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14 17:51:45
Name 무한도전의삶
Subject [질문] 테넷이 인셉션보다 더 복잡한 영화인가요?
메멘토는 흑백 칼라로 분리를 해줘서 중간부터 이런 진행이구나 알았고 인셉션은 꿈이구나... 꿈의 꿈이구나... 림보... 설원... 마지막 즈음에 얼개를 잡았는데 혹시 테넷은 더 복잡한 영화인가요? 별개로 재미면에서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3/05/14 18:00
수정 아이콘
네... 복잡합니다.
완전히 이해하려면 부분부분 다시 보면서 연결해봐야 됩니다.
항정살
23/05/14 18:11
수정 아이콘
복잡합니다. 테넷은 놀란의 허세가 너무 들어닸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별로라고 생각하빈다.
스위치 메이커
23/05/14 18:20
수정 아이콘
인셉션은 그래도 설명 보면 대충 이해가 가게 짜여져 있거든요? 마지막 결말도 모호하게 내서 그렇지...

근데 테넷은 진짜... 아직도 뭔 영화인지 모르겠어요
23/05/14 18:25
수정 아이콘
시간의 순행과 역행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이게 관객의 입장에선 쉽사리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냥 촬영이 매우 힘들었겠다라는 생각만 들고
23/05/14 18:35
수정 아이콘
한번보고 이해 할 사람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피셜
23/05/14 18:35
수정 아이콘
관련 분야에 이해가 깊은 사람은 쩌는 영화라고 하던데,
일반인 기준에서는 '뭐가 쩐다는 거야? 늘 보던 시간여행물이구만! 재미도 없고!' 가 정확한 평가입니다.
마인드머슬커넥션
23/05/14 19:06
수정 아이콘
비교가안됩니다.
비뢰신
23/05/14 19:27
수정 아이콘
테넷은 심지어 오류도 있습니다 ㅡㅡ 더 난해해요
걍 이거 영화야 좋게 좋게 넘어가 오키? 이렇게 보시면 될듯함다
23/05/14 19:39
수정 아이콘
이해를 해야 마지막에 눈물 왈칵나와서
근데 눈물이 왈칵 나와도 끝까지 이해는 못했습니다

테넷 재개봉까지 극장에서 한 5번 봤나
Stoncold
23/05/14 19:41
수정 아이콘
극단적으로 복잡하고, 영화 내적인 오류도 있습니다. 애초에 홍보할 때부터 '이해하려 하지말고 느껴라' 타령을 그렇게 하기도 했죠. 재미로 따지면 뛰어나긴 했습니다만 역시 인셉션보다는 아래로 놓고 싶네요. 영화 보고 나서 관련 설정을 찾아보고 이해하면서 더 재미가 붙는 타입의 영화입니다.
앵글로색슨족
23/05/14 20:02
수정 아이콘
놀란 필모그레피에 오점이라고 단연코 확신하는 작품
왕립해군
23/05/14 20:11
수정 아이콘
테넷은 직관성 진짜 안좋죠.. 흥미로운 이야기이긴하지만 이런 점 때문에 저도 좋은 영화라고 평가는 안주는 편입니다.
태연­
23/05/14 20:18
수정 아이콘
테넷은 그냥 눈으로 즐기면 그만입니다
???: 완벽히 이해했어 (이해 못함)
아이폰12PRO
23/05/14 20:39
수정 아이콘
전 놀란 정말 좋아하는데 정말 별로 같아요 테넷은
무한도전의삶
23/05/14 20:42
수정 아이콘
호오 엄청 난해한가 보네요 다들 평이 크크
기대 안 하고 그냥 느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혜리
23/05/14 21:04
수정 아이콘
테넷은 이해한 줄 알았는데, 이해한 줄 알았는데, 이해한 줄 알았는데,
아 진짜 이해한 것 같다.(이해 못함)
23/05/14 21:34
수정 아이콘
인셉션은 명작인데 테넷은 선 좀 넘었습니다 크크
무한도전의삶
23/05/14 23:21
수정 아이콘
제가 무슨 영화를 본 건지 모르겠네요.
23/05/15 00:29
수정 아이콘
주인공도 본인이 뭘 찍었는지 전혀 이해 못했다고 했는데 짧은 시간 안에 보는 관객은 더하죠. 보면서 욕했습니다. 크크
물리/시간 개념의 시각화 측면에서 뭐 쩔었는진 모르겠지만 대중 상업 영화로선 기획 자체부터 망 그 자체인 영화죠.
놀란이 그동안 필모로 재미 본 후 뽕 가득찬 뒤에 나온 허세라고 해야할까 현학적 연출의 절정이라고 할까... 좀 심했어요.
이쥴레이
23/05/15 09:16
수정 아이콘
이거 엑셀표까지 있던걸로 기억하는데... 엑셀표로 시간 정리하면서 영화를 정리 하였죠.
저도 그 엑셀표 보면서...

