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0/15 01:03:59
Name 깃털달린뱀
Subject [질문] 한국 과자는 왜 비쌀까요?
유럽에서 반 년 간 살았는데 마트 물가가 엄청 싸더라고요.
대충 과자 가격은 kg당 2~6유로 사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근데 한국은 100g 단위로 표시하고 800~1400원 정도인 것 같더라고요.

식료품은 유럽이 농축산업이 우리나라보다 경쟁력 있으니 이해가 가는데 과자는 별로 이해가 안 됩니다.
뭐 한국에선 기업이 소비자를 등쳐먹어도 된다 같은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배짱 부리고 싶어도 환경이 안받쳐주면 망하니까요.

이유를 몇 가지 생각해 봤는데

1. 원재료비 차이
2. 한국 시장 사이즈가 작음
3. 한국 과자 시장의 과점
4. 재료비 이외의 유통구조가 구리다든지 다른 비용이 비쌈
정도네요.

1은 과자에 들어가는 재료는 밀가루 제외하면 (설탕, 유지, 카카오 등) 다 수입인건 마찬가지일거고 밀가루도 대표적인 대규모 무역 작물인 만큼 가격차가 그렇게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2. 유럽인지라 제품 포장지 언어 갯수 보면 여러 나라에 유통되는데, 정작 그거 다 합치고 봐도 한국 5천만 인구보다 적었던 것 같습니다. 모든 제품이 유럽 전역으로 가진 않을테니까요.
3. 일단 제도적으론 과자 시장이 개방 돼 있으니(관세도 기본 8%에 FTA면 0%) 독과점이 성립할 수 있는 구존가 싶습니다.
다만 한국인의 인지도 있고 대규모 마케팅 여력이 되는 일부 대기업(롯데, 해태, 크라운, 농심 등) 제품 이외의 해외나 중소기업 과자 선호도가 낮다면 개방과 별개로 불완전한 독과점이 형성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인구 5천만이란게 식품 대기업 몇이 막 갖고 놀만한 사이즈는 아니라서 애매하네요.
4. 전 Aldi같은 PB 상품으로 때려박는 저가 매장 위주로 장을 봤습니다. 그래서 물건값이 많이 싼 걸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평범한 마트 기준으로 봐도 한국보단 많이 쌌던거 같긴 합니다. 아니면 한국의 유통구조가 돈이 많이 드는 구조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하기도 하고요.

어째설까요?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올해는다르다
20/10/15 01:51
수정 아이콘
맛있어서.. 수입과자가 들어오는데도 한국과자 사먹는데 맛은 좋아요
StayAway
20/10/15 01:52
수정 아이콘
일단 포장지회사에서 해먹고 있다는 건 거의 확실힙니다. 자회사이거나 오너가족들이 지분을 들고있는 회사들도 종종있고..
아케이드
20/10/15 01:57
수정 아이콘
그래도 팔리니까...가 정답이겠죠
곰그릇
20/10/15 02:13
수정 아이콘
과자에 한정할 거 없이 한국은 그냥 입으로 들어가는 건 뭐든지 가격이 비싼듯
20/10/15 03:07
수정 아이콘
업계 사정은 모르겠는데 주변 사람들 사는 거 보면 수입 과자보다 국산 과자를 훨씬 선호하더군요.
과대 포장 신경 쓰는 사람 인터넷 말고는 몇 명 보지도 못했구요.
다시마두장
20/10/15 03:51
수정 아이콘
한국 과자는 마트, 편의점 등에서 대충 손에 집히는대로 골라올 수 있으니 접근성에서 큰 차이가 나죠. 이게 큰 경쟁력입니다.
장 보다가 땡기는 과자 보이면 하나 집어들고, 술안주거리 필요하니까 대충 몇개 집어들고, 과자를 소비하는 패턴은 대개 이런 식이니까요.
게다가 생필품도 아니겠다, 많이 먹어봐야 살만 찌는 기호품이니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둔감하게 반응하게 되고요.
다른 분들 말씀대로 서양 과자가 한국 과자에 비해 맛이 단조롭다는 점, 또 이미 우리 입맛이 한국 과자에 익숙해져 있다는 점도 고려해 봐야겠습니다.

