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17 10:39:46
Name 대고
Subject [질문] 집 내부 올수리 질문
안녕하세요, 지난번 전세빌라 관련해서 조언구했다가 큰 도움 받아서 이 기회에 감사 인사드립니다.

구축 아파트를 사서 내부 올수리하기로 결정했는데 인테리어는 턴키방식으로 업체선정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궁금한건, 집안 내부를 싹 갈아엎을건데, 콘센트 위치 선정하는 팁이나, 인터넷 선 구조에 대한 팁이 있을까 질문을 드려봅니다.
특히 방3화2 구조라, 집안 구석구석까지 와이파이가 잘 터지게 하려면 무엇을 해야할는지도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17 10:54
수정 아이콘
통신선 관련한 부분은 통신업자한테 맡기는게 편하실거에요.
어설프게 인테리어 업자말만 믿었다가는 내부 단선되거나 마감할때 통신단자 매립시키는 경우가 종종있어서...

통신관로 있는걸 살려서 내부 전화선제거하고 UTP포설하는 식으로 해야할거 같은데,
구축같은 경우엔 인터넷 메인선이 내부/외부에서 들어오는지, 통신관로 구조가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설계를 바꾸셔야할거 같아요.
집안 구석구석 와이파이 잘 터지게 하시려면 그냥 각 방마다 와이파이 따로 놓는게 속편합니다...
20/09/17 14:11
수정 아이콘
메인선 들어오는 위치를 먼저 봐야겠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20/09/17 10:57
수정 아이콘
구석구석 잘터지게 하는건 방마다 와이파이 증폭기 같은거 놓는게 정답입니다 -.-; 물리적인건 어쩔수 없어요. 벽 몇개를 넘어간다는건 매립 이런거랑은 별개의 일이라..
20/09/17 14:13
수정 아이콘
잘 몰라서 궁금한게 하나 생깁니다.
공유기의 경우엔 메인 AP단말기랑 연결해서 사용하는데, 각 방에 놓게 되면 각각의 단말기들은 메인 랜선을 길게 연장해서 연결을 해줘야하는 방식일까요?
여태까진 거실에 메인단말기 하나만 두고 써봐서 증폭기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문외한입니다.
아니면, 각 방에 놓는 증폭기는 단순히 전원만 연결하면 작동하는 방식인가요?
20/09/17 11: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와이파이의 경우 신호 강력하면서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끊김없이 왔다갔다하는 기능'이 있는 공유기를 쓰시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2.4GHz 대역은 속도가 보통인 대신 멀리까지(장애물을 잘 뚫고 넘어감) 전송이 되고, 5GHz 대역은 유효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지만 속도가 빠릅니다.
저는 현관 신발장 구석에 직접 설치한 공유기 하나로 방 3개 커버하고 있습니다.
20/09/17 14:18
수정 아이콘
그런 기능도 있군요. 참고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17 11:03
수정 아이콘
통신선로 만들어서 허브 넣고 세팅하면 아주 행복하고 깔끔합니다. 그런면에서 집 조금씩 좁히더라도 한 3-5cm씩 목공사 하셔서 벽뒤쪽에 뭔가를 할 수 있게하시면 나이스하죠.

일단 메인 허브단자를 넣을 단자함 위치를 정하시고(거의 대부분 신발장 등 입구쯤에 있을 확률이 높음) 거기서부터 각 방으로 갈 UTP케이블 몇개 뽑아서 갈지를 도면상에 그려넣으시면 작업해주실겁니다. 근데 콘크리트면 뚫고한다는건 말이 안되니, 목공사 할때 선이 위치할 벽들은 목공작업을 하시고 최종 콘센트 나올 위치와 케이블 위치를 잡아주시면 좀더 잘해줄겁니다. 돈이 들어서 그렇지...

와이파이 문제는 솔직히 답 없는 수준인데, 맥주캔 등의 전파 세팅을 가져가는 방법과, 메인 Wifi에서 익스텐더를 쓰는 방법을 예전에 해봤는데 익스텐더는 자유롭게 오고감이 없는 병맛의 기술임을 느끼고 좌절.. (대충 60~100평사이 빌라에서 테스트 했다가 눈물만 흘렸습니다) Mesh기술 지원하는 공유기들로 구성하시면 아마 그 부분도 해결이 되실 겁니다.

