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02 21:07:16
Name 꾸라사랑
Subject [질문] 중국과 유럽의 차이가 뭘까요?
늘 가진? 한번씩 떠오르는 궁금점인데

유럽과 중국의 땅 크기 차이가 엄청 크지는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럽은 조각조각 각각의 국가로 존재 했고

중국은 역사적으로 갈라졌다가 통일 됬다가 하긴 했지만

어쨌든 통일 이라고 할만큼 단일 문화권을 형성 했습니다.

그 차이가 어디에서 오는 걸까요?

자연 차이를 말하기엔 라인강이 프랑스와 독일을 갈랐는데

장강은 가르지를 못했다는 느낌?

중국도 조각조각 지형지물이 가르고 있는데...

어디서 차이가 나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02 21:11
수정 아이콘
진시황.. 물론 이게 다 일리는 없는데 걍 딱 떠오르네요 크크
마술사
20/12/02 21:19
수정 아이콘
중국에 진이 있다면 유럽엔 로마가 있죠..
일반상대성이론
20/12/02 21:16
수정 아이콘
양견의 유무?
닉네임을바꾸다
20/12/02 21:25
수정 아이콘
사실 진시황이 통일했지만 한나라 이후에 거의 300여년 이상 갈라졌는데도 결국 통일해낸거 보면...진-한에 걸쳐서 한족이란 개념이 형성되었던게 크겠죠...그걸 완성한건 수나라라고 할 수 있겠지만....
아밀다
20/12/02 2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형이 그래도 달라요. 유럽엔 큰 섬(브리튼 섬)도 있고 반도도 이베리아, 이탈리아, 발칸, 스칸디나비아, 유틀란트까지 여럿 있고 이것들이 서로 그럭저럭 균형이 맞는 정도의 덩치들이라 분열하기 딱 좋죠.

강은 자연적 경계로 기능하기엔 아무래도 산보단 약한 면이 있고 그래도 장강을 경계로 남북 구도가 가끔 형성되기도 했지만 결국 중원으로의 통일 압력을 못 견뎌 외부의 한반도와 만주 정도만 독립적으로 돌아갔나봐요. 역시 중원이 너무 큰 듯...?
Lord of Cinder
20/12/02 21:40
수정 아이콘
https://eh.net/eha/wp-content/uploads/2014/05/Koyama.pdf
중국은 외부(유목민족 등)로부터의 위협이 통일 제국을 유지시킬 유인을 만들었고, 서유럽은 외부로부터의 위협이 없었기에(동로마 제국이라는 방파제 등의 존재) 그렇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는 것 같습니다.
꾸라사랑
20/12/02 21:43
수정 아이콘
오 논문이 있었네요... 영어긴 한데 시간 내서 읽어 봐야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0/12/02 22:09
수정 아이콘
중국이 진시황 시절 통일 된 이후 복제나 문화의 차이가 크게 작게 있어도 모두 같은 언어를 썼지않나요? 긴 세월동안 언어가 통하지않았던건 아니니 .. 약간의 차이가 있지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0/12/02 22:18
수정 아이콘
만약 전유럽에 로마족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졌으면 모를까..
민족 개념이 중국에 비하면 매우 늦었죠.
고란고란
20/12/02 23:04
수정 아이콘
서로마 멸망 당시 유목민의 침입과 서진 멸망 후 5호 16국의 성립이 시기도 비슷하고 유사한 면이 있어서 역사학자들도 주목한다고 하더라고요. 전에 저도 여기에 질문한 적이 있거든요.
항정살
20/12/03 03:02
수정 아이콘
언어와 글이 달라서 아닐까요? 중국은 진시황이 분서를 통해 글자를 통일 시켰잖아요.
겨울삼각형
20/12/03 09:48
수정 아이콘
진시황의 통일이 상징적인 의미만 있는게 아니죠.
도량형통일 화폐통일 분서갱유를 하면서 법가사상의 통일

여러문제는 있었지만 일단 하나의 공동체를 만듭니다.
그러니 초한쟁패때도 군웅들의 목표가 통일이 되었죠
(물론 항우는 아니었을수 있지만..)

위진남북조때도 주도세력들의 역량이 부족해서 통일을 못했을뿐 통일이 계속 전략적목표가 되지요.


유럽은 한나라와 비슷한시기 로마의 전성기를 보아도
북유럽까진 정복 못했죠.
그리고 그 북유럽 게르만인들에 의해 서로마가 망하고..

