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08 17:25:29
Name 외계소년
Subject [질문] 세무사 준비 진입하려는데 입문 강의를 들어야 할까요?
직장 병행으로 세무사 시험준비 진입하려는데요



베이스는 그다지 없습니다. 토익 점수 딱히 구애받지 않는 다는 것 빼고는..



예전에 재경관리사라는 자격증을 따면서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공부 좀 하긴 했는데



몇 년전이라 많이 가물가물한 상태이고요.



세무사 강의 홈페이지 들어가보니까



입문강의 기본강의 심화.. .이렇게 올라가던데



기본강의로 들어가기 전에 입문강의를 듣고 가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예전에 재경관리사 공부하던 책 다시 보는게 좋을까요?



다른 자격증 딸 게 있어서 당장 완전 바로 진입하는 건 아니고 한 반년 정도는 텀을 두어야 할 텐데



그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투돼지
21/01/08 17:31
수정 아이콘
시간이 충분하고 완전노베이스 상태면 입문강의를 권하지만, 직장인이시니 기본강의부터 시작하셔도 무방합니다.
시험이라는게 암기해야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나중에가면 무조건 부족한게 시간이니 결심하셨을 때 바로 시작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1/01/08 18:15
수정 아이콘
재경관리사 책 다시 보는건 아무~ 의미 없습니다.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어요.
입문강의는 굳이 다시 보실 필요 없을 것 같고 기본강의 들으세요. 반년정도 텀이 있고 그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모르겠다 라는게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겠지만, 그 시간 동안에는 재정학과 선택과목(민/상/행 중 택1) 베이스 깔아놓는게 어떨까 싶네요.
외계소년
21/01/08 18:43
수정 아이콘
원래 공부하던 자격증 공부하면서 세무사 공부도 겸사겸사 하려던 거엿습니다.. 그거 따면 온전히 세무사 공부에 올인하고요.. 선택과목은 보통 어떤거 하나요?
21/01/08 19:28
수정 아이콘
앞으로 6개월 정도 준비하신다니 경영지도사 시험인가요? 아무튼 선택과목은 상법(회사법)이 압도적으로 많을겁니다.
외계소년
21/01/08 19:38
수정 아이콘
행정소송법이 좀 쉬워서 많이 본다고 들엇는데 아니엇나요..? 제가 잘못 알고있었는지.. 혹시 강의 듣는 순서는 재정학 먼저 듣는다고 햇을때 어떤 순서로 들으면 좋을까요?
21/01/08 19:53
수정 아이콘
아주 최근 추세는 모르겠지만, 행정소송법이 선택과목으로 추가된지가 오래되지 않아서 아직은 선택하는 비율이 낮을거에요. 그리고 예전에는 상법에 비해 문제가 확실히 쉬웠는데 요즘도 그런지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행정소송법이 조문수가 적은 건 장점이지만 '소송법'이라는 특성상 문제 어렵게 내려면 한도 끝도 없는 거라서 요즘 추세가 어떤지 잘 보고 판단하셔야 합니다. 강의 듣는 순서는 뭐 개인취향 차이긴 한데, 재정학과 선택과목은 1차시험에서만 신경쓰면 되는 과목이니 초반에 공부해놓고 많은 시간을 회계/세법에 투자하다가 1차시험 직전에 다시 선택과목 문풀연습하는게 효율적이겠지요.
21/01/08 20:44
수정 아이콘
평균 점수는 상법이 행소보다 좀 높아지는 식으로 난이도 조절하는데, 그래도 행소 추천드려요. 공부량이 정말 적어서 편해요. 상법 선택 비중이랑 점수는 거의 회계사시험에서 넘어온 분들이 올리고 있을거에요.

재경 하셨으면 기본> 동차나 심화> 동차 이런 순으로 가셔도 괜찮을거에요. 심화반이 좀 장삿속으로 생긴거 같아요. 선생님들도 전부 들을거라고 생각안하시는지 유머도 같은분 계시던데...

선택법보다 시간 남으면 항상 재무회계 열심히 하시는게 합격의 지름길 같아요. 세무회계야 어차피 잊어먹는다 치고, 저거 잘해두면 남는시간에 후딱 공부할 수 있거든요. 평균 합격연령도 그렇고 그나마 재직하시다 온 분이 가장 많은 자격증 같아요.

예비세무사의 샘 가셔서 검색하시면 과목선택이나 강의 추천 잘 받으실 수 있을거에요.
모나크모나크
21/01/08 23:05
수정 아이콘
헉.. 세무사도 전문직 고신데 직장생활과 병행이 가능한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888 [질문] 앉았다 일어날 때 현기증이 생깁니다. [7] 파랑파랑6908 21/01/09 6908
151887 [질문] 동주민센터가 승진 잘 안되나요? [7] 연애잘합니다8724 21/01/09 8724
151886 [질문] 중고차 매물가격이 이해되지 않아요 [35] 탑픽7059 21/01/09 7059
151885 [질문] 오피스텔 월세 계약건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14] 데비루쥐8362 21/01/09 8362
151884 [질문] 음질만 따지면 모니터링스피커가 가성비 우위인가요? [3] 스핔스핔6781 21/01/09 6781
151883 [질문] 빌라사는데 배관이 얼어붙었습니다. [8] 인생의진리치맥7513 21/01/09 7513
151882 [질문] 부유층이 빈곤층보다 더 공익/면제가 많을까요? [13] 흥선대원군7747 21/01/09 7747
151881 [질문] 컴알못 윈도우 설치관련 질문드립니다 [7] 10KG빼기5147 21/01/09 5147
151880 [질문] 컴퓨터 정리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려요 [5] 다리기6877 21/01/09 6877
151879 [질문] CPU, 그래픽카드 질문입니다. [3] beloved5967 21/01/09 5967
151878 [질문] 서울 편의점 매장내 식사 안되나요? [8] dfjiaoefse7949 21/01/09 7949
151877 [질문] ssd 윈도우 설치 노트북 오류 문의 [5] purplesoul6573 21/01/09 6573
151876 [질문] 주택담보대출 상환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4] 쓸때없이힘만듬6387 21/01/09 6387
151875 [질문] LPG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3] 언제나맑게삼6664 21/01/09 6664
151874 [질문] 스위치 다른유저에 닌텐도 온라인 연동하려면? [5] 스카이다이빙5716 21/01/09 5716
151873 [질문] 지방직 공무원이 그렇게 악명이 높나요? [22] 삭제됨12354 21/01/09 12354
151872 [질문] 보금자리론 질문있습니다. [3] Arya Stark7289 21/01/09 7289
151871 [질문] 유튜브 저작권 관련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짧은 영상들) [3] About time5768 21/01/09 5768
151870 [질문] 노트북 - 도킹스테이션 - 트리플모니터 [1] corona7601 21/01/09 7601
151869 [질문] 전략성 있으면서도 운빨망겜 요소도 있는 보드게임 추천 부탁드려요 [10] 삭제됨7276 21/01/09 7276
151868 [질문] 젤다 야숨 사당위치 초보 질문드립니다. [12] 보로미어6753 21/01/09 6753
151867 [삭제예정] 증여와 차용증 질문 드립니다 [2] 삭제됨7169 21/01/09 7169
151866 [질문] 요즘시국에 결혼식이나 장례식 참석 못하면 [11] lobotomy7118 21/01/09 71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