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0/02 23:26:09
Name 포이리에
Subject [질문] 신명호는 놔두라고 라는 영상 보고 궁금해졌습니다
유튜브 보다가 신명호는 놔두라고 라는 영상이 뜨길래 제목이 신박해서 보니깐

작전타임에 감독이 신명호는 놔두라고 강조하고 슛하는 영상 쭉 나오던데 황당한 슛이 많이 나오더라구요

마지막은 같은팀 선수가 패스하고 아차 하는 제스쳐를 쎄게 짓던데 어느정도길래 이런 영상이 있는건가요?

댓글을 쭉 내려봐도 설명같은건 없고 그냥 놀리는듯한 댓글만 한가득하네요

1. 진지하게 까는 영상인가요 그냥 재밌게 편집한 영상인가요?
2. 신명호라는 선수의 평은 어떤가요?
3. 혹시 축구로 비유해서 설명 가능할까요?

주변에 물어볼 사람도 없고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농구 룰도 모르는 완전농알못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글날기념
20/10/02 2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둘다
2. 수비력은 정평난 선수입니다. 외국인 선수들도 힘들어할 정도니 거의 수비 원툴로도 프로에서 살아남는 선수입니다.
3. 농구는 공격과 수비 전환이 빠르고 둘다 하다보니 굳이 축구로 표현하기 어려운데 단순 수비수로 치환하기도 그러니
그냥 최상 수비력을 가진 포워드나 미드필더?

대학때 어느정도 슛에 대한 강점이 있었는데 부상 이후로 슛능력이 많이 떨어진 걸로 압니다. 아무래도 기본 슛 메커니즘은
수십년 동안 해온 건데 부상을 당하고 나서 흐트러지고 나서 개선이 안되는 걸로
Davi4ever
20/10/02 23: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농구를 깊이있게 알지는 못하지만...

1. 신명호 선수의 약점인 슛을 가볍게 놀리는? (더 좋은 표현이 생각 안 나네요) 영상...으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전태풍 선수가 이후 인터뷰를 했는데 정말 패스를 잘못 했던 거라고...
2. 공격력 극악, 하지만 최상급 수비를 갖춘 선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비 하나로 13년 동안 프로에서 살아남았죠.
3. 축구는 공격수와 수비수가 분리되어 있는 반면 농구는 공수를 모두 해야 하기 때문에 조금 애매하네요.
리버풀에 있을 때의 마스체라노 정도면 그나마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바르셀로나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이 향상되었으니까요)
김티모
20/10/02 23: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당연히 그냥 웃자고 하는 밈이죠. 그래도 선수 본인은 자존심이 많이 상했다고 하더군요.
2. 올해 은퇴하고 코치로 올라갔고요. 슛 성공률은 좋게 말해줘도 개판이었는데 외국인 용병들한테도 인정받는 질식수비가 일품인 선수였습니다. 슛도 열심히 연습해서 선수생활 말기에는 3점 성공률이 조금 올라갔습니다. 대충 세번 시도하면 한번 들어가는 정도?
3. 골은 거의 못넣지만 상대 공격수 밀착마크로 그라운드에서 지우는데 일가견이 있는 미드필더라고 보시면 됩니다. 궂이 선수중에 찾자면 이탈리아의 가투소 선수시절 같은 스타일인데 풀타임 주전은 안되니 티어는 떨어진다고 봐야 크크
스타나라
20/10/02 23:46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EC%8B%A0%EB%AA%85%ED%98%B8
신명호에 대해서는 위 링크를 참조하시고...

1) 까기 보다는 재미를 위해 편집한 쪽에 가깝습니다만...없는 사실을 지어낸 것은 아닙니다. 유도훈 감독, 문경은 감독 모두 작전타임에서 선수들에기 지적했던 사항이었죠. 프로경기에서 슛팅능력이 떨어지는 선수에게 수비가 붙지 않고 놔두는 수비를 세깅 디펜스 라고 합니다. 감독은 이를 지시 한 것인데 선수들이 듣지를 않아 격앙되어 이야기 했던거죠.