정말로 안 팔리면야 업체에서도 반응을 할텐데 이런 소비 패턴상 그럴 일은 없을 것 같네요.
달과별
20/10/15 05:11
수정 아이콘
유럽 밖 선진국으로 가면 과자가 비싸서 유럽산 과자가 유통됩니다. 심지어 미국에서도 유럽산 과자가 더 쌉니다.

그만큼 동유럽 파견직 인건비가 싸서 그렇습니다. 솔직히 자랑할건 아닙니다.
깃털달린뱀
20/10/16 23:49
수정 아이콘
어 인건비 문제는 솔직히 생각 못했네요.
생각해보니까 동유럽도 EU 역내에 있으니 거기서 만들고 유통하면 되는거군요. 과자 원산지는 찾아볼 생각을 못해봤습니다.
달과별
20/10/17 14:34
수정 아이콘
그것보다 더한 posted workers라는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타 유럽연합 국가에서 파견직으로 데려오면 사회보장제도 및 연금 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이러면 미국 대비해서도 인건비가 반이 안됩니다. 미국은 아주 기본적 관리자직만 되도 최저시급의 몇배를 줘야해서 전체 인건비를 보면 안 쌉니다. 유럽권은 별로 다르게 줄 필요가 없죠.
Tyler Durden
20/10/15 08:38
수정 아이콘
소비자 등쳐먹는 의견은 의미없다 하셨는데
의미있다고 보기에...
예전에 밀가루값이 꽤 올랐다고 과자값도 오르고 나선 가격이 하향된 적이 없죠. 크
밀가루값 내리든 말든요.
가격이란게 한번 오르면 내릴생각을 안합니다. 기업이란게 말이죠.
어찌보면 암묵적 단합이런거죠.
그리고 가격이 올랐으면 양은 똑같거나 그래야 맞지 않습니까? 양은 더 내려갔는데 가격조차 비싸면 그게 소비자 등 쳐먹는거죠.
예전 소비자불만 프로그램에서도 과대포장 및 해외수출용 과자랑 내수용 과자 양이나 질이 다르다고 까지 보도됐는데요.
1+1이나 2+1으로 가격싼것 처럼 포장이라도 해서라도 많이 팔리니 안 내리는거죠.
저조차 과자 사먹을 땐 2+1만 찾는데;
강미나
20/10/15 08:57
수정 아이콘
질이 좋아서요. 과자에서 한국보다 나은 곳은 일본밖에 없고 일본과자는 한국과자보다 더 비쌉니다.
미국 유럽쪽은 대부분 쿠키류거나 벌크 같은 건데 쿠키류는 싸지 않고 벌크는 질이 떨어지죠.

그리고 원가도 엄청 차이나죠. 그쪽 살아보셨다니 아시겠지만 유럽이나 미국은 유제품이나 밀가루가 어마어마하게 쌉니다.
그게 다 낙농업과 밀농사의 규모가 우리랑은 비교가 안되니까 그런거죠.
Tyler Durden
20/10/15 09:12
수정 아이콘
그 싼 밀가루 조금 비용추가해서 수입해서 만드는데요 뭐...
예전에는 비교적 저렴하면서 양도 많았는데
지금와서 훌쩍 비싸진게 이 의견이면 말이 안되죠..
한국인 입맛에 맞고 비쌈에도 수요가 적절히 있으니 그런거라고 봐야. 외국에서 한국과자가 더 쌉니다. 수출비용까지 있음에도
강미나
20/10/15 10:53
수정 아이콘
우리가 직접 만들든 수입하든 과정이 붙으면 비싸지는거죠 별 게 있나요 뭐.... 유통에 인건비에 뭐 하나 공짜로 할 수 있는 과정도 없고요.
그리고 어차피 갑자기 비싸진 것도 아니고 물가 따라 비싸지는거라 당연한거라고 봅니다.
맨날 아재들 옹기종기 모여서 옛날에 내가 사먹을 땐 과자 저렴했다 이러는데 그게 벌써 15년 20년 전 얘기라는 걸 생각을 해야죠.

