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07 22:35:51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시험은 관운이 분명히 있다 vs 변명이고 결국은 무조건 실력이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이드
20/09/07 22:3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운이 작용 안하는 시험이 어딨겠습니까...
20/09/07 22:39
수정 아이콘
어느시험이나 운으로 통과하는사람들은있죠
그렇지만 넉넉하게 통과하는사람들은 실력아니겠습니까
우그펠리온
20/09/07 22:40
수정 아이콘
현실 세계 자체가 운빨똥망겜인데요 뭐...
김곤잘레스
20/09/07 22:41
수정 아이콘
운 작용하죠. 실력이 더 중요하지만요.
20/09/07 22:42
수정 아이콘
모든게 사실 운이긴 합니다

급똥 앞에 장사 없잖아요

-PGR21-
키모이맨
20/09/07 22:44
수정 아이콘
시험이 아니고 온세상일에 운이 작용안하는분야가 있긴한가요?
20/09/07 22:47
수정 아이콘
인생은 운빨입니다
강미나
20/09/07 22:47
수정 아이콘
점수 0.5점 차이로 합/불합이 판가름나는 상황에서 똑같이 찍어서 누구는 맞고 누구는 틀리는 게 시험인데
실력 이외의 측면이 있다는 걸 부정할 수는 없죠. 그걸 어떻게 볼지는 각자의 시각에 따라 다른거겠지만요.

다만 운으로 판가름나는 영역까지 가려면 일단 실력이 있어야 합니다. 100문제 중에 80문제를 찍어서 맞출 수는 없으니까요.
민트초코우유
20/09/07 22:48
수정 아이콘
단기 닥전
장기 닥후
20/09/07 22:49
수정 아이콘
운이 당연히 필요하죠.
전제 조건은 어느정도 실력 이상인 사람들 사이에서 운이 필요한거지,
되도 않는 실력으로 운을 바라는건 기적이죠
동년배
20/09/07 22:49
수정 아이콘
만점이어야 붙는 시험 아니고 80점 대에서 합격 결정되는 시험은 운이 있습니다.
5지선다 시험일 때 풀어서 75점 실력인데 누구는 찍은게 다 틀려 75점 나오고 누구는 찍은게 다 맞아 100점 나올 수도 있습니다. 표본-응시자가 많은 시험일수록 별별 케이스가 많아서 (이론적으로는 50점 실력이 나머지 다 찍어서 100점 나올수도 있음)
다만 본인이 노력해서 무조건 100점 나올 실력 만들면 되는데 현실적으로 그게 다 안되니 합격선이 80이죠.
BibGourmand
20/09/07 22:53
수정 아이콘
한두문제 찍기싸움 가는 수준이면 운이 크게 작용하겠죠.
하지만 찍기싸움 벌여볼 수준의 실력은 돼야 그 복권을 긁어보기라도 하는거죠. 정말 출중해서 복권 긁어볼 필요도 없는 실력도 있는거고요.
알라딘
20/09/07 22:58
수정 아이콘
실력이 되야 하늘이 도와주는 것 같습니다.
20/09/07 23:03
수정 아이콘
'공무원 정도'의 '준고시'급이 무슨 시험을 말하는 건가요? 객관식은 당연하고 주관식과 서술형에서도 운이 크게 작용합니다. 어릴 때부터 이런 방식에 익숙해졌지만 애당초 몇년동안 쌓은 지식을 몇시간 이내에 평가한다는 게 상식적으로 말이 안되죠.
20/09/07 23:04
수정 아이콘
실력만 있으면 붙고 운만 있음 못 붙습니다. 운이 따라서 붙었다 해도 그 운으로 합격과 불합격이 바뀌는 범위까지 가는 것도 실력이지요. 전 걍 실력 문제라고 봅니다.
랜슬롯
20/09/07 23:11
수정 아이콘
운이 생각보다 많이 작용되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력이 없으면 그 운을 잡을 수도 없습니다.

근데 그런식으로 접근하다보면 모든게 운이니까요. 우리가 할 수 있는건 우리가 제어가능한 실력부분에서 최선을 다하고 하늘에 맡기는 것일뿐
페로몬아돌
20/09/07 23:12
수정 아이콘
운칠기삼요
20/09/07 23:16
수정 아이콘
운이란 결국 내가 제어할 수 없는 상관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지요.
미카엘
20/09/07 23:17
수정 아이콘
삶의 모든 부분이 운적 요소가 있습니다.
캐러거
20/09/07 23:23
수정 아이콘
당연히 운이 있을 수 밖에 없지요.
다들 비슷하게 공부한 시험에서는 특히나요
20/09/07 23:24
수정 아이콘
준고시 말하는거면 9급 공무원말하는 걸텐데 운이 작용 안 하거도 뚫을 수는 있습니다.못 뚫는 사람도 있고요.
최선을 다했다지만 슬프게도 본인 한계가 운없이는 합격 못할 실력인거겠쬬
20/09/07 23:33
수정 아이콘
후자라고 말할수 있는사람이 몇명이나 있을까요? 어렸을때부터 무수히 많은 시험과 관문을 겪어오면서 운이 따라준적도, 안따라준적도 다 겪어봤을텐데요.
봄날엔
20/09/07 23:41
수정 아이콘
정규분포죠 뭐
70점 이상이 붙는 시험이라 치면
어떤 사람의 성적은 평균 90에 표준편차 10인거고 그럼 컨디션 안좋아도 무조건 붙을거고
어떤사람의 성적은 평균 75에 표준편차 10이면 좀 컨디션 안좋으면 떨어지는거고요

실력과 운 모두 적용될 거에요
트리플토스트
20/09/08 00:53
수정 아이콘
운칠기삼이라고 생각합니다.
StayAway
20/09/08 02:49
수정 아이콘
운을 잡을 실력을 키워야죠..
20/09/08 04:08
수정 아이콘
어차피 운은 우리가 컨트롤 못합니다

우리가 할수 있는건 실력 향상 뿐이죠
린 슈바르처
20/09/08 07:24
수정 아이콘
진짜 운 중요합니다..