2) 공격과 수비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있는 축구와는 달리, 농구의 경우 공격수도 수비를 해야하고, 수비수도 공격을 해야합니다. 따지고보면 토털사커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네요. 공격이 약간 떨어지는 수비수나 수비가 약간 떨어지는 공격수는 존재해도, 공격이 아예 없는 수비수는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신명호가 공격이 없는 전문 수비수였고, 수비 하나만으로도 국가대표에 승선한 이력이 있는 선수입니다.
수비 자체는 포지션 무관하게 모든 상대 선수를 매치업 할 수 있는 수준이었고(센터 제외..) 매치업 상대의 득점을 억제하는 능력이 탁월한 선수였습니다.
그렇다고 공격능력이 아예 없는 선수는 아니었는데, 볼 운반이 가능하고 게임 리딩이 가능한 포인트가드였던데다, 젊은시절에는 돌파능력이 있는 선수였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연습때는 슛팅이 매우 좋은 선수였다고 합니다.(링크 : https://n.news.naver.com/sports/basketball/article/056/0010817522)

3) 축구로 비유하자면 수비형 미드필더쯤 되는 선수겠네요. 다만, 농구라는 종목의 특성상 모든 선수는 전방압박이 가능한 공격형 미드필드인데 신명호만 달랐던 거죠.
키모이맨
20/10/03 00:05
수정 아이콘
농구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수비방식입니다

농구에서 골을 골대에 넣는데에는 다양한 방법이있고
슈팅은 그 중 하나인데 실제 농구경기에서는 NBA도 마찬가지로 슈팅능력이 부족함에도 선수로써
뛰는 선수들이 얼마든지 많습니다. 슈팅이 부족해도 키 큰 센터의 경우 골대 근처에서 넣을수도 있는거고
아니면 흔히 말하는 받아먹기로 넣을수도 있는거고 돌파력이 출중할수도 있는거고.

근데 A라는 선수가 있는데 슈팅이 젬병이다, 이러면 수비를 할때 A선수의 슈팅을 견제하는건 바보짓이겠죠?
실전에서 3점 성공률 20%인 선수면 그냥 3점 라인에서 오픈으로 공을 잡아도 신경도 쓰지말고 다른 선수들을
막거나 아니면 한참 뒤에서 돌파길만 차단하는 방식의 수비가 훨씬 이득입니다. 새깅 디펜스라고 하죠.
지금 이시간에도 많이 쓰이는 방식입니다. 슈팅이 약하거나 없는 선수면 3점 라인에서의 슛을 견제하지 않고
거리를 벌려서 돌파만 차단하거나 다른 공격력이 출중한 선수에게 패스를 했을때 더블팀을 붙죠.
때문에 보통 골밑에 주로 자리를 잡는 빅맨도 아니고(요즘에는 빅맨도 슈팅력이 준 필수수준이 되긴 했지만)
포워드~가드인 선수가 슈팅이 없으면 팀 공격이 엄청나게 답답해지기 십상이죠.

기본적으로 슈팅이 안된다는건 농구에서 무조건 마이너스인데, 키 큰 인사이더들은 슈팅능력이 부족해도
선수로서 최소한의 경쟁력이 있는반면 키 작은 가드 포지션의 선수가 슈팅능력이 없다는건 너무 큰 마이너스입니다.
근데도 선수로서 경력이 있고 경기에 나온다? 그러면 다른 부분에서 아주 특별한 강점이 있는거죠. 신명호의
경우는 수비가 굉장히 출중했기 때문에 오랜 프로생활을 할 수 있었죠. 공격에서 도움이 거의 안될 정도로 공격력이
빈약해서 팀 공격전개에 악영향을 끼치는 마이너스보다 수비로 가져다주는 플러스가 큰 상황이 있었다는거죠.

신명호는 놔두라는건 지금은 밈화됐지만 한마디로 선수들이 수비전술대로 수비를 안 하니까 질책하는 장면입니다.
신명호는 슈팅이 약하다
슈팅이 약한 선수 상대로는 새깅 디펜스(슈팅을 견제하지 않고 거리를 벌리는)이 효과적
근데 실전에서 신명호가 3점라인에서 공을 잡으니까 자꾸 슈팅을 견제하려고 하다가 다른 선수에게 찬스가 난다
수비할때 신명호한테 새깅 디펜스를 하라고 했는데 왜 자꾸 견제하려고 해서 다른데서 찬스가 나게 만드냐?
신명호 슛은 견제하지 마라
쿼터파운더치즈
20/10/03 00:38
수정 아이콘
굳이 축구로 비유하자면 피르미누?
9번 최전방 포워드지만 골은 잘 못넣고 연계 수비가담 압박 이게 월클이라 마네와 살라에게 기회가 가게끔 만드는
물론 클래스 차이는 좀 많이 나지만요
드랍쉽도 잡는 질럿
20/10/03 01: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육체적으로는 부상 때문에 슛을 제대로 못 쏘고, 심리적으로는 그것이 반복되니까 부담이 커서 극복하진 못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연습 때는 그 정도로 못 넣지는 않으니까요...

