 소설에 등장하는 글자 종류는 몇개나 될까요?
검색해보다가 못 찾아서 질게에 여쭤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3/05/19 18:31
수정 아이콘
구글 bard
1차
한글은 24개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수많은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흔히 많이 쓰이는 단어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2020년 세종말뭉치’에 따르면, 한국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이다’로 1,407,538건이 사용되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이, 그, 은, 는, 것, 있다, 안, 의, 할, 말, 때, 와, 을, 의, 로, 나, 에서, 으로, 는가, 는지, 을까, 을까요, 을까요?, 을까요?’가 사용되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단어들은 모두 10만건 이상 사용된 단어들입니다. 10만건 미만으로 사용된 단어들도 많지만 그 수는 매우 많습니다. 따라서 흔히 많이 쓰이는 한글 단어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2차

흔히 많이 쓰이는 한글 단어의 수는 약 20,000개로 추정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2020년 세종말뭉치’에 따르면, 한국어에서 10만건 이상 사용된 단어는 약 5,000개, 1만건 이상 사용된 단어는 약 15,000개입니다. 따라서 흔히 많이 쓰이는 한글 단어의 수는 약 20,000개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한글은 24개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수많은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흔히 많이 쓰이는 단어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조합에 제약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자음 ‘그’은 모음 ‘아’와는 결합할 수 있지만 모음 ‘오’와는 결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자음 ‘느’은 모음 ‘어’와는 결합할 수 있지만 모음 ‘이’와는 결합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한글에서 만들 수 있는 단어의 수는 실제로는 매우 적습니다. 흔히 많이 쓰이는 단어의 수는 그 중에서도 더 적습니다.

chat gpt 무료
한글은 조합이 가능한 글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흔히 쓰이는 단어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의 수는 약 10만 개 이상이라고 추정됩니다.

한글의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자음과 모음은 조합하여 음절을 형성합니다. 한글의 초성은 14개, 중성은 10개, 종성은 1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 음절의 총 가지수는 14 * 10 * 14 = 1,960입니다.

한글 단어는 음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조합의 범위는 매우 넓습니다. 흔히 쓰이는 단어는 수천 개에서 수만 개까지 다양하며, 이는 명확한 통계 데이터가 없어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한글 단어의 수는 계속해서 변하고 새로운 단어가 생겨나기 때문에 정확한 수를 파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한국어 사전에 수록된 단어의 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수는 약 30만 개에서 40만 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는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의 수를 포함한 것으로, 과학 용어, 전문 용어, 사회적으로 제한된 분야의 어휘 등은 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의 흔히 사용되는 단어의 수는 약 10만 개 이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며 참고로만 받아들이시기 바랍니다.
송마야
23/05/19 18:41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헷갈리게 글을 적은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질문글을 살짝 수정했습니다 단어가 아니고 사용된 글자의 종류 수 입니다
에이치블루
23/05/19 21:08
수정 아이콘
한글의 초성은 14개, 중성은 10개, 종성은 1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 음절의 총 가지수는 14 * 10 * 14 = 1,960입니다.
<- 이건 정보 오류인 것 같네요...쌍자음이 있고 조합모음이 있는데 다 빼버렸네요. 아이고...
다크서클팬더
23/05/19 19:11
수정 아이콘
빙 검색엔진은 한글의 음절을 물어봤더니 알파벳으로 답변을 하고 있더군요.
자음 '이응'이 가장 많이 쓰인다 말고는 뭐...
23/05/19 19:52
수정 아이콘
음절을 물어보신건가보네요.. 저도 음절 빈도는 잘 모르겠고
단모음키보드를 쓰다가 알게된건데 음소(음운?) 빈도는 https://story.pxd.co.kr/958 요기한번참고해보세요.
아마도 '아'가 제일 많이 쓰이는 음절인 듯 합니다
계층방정
23/05/19 21:10
수정 아이콘
궁금하신 부분과 매우 관련이 높은 논문이 있네요.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77322
이은하, 남기춘, 세종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음절의 빈도와 분포, 언어과학연구 92집 (2020년 3월) 79-130