그 뒤로 등장한 가장 큰 제국도
프랑크제국인데 게르만 상속법에의해 쪼개지죠.
서프랑크(프랑스) 중프랑크(로타링기아 사라짐) 동프랑크(신롬)

중세 유럽은 봉건제로 하나의 강력한국가가 탄생하기 어렵고 지방군벌세력의 전성기가 열리죠.

중국도 당나라가 다시 분열될때는 지방절도사들의 군벌화가 문제가 되었지만,
이 긴 혼란기를 거쳐도 다시 통일을 해야겠다는 영웅이 등장했습니다(조광윤의 송)

유럽은 단한번도 통일 되지 못했고요.
특히 이탈리아마저도 로마 멸망 이후 재통일되는 1800년대까지
단한번도 통일되지 못했죠.
북이탈리이른 신롬영향권 중부이탈리아는 교황청영향권 시칠이아왕국은 매번 왕위쟁탈전이 벌어 졌죠.
양현종
20/12/03 09:59
수정 아이콘
지형 요소가 가장 크다고 생각하고, 게다가 유럽은 중앙권력이 약한 봉건제라 통일에 대한 동력이 약하다고 봐야죠.
역대 중국의 통일왕조를 보더라도 어마어마한 국력 소진으로 단명한 왕조들이 수두룩한데 봉건제에서는 그런 끝없는 정복전쟁이 감당이 안될겁니다.
20/12/03 17:01
수정 아이콘
문자 탓도 있죠. 표의문자가 지금이야 장애요인이고 허구하면 인터넷에서 씹히지만 그 시절로는 서로간에 의사소통에 훨씬 장점이 많습니다. 입말이 안통해도 필담으로 소통이 되니까요. 국가가 하나로 통일되는데 언어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중국은 그걸 한자를 통해 이룬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0793 [질문] 괜찮은 마우스 추천 부탁드려요 [4] 잉차잉차6903 20/12/04 6903
150792 [질문] 신차서비스 현금 vs 용품 질문입니다 [18] 좀비8372 20/12/04 8372
150791 [질문] 와우 때문에 PC 뽐뿌가 와서 질문드립니다 [13] 살려는드림6847 20/12/04 6847
150790 [질문] 컴퓨터 250만원 이렇게 가보려고 합니다. 5600x + 3080 [6] 삭제됨5831 20/12/04 5831
150789 [질문] 삼성페이 교통카드 오류 문제가 궁금합니다 [10] SlaSh.6970 20/12/04 6970
150788 [질문] 조리용 온도계 오븐안에 꽃아서 쓰는 건 어떻게 꽃아서 쓰나요? [4] 맑은강도6446 20/12/04 6446
150787 [질문] 20년 연말정산에 반영되는 현금영수증 발급 종료일이 언제까질까요? [2] Red Key5480 20/12/04 5480
150786 [질문] 병원 진료실용 컴퓨터 견적좀 검토 부탁드립니다. [25] 부대찌개8495 20/12/04 8495
150785 [질문] 인터넷 단기 사용 [5] 살아가라~5089 20/12/04 5089
150784 [질문] 서울 홍제역 인근/서대문구는 어떤 이미지가 있나요? [24] Ashen One7449 20/12/04 7449
150783 [질문] 영어권 국가에서 case by case 라는 표현을 안쓰나요? [17] 신중하게7477 20/12/04 7477
150781 [질문] 건설업 자금관리 관련 좋은 책이 있을까요? 잉여5823 20/12/04 5823
150780 [질문] 겨울 차 앞유리 서리 제거 어떻게 하시나요? [10] 파랑파랑6282 20/12/04 6282
150779 [질문] 폰트 문제입니다. [1] D.레오5639 20/12/04 5639
150778 [질문] 옆사람이 기침 막 했는데, 코로나일까요? [14] 이런이런이런7301 20/12/04 7301
150777 [질문] 돌출입 재교정 질문입니다 [1] 레뽀6420 20/12/04 6420
150776 [질문] 이렇게 공유기 설치하면 괜찮을까요? [9] 취준공룡죠르디6136 20/12/03 6136
150775 [질문] 파일명 일괄 변경 질문드립니다. [6] 다미6748 20/12/03 6748
150774 [질문] 닌텐도 스위치 2인플 재밌는 게임 뭐 있을까요. [8] 아밀다7025 20/12/03 7025
150773 [질문] T맵 이동식 과속카메라 경고 질문 [16] 세정8257 20/12/03 8257
150772 [질문] 광어 vs 우럭 어떤게 더 낫나요? [53] 치토스15979 20/12/03 15979
150771 [질문] [보더랜드3] 거너 무기or종결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찹쌀깨찰빵8570 20/12/03 8570
150770 [질문] 사무용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너랑나랑5874 20/12/03 587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