근데 일반적으로 와이파이 음영지역 발생할 정도면 집이 진짜 크거나 벽과 벽과 벽의 문제라...
20/09/17 14:20
수정 아이콘
새 집이 33평이라 그리 큰 집은 아니니, 분명 벽때문일거 같습니다.
선로공사를 하는게 깔끔하니 좋겠네요. 이런 생각을 못했던건데, 인테리어 업체에 문의를 해봐야 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09/17 12:39
수정 아이콘
와이파이는 집 중심에 두는 거 아니면 답이 없습니다.
34평인데 마루에 두니 방에서 잘 안터져서 방에 공유기 추가로 뒀어요..
20/09/17 14:20
수정 아이콘
벽때문에 중심에 두더라도 멀리 있는 방ㅔ 음영이 생길거 같습니다.
공유기가 답일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20/09/17 12:43
수정 아이콘
그리고 랜선배치는 인테리어 업자에게 맡기는 것이 더 좋습니다.

공사할 때 랜선을 마루, 방 2개에 각각 배치했었는데,
인터넷 업자분께 이야기 했을 때는 3개는 안된다고 했다가 “어, 이미 들어와 있네요...” 했던 기억이 있어서요.

특히 보통 집은 랜선 단자가 2개만 있는 경우가 많아서 3개 넣으시려면 미리 공사할 때 넣어야 마감이 깔끔하게 됩니다. 안그러면 2개짜리에 선 하나는 플라스틱판 아래에 삐죽 튀어나와야 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563 [질문] 조이스틱 들리는 문제 [7] 귀여운호랑이6058 20/09/18 6058
148562 [질문] 속칭 '스위치 프로', 진짜 나올까요? + 스위치 구매? [10] 레이오네5623 20/09/18 5623
148561 [질문] 자동차 네비게이션에 블루투스 연결 화면 띄우기 [1] 연휘가람6030 20/09/18 6030
148560 [질문] PS4 발매 초기때 어땠나요? [8] 웃음대법관6636 20/09/18 6636
148559 [질문] 29살 고혈압질문입니다 [7] 정발산기슭곰발냄새5547 20/09/18 5547
148558 [질문] 미국에서 애플케어플러스 가입해도 괜찮을까요? [2] 삭제됨5231 20/09/18 5231
148557 [질문] 다음 목적으로 자바를 공부하면 쓸모가 있을까요? [2] 댕댕댕이5456 20/09/18 5456
148556 [질문] 신경과와 정신과가 처방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나요? [4] Pygmalion5437 20/09/18 5437
148555 [질문] 인터넷으로 해외사이트서 옷 구매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이 옷 지금 구할수 있을까요? [4] 요한5362 20/09/18 5362
148554 [질문] 장애인주차구역 질문드립니다 [2] 熙煜㷂樂5929 20/09/18 5929
148553 [질문] 플스5 경쟁 심할까요? [31] LeNTE7787 20/09/18 7787
148552 [질문] 갤탭 s7 질문입니다. [4] phoe菲5825 20/09/18 5825
148551 [질문] 브가만 3080으로 바꿀수 있는 사양인가요? [39] 포프의대모험10546 20/09/18 10546
148550 [질문] 짧은머리 빠짐 [6] 게롤트8525 20/09/17 8525
148549 [질문] 전기산업기사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콩사탕7200 20/09/17 7200
148548 [질문] [LOL] 키 질문입니다. [4] 자루스6497 20/09/17 6497
148547 [질문] 저희집 식물들 이름 좀 부탁드립니다 [2] purplesoul5426 20/09/17 5426
148546 [질문] [던파]오늘 보상으로 나온템 엠블렘은 어떻게받아야하나요? [1] 쥬리5298 20/09/17 5298
148545 [질문] 아이패드 엑셀365 쓰시는 분 있나요? 하카세7416 20/09/17 7416
148544 [질문] 여러분은 게이밍 장비 어떻게 하시나요? [26] 아몬6616 20/09/17 6616
148543 [질문] 플스5 질문입니다 [8] 콜라제로8013 20/09/17 8013
148542 [질문] 중고아이패드 어느정도 사야 할까요 [11] StondColdSaidSo6648 20/09/17 6648
148541 [질문] [LOL]초보질문 [20] 아린어린이6790 20/09/17 67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