이런 얘기가 할아버지들이 솔직히 밥이 얼마나 귀한데 그걸 남겨 하는거랑 뭔 차이 있어요.... 언제적 얘기를 하는건지
Tyler Durden
20/10/15 11:14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져볼거면 지수를 따져보고 얘기해야죠.
뭐 몇년전부터 최저임금이 많이 올라서 비슷하긴 할듯 한데
문제는 양이죠. 대부분이 질소과대포장 문제에 공감하고 있는데 가격만 올린건 이상하죠.
정지연
20/10/15 09:36
수정 아이콘
회사가 남겨먹는거, 유통구조 같은건 다 차치하고.. 과자의 원재료가 거의 수입산이고 국내산을 쓰는건 가격이 비싼 것들이죠..
과자에 들어가는 핵심 재료라고 하면 밀가루, 감자, 옥수수, 설탕, 소금, 우유(분유), 버터, 기름 정도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이 중 국내산이라고 하면 우유, 소금 정도 나올 수 있겠네요.. 나머지는 다 수입인데 이걸 수입해 오는데가 미국, 유럽이니까 미국, 유럽의 과자보다는 원재료비가 많이 들어가겠죠..
유제품도 우리나라 우유는 비싼 편이라 관련 유제품도 전체적으로 비싼 편이고요..
인건비가 그쪽이 더 비싸지만 과자 공정을 보면 요즘은 거의 기계가 합니다.. 사람이 많이 안 들어가니 인건비 차이도 크게 의미가 없을거고요..
20/10/15 11:06
수정 아이콘
유럽 과자는 고급부터 보통, 그리고 저렴한 제품 등 제품군이 다양한데 우리나라는 저렴한 제품군이 거의 없죠. 인간사료라고 부르는 것들이 있긴 한데 그건 또 양이 너무 커서 마트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는 없구요.
그리고 스낵류는 우리나라 것이 가격이나 질에서 빠지는 게 별로 없는 것 같은데, 반면 비스킷이나 파이쪽은 값은 비싼데 버터나 초콜릿, 과일잼 등의 맛이 너무 심심한 경향이 있어서 유럽이나 일본 과자보다 가성비가 떨어진다고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20/10/15 1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냥 제 생각이지만 외국이랑 과자 소비패턴이 많이 다른 것도 원인인 것 같습니다.
외국의 과자들은 대개 엄청 대용량인데 몇번 먹으면 물려서 못 먹겠더군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먹는 것을 선호하고 그쪽으로 제품개발이 집중된게 아닌가 싶습니다.
찾아보니 인당 초콜릿 소비가 우리나라는 연간 6백그램 정도인데 유럽쪽은 7~9kg에 달하네요.
박리다매를 하려면 많이 팔려야 하는데 싸게 팔아봐야 많이 안팔려서 이득이 적으니 안하는 거겠죠. 시장도 작고...
최근에 특히 급격하게 오르는 가격이나 질소포장 등은 이 와중에 이득을 늘리기 위해 여러가지 전략을 쓴 결과물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깨닫다
20/10/15 19: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외국 과자들이 한국인 입맛에 안 맞아서 경쟁이 안되는 것 같아요. 재료의 품질이 크게 좌우하는 초콜릿 들어간 제품이나 감자칩, 젤리, 사탕 같은 건 수입제품 자주 보이고 선호도도 꽤 있는데 시즈닝이나 양념맛으로 먹는 밀가루 계통 스낵과자들은 다 국내산만 먹더군요. 수입과자 열풍 불었다가 사그라든 것도 그래서인 거 같고 각잡고 현지화해서 진출하면 고급과자 시장은 내줄 거 같은데 그러려는 해외 기업이 없는 듯.. 초콜릿같은 거 보면 중급 이상 라인업의 재료 품질과 가성비는 유럽이나 다른 선진국 쪽이 더 좋다고 느껴요.
