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5 20:57:51
Name 꿀멀티
Subject [질문] 지인이 폰지사기에 당할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가까운 지인이 돈을 빌려달라고 하길래 어디에 필요하냐고 물어보니 지인의 아는 사람을 통해 투자를 해야하는데 돈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뭔가 느낌이 이상해 정확히 어떤 투자냐고 물어보니 홈쇼핑 채널에 판매하는 제품에 일정금액을 투자하면 판매량에 따라 수익금이 나온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수익금이 10~20%도 아니고 150~250% 나온다고 하더군요. 앞전에 이미 한번 수익금을 받은적도 있다고 하구요. 수익률이 말도 안되길래 의심된다... 조심해라. 더 이상 넣지마라. 라고 조언을 해줬는데 투자금을 지금 얼마만 더 넣으면 더 빨리나온다면서 계속 돈을 구하는거 같더라구요.
뭐 본인은 이미 앞전에 한번 수익금을 받은적도 있고 진짜 그 투자가 거짓이 아닐수도있겠지만... 수익률이 말도 안되고 기존에 들어왔던 폰지사기와 유형이 비슷한거 같은데...이미 제 조언은 귀에 안들리는 상황이고 돈을 어떻게 해서든 더 구해서 넣을거 같습니다.

제 말은 안듣고 있지만 가까운 지인이라 더 이상 피해가 없으면 좋겠습니다.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25 21:04
수정 아이콘
사실상 말해도 안통하면 안되는겁니다. 주위 사람들 더 망하지 않게 지인분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알려 추가적인 피해를 막고 설득의 짐을 나눠가집시다.
This-Plus
20/12/25 21:53
수정 아이콘
전형적이네요.
가족 아닌 가까운 관계 정도라면 예의상 딱 세 번 진심으로 설득해보고 안통하면 그냥 신경 안씁니다.
대부분 이미 눈 돌아간 상태라서...
설득으로 될 게 아니에요.
20/12/25 21:59
수정 아이콘
말해주셨으면 책임 다 한 겁니다.
꿀멀티
20/12/25 22:05
수정 아이콘
아..설득으론 방법이 없겠네요.
그런데 폰지사기라는게 옆에서 보면 사기인게 뻔히 보이는데 그 사기꾼들은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나요? 지인이 연락도 카톡으로만 하고있어서 잡기 힘들어 보이던데 말이죠.
허저비
20/12/26 00:53
수정 아이콘
잡기도 힘들지만 설령 잡는다고 해서 지인분이 손해 본걸 찾는 건 불가능합니다
괜히 대한민국이 사기공화국일까요. 사기꾼들 재수없이(?) 걸려서 손해배상 하라고 나와도 그냥 실형만 몇년 살고 나오고 돈은 몰래 숨기고 배째버리죠.
타카이
20/12/26 07:52
수정 아이콘
요즘은 다단계도 조직범죄로 기소해서 형량이 좀 쌔지긴 했습니다...
환경미화
20/12/25 22:43
수정 아이콘
그냥 더하실껀 없네요
StayAway
20/12/25 23:08
수정 아이콘
정말 가까운 지인이라면 그 지인 가족 분들께 알리세요.
20/12/25 23:20
수정 아이콘
못막아요...
댓글자제해
20/12/25 23:40
수정 아이콘
이미 의심된다 조심하라했으면 하실수있는 모든걸 다 하신겁니다 보따리 싸들고 다니면서 말려도 못말려요
20/12/26 03:13
수정 아이콘
없어요 크크 비슷한 사기 당한 지인이 있는데 술사줄 준비나 하다가 터지고 나서 자주 위로 해줬습니다.
랜슬롯
20/12/26 05:07
수정 아이콘
저도 본인이 결정하면 막긴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피해를 줄일순 있다고 생각해서요.
꿀멀티
20/12/26 08:41
수정 아이콘
답변 달아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중간에라도 원금을 뺄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마지막으로 한번 더 진지하게 설득해보고 안되면 포기해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501 [질문] 카페의 매니저 직책에 대해 아시거나 해보신분 계신가요? [3] 삭제됨5584 20/12/27 5584
151500 [질문] 코로나 진정되고 난 뒤에도 당분간 해외여행은 바가지 엄청나게 심할까요? [8] 신불해7349 20/12/27 7349
151499 [질문] 보건소 코로나 검체 채취검사 장갑 1회용일까요? [5] 귀여운호랑이7836 20/12/27 7836
151498 [질문] 스위트홈 드라마랑 웹툰 원작 둘 다 보시분들 답변 좀...[스포주의] [8] 냠냠주세오8199 20/12/27 8199
151497 [질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같은 애니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니꽃6738 20/12/27 6738
151496 [질문] 어머니께서 키보드 쌍자음 치는걸 힘들어하시는데요 [11] 티타늄7328 20/12/27 7328
151495 [질문] 140만원대 조립피씨 문의드려요 [19] 뿜차네 집사9077 20/12/27 9077
151494 [질문] 한때 유행했던 인도 뮤직비디오를 찾습니다 [8] 웃음대법관6455 20/12/27 6455
151493 [질문] 조립pc 견적받았는데이거 조합 괜찮나용 [9] 의문의남자6672 20/12/27 6672
151491 [질문] 이 목공 도구 이름이 뭔가요? [8] ArcanumToss7889 20/12/26 7889
151489 [질문] 아이패드 연결해서 사용할 모니터 추천해주세요 ! [2] 캐로6591 20/12/26 6591
151488 [질문] 이정도 PC견적이면 이륙 가능할까요? [3] Skyfall7085 20/12/26 7085
151487 [질문] 양적고 맛있는 과자 추천해주세요 [20] StondColdSaidSo7982 20/12/26 7982
151486 [질문] 애들 재우고 연휴에 볼만한 영화 추천 드립니다. [11] 모나크모나크8302 20/12/26 8302
151485 [질문] 자동차보험 가입경력 인정 관련 궁금한 게 있습니다. [4] 퀴즈노스6743 20/12/26 6743
151484 [질문] 아기 있는 집 TV 보호기 어떤 것을 쓰시나요? [7] 세인트6816 20/12/26 6816
151483 [질문] 와우 어둠땅용 컴퓨터 견적 검토 요청드립니다. [3] 잘생김용현7187 20/12/26 7187
151481 [질문] MSI 애프터 버너 세팅값 자동 변경 문제 아침6724 20/12/26 6724
151480 [질문] 취미로 코딩을 배우고자 합니다. 어떻게 접근하는게 좋을까요? [14] 아이언맨10963 20/12/26 10963
151479 [질문] [LOL]서폿이 로밍만 다니면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28] nekorean9119 20/12/26 9119
151478 [질문] 코로나 검사를 받으면 자가격리 필수인가요? [8] 삭제됨6659 20/12/26 6659
151477 [질문]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질문드려요 [11] 그럴거면서폿왜함5715 20/12/26 5715
151476 [삭제예정] 신규 공무원인데 향후 진로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 [24] 삭제됨9208 20/12/26 92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