수비 입장에서는 안 막아도 될 확률이었습니다.
다만 바꿔 말하면, 그 정도로 안 좋은 공격 능력인데 오래 뛴 것은 수비력이 역대급이었다는 것이죠.
20/10/03 01:54
수정 아이콘
1. 재밌게 편집했지만 아닌걸 맞다고 한 적도 없는 정도의 영상입니다.
2. 역대 KBL 가드 포지션 최고의 수비수. 이 한마디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3. 예전 프랑스와 레알 마드리드, 첼시의 클로드 마켈레레가 떠오르네요.
Brasileiro
20/10/03 03:28
수정 아이콘
수비 능력 하나만으로 국가대표까지 한 선수입니다.

상황을 축구로 비유하자면 첼시에서 뛰던 마켈렐레가 공을 잡고 파이널서드 정도로 올라와서 슛을 할수있는 각도인데 저선수는 슛이 없을꺼다, 중거리슛은 없으니까 붙지말라고 생각하시면 될거같네요.
의문의남자
20/10/03 08:35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저렇게 슈팅력 안좋은선수 바깥에 그냥 냅두는 수비는 엔비에이가 더 심합니다. 이년연속 엔브이피딴 야니스라는 선수도 플옵에서 비슷한상황으로 팀 승리 다말아먹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구요. 야니스는 냅두라고.
의문의남자
20/10/03 08:37
수정 아이콘
아무튼 슛없는선수 바깥쪽에 있을때 돌파 못하게 먼거리에서 지켜만보고 슛그냥 하게 냅두는건 너무나 흔한전술이에요
포이리에
20/10/03 09:38
수정 아이콘
다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831 [질문] 집안에 찌든 담배냄새.. [6] Liverpool FC8033 20/11/01 8033
149830 [질문] 휴대폰 구입 관련 질문입니다.(초보가 성지 찾아가기) [5] 삭제됨8180 20/11/01 8180
149829 [삭제예정] [하드웨어] 새로 산 그래픽카드를 설치하니 beep음이 4번 울리며 인식이 안 됩니다. [6] 삭제됨6470 20/11/01 6470
149828 [질문] 5시간동안 모기 27마리 잡았습니다. [12] 조휴일7920 20/11/01 7920
149827 [질문] 30대 후반이 코나를 사면 별로인가요? [50] 크리스 프랫13433 20/11/01 13433
149826 [질문] 조립 컴 하나 맞추려는데 메인보드에서 막혀서 헬프 요청합니다. [6] Pygmalion6517 20/11/01 6517
149825 [질문] 3개월 정도 빡세게 일할 곳이 있을까요? [16] iiIIiIlilI7420 20/10/31 7420
149824 [질문] [LOL] 드롭스 몇번 받으셨나요? [14] I.O.I6652 20/10/31 6652
149823 [질문] 어린이보호구역 속도 위반 단속 지점에서 10km 정도 과속을 한거 같습니다. [10] 광개토태왕9388 20/10/31 9388
149822 [질문] 다들 뉴스는 어떻게 보시나요? (+유튜브 뉴스 채널 추천) [2] 깃털달린뱀5056 20/10/31 5056
149821 [질문] 5천만원 내외 차량 추천 [27] Hikaru8109 20/10/31 8109
149820 [질문] 전기면도기 헤드 관리 질문드립니다. 찬가(PGR21)5610 20/10/31 5610
149817 [질문] 차 긁힘 질문 [6] 장헌이도6536 20/10/31 6536
149816 [질문] 인천대교 (송도->인천공항 방면) 구간단속 [2] 체리과즙상나연찡5640 20/10/31 5640
149815 [질문] (진지) 부산의 최근 미친 아파트 가격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15] 삭제됨6691 20/10/31 6691
149814 [질문] [2020 LOL Worlds] 오늘 영등포 CGV에서 관람하시는 분 계신가요? [5] 딱총새우5772 20/10/31 5772
149813 [질문] 통신사 제휴 카드였다가 혜택 없어지는 건 안 알려주죠? [2] 삭제됨5072 20/10/31 5072
149812 [질문] 아이패드 미니 5 입문자 입문자입니다. [22] ArcanumToss7368 20/10/31 7368
149811 [질문] 스1]순수 토스 지상군 상대로도 히드라가 효율적인 유닛일까요? [11] Waldstein7105 20/10/31 7105
149810 [질문] 도와주세요 ㅠㅠ 공유기를 사용하면 게임중 인터넷이 끊깁니다. [4] 신류진6778 20/10/31 6778
149808 [질문] 트리플 모니터 질문입니다. [11] 양스독7078 20/10/31 7078
149807 [질문] 컴퓨터 그래픽카드 질문입니다.. [10] 쿄우가6635 20/10/31 6635
149806 [질문] 무선 USB같은 것으로 프린터연결이 가능한가요? [4] 통수5761 20/10/31 57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