깃털달린뱀
20/10/16 23:52
수정 아이콘
단순 인구 비례로 소비량이 늘어나는게 아니라 과자 소비량 자체가 적고, 그래서 시장성이 꽤 떨어진다고 봐야 하겠군요.
거기다 익숙함이든 뭐든 국산 과자를 선호하니 사실상 장벽이 있는셈이고요. 뭐 원재료비도 덤으로 보면 되겠고요.
이 정도면 충분히 납득할만하고 궁금증이 풀렸습니다.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472 [질문] 만화 제목 질문입니다. [3] 모찌피치모찌피치5115 20/10/19 5115
149470 [질문] [아이즈원] Twelve 앨범 구입문의 [2] 청소좀하지5081 20/10/19 5081
149469 [질문] 넷플릭스 추천해주세요 [24] gkrk8388 20/10/19 8388
149468 [질문] 갤럭시 z플립 lte 구매 충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15] k`6296 20/10/19 6296
149467 [질문] 닌텐도 스위치 구매 관련 질문드립니다 [13] 구아바구아바6806 20/10/19 6806
149466 [질문] 1종 대형 운전면허 취득을 위한 학원추천 및 팁 공유 부탁드립니다 삭제됨4923 20/10/19 4923
149465 [질문] (삭제 예정) 형이 집에서 쫒겨났는데 제가 뭘 해야할까요? [9] 삭제됨6936 20/10/19 6936
149463 [질문] 결혼 100일 기념 이벤트 문의 [15] 4월4721 20/10/19 4721
149462 [질문] 스트레스를 받으면 순간적으로 안 보이고 안 들립니다 [3] 똥꾼5544 20/10/19 5544
149461 [질문] 30대 독감 예방주사는 어디서 얼마를 주고 맞아야하나요? [12] 연필깍이6122 20/10/19 6122
149460 [질문] 인천에 족구할만한 장소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2] qwertyy4546 20/10/19 4546
149459 [질문] 아파트 매매시 잔금치는날 이사를 가는건가요? [23] 된장찌개13361 20/10/19 13361
149458 [질문] 주위에 수염이 거의 안나는 남자가 있나요?? [18] 하늘운동22231 20/10/19 22231
149457 [질문] 강남 일대 소개팅 장소 문의 [5] allin135923 20/10/19 5923
149456 [질문] 런닝할 때 핸드폰 어떻게 하나요? [14] 호아킨12407 20/10/19 12407
149455 [질문] 입주청소비용 관련질문이있습니다. [13] 코봉이6113 20/10/19 6113
149454 [질문] 오늘 G2 2경기에 나온 메자이랑 메자이전 반지스택 질문 [3] 피쟐러7058 20/10/18 7058
149453 [질문] 계절당 옷 몇 벌씩 갖고 계신가요? [17] CoMbI COLa7596 20/10/18 7596
149452 [질문] 국내에서 가장 큰 롤 커뮤니티가 어디인가요? [7] 레너블6695 20/10/18 6695
149451 [질문] 랜섬웨어 감염시 하드디스크 어디까지 포맷해야 하나요? [3] VictoryFood10241 20/10/18 10241
149450 [질문] [MLB] 커쇼 NLCS 7차전에 나올까요? [9] 천혜향5455 20/10/18 5455
149449 [질문] 페르소나 4 vs 페르소나 5 [39] 코기토9113 20/10/18 9113
149448 [질문] 프로틴바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아이시스 8.05661 20/10/18 56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