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2/15 17:20:34
Name 기술적트레이더
Subject [질문] 경제학) 무차별곡선은 왜 곡선의 형태인가요?
무차별곡선이 동일한 효용을 모은 선이란건 알겠습니다.

근데 왜 직선이 아니라 곡선의 형태로 나타는건가요?

이거 예전에 알았는데 까먹은걸 보면 이해가 덜됐나봅니다.

원점에서 볼록한 형태로 곡선이 되는 이유 좀 알려주세요

이거 설명해주려니 저도 모르고 있네요 ㅡㅡ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2/15 17: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재화와 서비스의 한계효용이 체감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두 재화의 한계대체율이 체감하는 것을 가정하는 것인데, 한계대체율 체감의 원인이 개별 재화의 한계효용 체감에 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2/15 17:23
수정 아이콘
그것이 곡선이기 때문....(끄덕)
키타산 블랙
23/02/15 17:27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처럼 한계효용이 체감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정확하게는 한계대체율 체감입니다.

예를 들면 짜장면과 짬뽕을 모두 좋아하는 사람이 10번 먹는다고 가정했을때
짜장면 10번만 혹은 짬뽕 10번만 먹는 것보다 짜장 5번, 짬뽕 5번을 먹는걸 더 선호하는 건데.. 예가 더 복잡하려나요
기술적트레이더
23/02/15 17:33
수정 아이콘
같은 x값일때 직선과 비교하면 y값이 높잖아요 그걸 한계효용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23/02/15 17:45
수정 아이콘
y = x 보다 위에 있는건 하나의 예시일뿐 한계효용과 상관이 없습니다.위여도 되고 아래여도 됩니다.모델에 따라 다를뿐이죠.
키타산 블랙
23/02/15 18:01
수정 아이콘
y값이 낮지 않나요?

여튼 한계대체율 체감때문이 맞습니다.
하나를 극단적으로 많이 소비하는것보다 섞어서 소비하는걸 더 좋아한다고 가정하는거죠.
23/02/15 17:41
수정 아이콘
질문부터가 틀렸다고 할 수 있는데 무차별곡선이 직선일 수도 있습니다
교과서에서 제일 처음 배우는 기본적인 콥더글러스 형태라면 윗분들 말씀대로 한계대체율이 체감하기 때문이구요
닉네임을바꾸다
23/02/15 18:00
수정 아이콘
그러면 무차별 선이여야하는거 아닌가요 왜 곡선인가요 번역이 개판인건가 크크
Be Quiet n Drive
23/02/15 18:19
수정 아이콘
직선은 그냥 곡률이 0일 뿐인 곡선이죠.
23/02/15 18:00
수정 아이콘
드물겠지만 직선도 이론적으로 가능은 합니다.
두번 미분하였을때 0이상이다 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23/02/15 18:06
수정 아이콘
완전대체제의 경우인데,
만원권과 5만원권이라는 재화를 생각하면
만원권 10개나 5만원권 2개나 반반이나 효용이 같겠죠?
이렇게 완벽하게 그게 그거인경우에는 직선이 나옵니다.
물론 분량이 많아지면 곡선으로 휘겠지만요.
송기범
23/02/15 19: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직관적으로는 기울기로 설명 가능합니다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는 곧 한계대체율이기 때문에 한계효용이 일정하면 기울기도 일정하니까 직선이 되고, 한계효용이 변하면(체증, 체감) 기울기도 변하므로 곡선이 됩니다
그래서 콥더글러스는 원점에 대해 볼록한 것이고, 한계효용이 체증한다면 거꾸로 원점에 대해 오목한 곡선이 되고
한계효용이 일정하면 우하향하는 직선이 됩니다
두 재화가 완전보완재라서 효용이 일정한 경우가 바로 레온티에프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346 [질문] 데스크탑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이블베어11267 23/08/29 11267
172345 [질문] 블루투스 마우스를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3] Polkadot8657 23/08/29 8657
172344 [질문] 추석연휴에 영국여행을 갑니다. [4] 가이브러시8643 23/08/29 8643
172343 [질문] 캐나다 이민간 조카들 선물을 못고르고 있습니다. [18] 외쳐228732 23/08/29 8732
172342 [질문]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4] Flying-LeafV8070 23/08/29 8070
172341 [질문] 한강뷰나 빌딩뷰 보면서 쉴만한 곳 있을까요(서울) [35] SAS Tony Parker 9895 23/08/29 9895
172340 [질문] 화면이 정신없는 영화만 보면 졸리는 이유가 뭘까요? [7] 아리아8537 23/08/29 8537
172339 [질문] 에브리띵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평가? [11] Charli9249 23/08/29 9249
172338 [질문] 샌프란시스코 치안 질문입니다. [2] 세근7564 23/08/29 7564
172337 [질문] 내일 추석 KTX 열리는것 같은데 해당 날짜 예매는 쉬울까요? [5] 바카스6804 23/08/29 6804
172336 [질문] 부모님 모시고 제주도 가는데 관광지 외에 할것이 있을까요 [7] 휵스7121 23/08/29 7121
172335 [질문] 데스크탑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화룡점정11429 23/08/29 11429
172334 [질문] 파크라이 시리즈 추천부탁드립니다. [11] 학교를 계속 짓자10512 23/08/29 10512
172333 [질문] 갑상선 암 진단받았습니다. [11] 르크르크8605 23/08/29 8605
172332 [질문] 유튜브 화질이 자동으로 떨어지는경우 [2] 스핔스핔8142 23/08/29 8142
172331 [삭제예정] 저격글 느낌의 연애 코치 이야기 [8] 삭제됨7893 23/08/29 7893
172330 [질문] 부팅후 무선랜카드 연결이 이상합니다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7410 23/08/29 7410
172329 [질문] 오키나와 다녀오신분들께 질문드립니다. [6] 쉬군7721 23/08/28 7721
172328 [질문] 지금 유게글 왜 잠긴건가요? [15] 록타이트7896 23/08/28 7896
172326 [질문] 연애 시 사소한 카톡은 뭘 하는 게 좋을까요? [32] acaciaPlay10484 23/08/28 10484
172325 [질문] 전자피아노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쌍둥이아빠7329 23/08/28 7329
172324 [질문] 루미나르 네오 사양 질문입니다. 송운화6292 23/08/28 6292
172323 [질문] 네이버멤버쉽 혜택 (스포티비) 질문입니다! [8] 양념반자르반6791 23/08/28 67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