3.2.1에서 세종 말뭉치에 사용된 전체 음절의 가짓수는 2110개며, 상위 20개가 그 중 33.35%, 상위 100개가 67.28%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100회 이상 나타난 음절은 617가지로 이들이 전체의 97.71%를 차지했습니다. 반대로 10회 이하로 사용된 음절은 326개며, 그 중 100개는 단 한 차례만 사용되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음절은 '이'며, 그 다음으로는 '다', '는', '의', '에'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명사와 용언(동사, 형용사)로 또 나누어서 같은 분석을 했는데요.
일반명사에서는 '이', '사', '기', '자', '적'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용언에서는 '다', '하', '되', '시', '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더 나아가서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빈도를 또 분석했는데, 전체에서는 첫째 음절에 '그', '이', '있', '것', '사', 둘째 음절에는 '이', '는', '다', '리', '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것도 일반명사와 용언으로 나누어 보면, 일반명사에서는 첫째 음절에 '대', '사', '수', '비', '전', 둘째 음절에 '사', '리', '수', '기', '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용언에서는 첫째 음절에 '재', '부', '가', '수', '무', 둘째 음절에 '다', '하', '리', '지', '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논문이 길긴 한데 자세하게 분석이 되어 있어서 직접 읽어보셔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송마야
23/05/19 23:04
수정 아이콘
와 두분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링크 들어가서 보고 많은 부분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색사과
23/05/20 08:52
수정 아이콘
아…
예전에 임베딩이 유행할 때 한국어 위키피디아 데이터를 대상으로 각 음절별 카운트 세본 게 있는데 어딨는지 모르겠네요 크크크
송마야
23/05/20 11:1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한 데이터 군요 혹시 찾으신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835 [질문] 초음파 벌레퇴치기에 대한 질문입니다. [5] 진산월(陳山月)7512 23/05/27 7512
170834 [질문] 컴퓨터 모니터와 함께 사용하기 좋은 조명이 있을까요? [6] 보로미어8542 23/05/27 8542
170833 [질문] 카시오 사각메탈시계와 비슷한 모양의 시계 좀 알려주세요~ [3] 바람의여행기8393 23/05/27 8393
170832 [질문] 컴맹이 디아 4하고싶습니다. 뭘 업글해야 합니까? [21] 환상9250 23/05/26 9250
170831 [질문] 자동차보험이 넘 비싼데 딴거루 바꿔도 되나요?? [11] 기사조련가7441 23/05/26 7441
170830 [질문] 퇴직연금 연봉인상분 소급적용에 대한 질문 [3] SpicyPeach7065 23/05/26 7065
170829 [질문] 에어컨 지금 설치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4] 그때가언제라도7997 23/05/26 7997
170828 [질문] 내일 롯데월드에 가볼 생각입니다. 피를마시는새6550 23/05/26 6550
170827 [질문] 성수동 맛집 카페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ashed7010 23/05/26 7010
170826 [질문] 접지문제로 이어폰에 계속 전기가 오르는데 [3] 시린비7888 23/05/26 7888
170825 [질문] 할만한 온라인게임 있을까요? [14] 불독맨션8831 23/05/26 8831
170824 [질문] 윈도우 방화벽 포트 오픈해도 연결이 안돼요 [1] 탄야7372 23/05/26 7372
170823 [삭제예정] 조현병이 확실한 지인에 대한 질문 [7] 삭제됨8763 23/05/26 8763
170822 [질문] 엑셀 n일뒤 날짜 구하기 [6] 아지노스8125 23/05/26 8125
170820 [질문] 맨체스터시티 유니폼을 어디서 사야할까요? (오프라인) [3] 오징어개임8333 23/05/26 8333
170819 [질문] 영어 질문입니다. [3] 모나라벤더8645 23/05/26 8645
170817 [질문] 오마카세 페어링 와인 추천해주세요 [12] 작성자9127 23/05/25 9127
170816 [삭제예정] 종합소득세 내러 오라는데 뭔지 모르겠습니다 [6] 삭제됨7317 23/05/25 7317
170815 [질문] 디아블로4 PS4 PS5 구입 관련 질문 [2] DeMiaN9443 23/05/25 9443
170814 [질문] 사무용 데스크탑 질문드립니다 [10] 10479 23/05/25 10479
170813 [질문] 종합소득세 국세청 ARS로 신고 했는데 이러면 신고 된거죠? [9] 광개토태왕8392 23/05/25 8392
170812 [질문] [게임]가장 공평하게 순위를 메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6] 원스6931 23/05/25 6931
170811 [질문] 부산역이나 광안리 근처에서 저녁 8시이후 괜찮은 식사장소가 있을까요? [14] 날아가고 싶어.7844 23/05/25 78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