영화가 처음과 끝에 서사가 정말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취향의 영화였습니다.
마지막에 영화를 이해하게 되면 정말 찡할수밖에 없는.. 영화입니다.

로버트 패틴슨 이라는 배우를 다시 보게 되었고 제 1순위 배우라고 봅니다. 흑흑..
23/05/15 10:29
수정 아이콘
보는 중간에 느꼈습니다. 야.. 이건 한번 봐서는 몬 소린지 모르겠구나 하고..
23/05/15 11:07
수정 아이콘
인셉션은 이해하기 어려운 영화는 아니라고봐서..
메멘토가 확실히 어렵고 메멘토보다 어렵다고들 하더군요.
린 슈바르처
23/05/15 14:24
수정 아이콘
별도 정리된 문서를 봐야되는 영화는 못만든 영화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732 [질문] ps4 pro 처분 방법 [2] 슈퍼디럭스피자7773 23/05/21 7773
170731 [질문] 일상생활에 도움되는 기초학문 뭐가있을까요? [24] 푸끆이8881 23/05/21 8881
170730 [질문] 서울에서 아이 한명 키우고 살기 좋은 지역 어디가 있을까요? [5] 김은동8647 23/05/21 8647
170729 [질문] 유럽인은 어떻게 흑인에서 백인이 됐을까요? [3] O8141 23/05/21 8141
170728 [질문] 세무서 가면 세무상담 해주나요? [9] 꿀깅이8027 23/05/21 8027
170727 [질문] 혹시 이런 내용의 만화를 아시는 분 계실까요? [4] 크리스 프랫6331 23/05/21 6331
170726 [질문] 아내와 함께 갈 해외여행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12] 여의8635 23/05/21 8635
170725 [질문] 아기 모기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사이시옷8288 23/05/20 8288
170724 [질문] 회사 생활 중 판도라의 상자를 연 거 같은데요.. (장문) [39] 피를마시는새10189 23/05/20 10189
170723 [질문]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아울렛 매장이 어디인가요? [3] wersdfhr10238 23/05/20 10238
170722 [질문] 이 배터리로 코보매트 몇 시간정도 갈까요? [2] will7720 23/05/20 7720
170721 [질문] b450m + 라이젠 3600 보유중입니다. 업글질문.. [11] 마스쿼레이드9751 23/05/20 9751
170720 [질문] 스티븐킹 작품 중 꼭 읽어보면 좋을 작품들 추천해주세요! [11] 나혼자만레벨업8351 23/05/20 8351
170719 [질문] 등산스틱 추천 좀 부탁드릴께요~ [2] 같이걸을까8483 23/05/20 8483
170718 [질문] MSI 오늘 경기 오프라인에사 볼 곳이 있을까요? [7] 이수민8018 23/05/20 8018
170717 [질문] 서울지역 휠체어 빠르게 대여가능한곳이 있을까요? [3] 기다리다7075 23/05/20 7075
170716 [질문] 유튜브를 찾습니다. [2] 행복을 찾아서6520 23/05/20 6520
170715 [질문] 종합소득세 관련 질문입니다. [21] 니체8250 23/05/20 8250
170714 [질문] 퇴사 후 건보료 연말정산 등 질문입니다... [4] 레너블7213 23/05/20 7213
170713 [질문] 글로벌 기업 소식 빠르게 접할 방법이 있을까요? [2] 피를마시는새8041 23/05/20 8041
170712 [질문] [야구] 신인 계약금이 안 높아지는 이유가 뭘까요? [7] 양현종8208 23/05/20 8208
170711 [질문] msi 볼수있는 펍 같은곳 없을까요? (서울) [5] 노래하는몽상가7689 23/05/20 7689
170710 [삭제예정] 일을 이상하게 끌고 가는 상사는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9] 삭제됨6691 23/05/20 66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