10년전에 7급 시험에서 영어단어는 따로 공부안했는데,
전날 공부한 모의고사에 나온 단어가 그대로 2문제 나온거보고
이시험은 무조건 붙는다고 생각했었거든요.
20/09/08 09:24
수정 아이콘
실력도 없는데 운이 좋아서 붙을 확률은 극히 희박하다고 봅니다. 반면 실력이 좋아도 운이 없으면 잘 안될 수도 있고요.
오클랜드에이스
20/09/08 09:39
수정 아이콘
5년전 토익시험 한창 칠때 2개의 시험을 연달아 봤는데 1번 870점, 2번 745점이 나온적이 있습니다.

나중에 2년지나서 기간 만료되고 추가로 필요해서 다시 쳤을때는 공부를 좀 더 빡세게 했는데 그때는 900점 이상을 안정적으로 뽑아낼 수 있었습니다.

5년전에는 실력이 없는데도 운으로 실력대비 엄청 고득점 한거고, 3년전에는 운이 안 좋아도 그냥 고득점할 토대가 마련된거겠죠.

운이 중요한건 합격권 언저리에서 왔다갔다 할때인것 같고, 아무래도 난이도가 높은 시험(고시류)일수록 합격권을 초월하기 어려우니 시험 난이도에 따라 갈릴것 같습니다.
20/09/08 09:51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동창 중 A란 놈이 경찰고시를 준비함
약1년정도 공부하다가 같은 동네 동창인 B에게 같이 준비하자고 함
둘은 매일 아침에 만나, 같이 공부하고, 같이 밥을 먹고, 같이 하루의 공부를 마감.
차이가 있다면, B는 여자친구가 있어서 여자친구와 놀아주기도 해야했음. (일주일 중 2-3일은 공부 X)

1년 먼저 공부한 A와 여자친구 있는 B는 모의시험은 한문제집을 놓고 서로 따로 답안을 적으며 채점을 하곤했는데 A가 당연히 점수는 잘 나옴

근데 B가 7개월인가만에 경찰고시 합격
A는 2년 정도 더 하다가(토탈 3년) 소식을 듣지 못함

운이죠.. 운.. 문제집으로 모의시험을 봐도 월등히 잘나오던 놈이 떨어지고..
7개월만에 여친이랑 놀러디니고, 심지어 바람까지 폈던 놈이 붙었으니..

참고로 A란놈은 저도 동창이었는데
키도 평범하고, 체형도 평범하고, 얼굴도 평범했는데...
한 6-7년 아는동안 여자친구 있는것도 못 봄.
모나크모나크
20/09/08 22:14
수정 아이콘
단순히 운이 없었다기에는 너무 슬픈 이야기네요..
qpskqwoksaqkpsq
20/09/08 10:42
수정 아이콘
행시빼곤 실력으로 운을 커버하는게 가능
행시를 저주받은 운으로 뚫으려면 실력이 정말 어마어마해야 된다고 봅니다
20/09/08 10:42
수정 아이콘
일정 실력을 쌓고 그 다음부터는 그 실력을 쌓은 사람들끼리의 운빨 대결이죠
20/09/08 10:46
수정 아이콘
굉장이 운이 영향을 많이 미친 케이스 몇건을 두고 운 is everything이라고 단정짓는 건 다소 편향적인 것 같습니다.
반대로 온갖 가능한 운적인 요소가 불리하게 작용해도 본인 실력으로 딜찍누 하고 붙는 사람들이 있으니 운은 무관하고 오직 실력만이 결정적이다라고 이야기하는 것도 쉽지 않으니까요. 개인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체감상으로는 운3 기7 정도로 봅니다.
공부하면서 느낀건 생각보다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수험준비 과정을 딜찍누하겠다는 느낌으로 공부하진 않더라고요.
약간 다른 이야기지만 찍은 문제 다 틀려도 합격 여부에에 상관없다는 마인드로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이시간
20/09/08 10:47
수정 아이콘
일단 실력이 있어야하고요 그 다음은 실력 있는 내에서 운이 따른 때에 붙습니다.
지금이시간
20/09/08 11:02
수정 아이콘
여기서 운은 응시자에게 유리한 문제가 나오는 걸 말합니다
제 생각에 9급은 실력만 갖추면 1~2년, 7급은 실력 갖추고 이후 2~3년, 5급은 실력 갖추고 대부분 2~3년 이상(이 시험은 2차 논술이라 운빨이 더 크게 작용해서...)
회색사과
20/09/08 10:52
수정 아이콘
떨어지는 건 운이고 붙는 건 실력이요!!

저렇게 쓰면 건방지게 보일 수도 있는데...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고 미련없이 준비했는데 떨어지는 건 운에 의해서고
운에 의한 편차를 씹어먹는 건 실력이라는 의미에서 적어 봤습니다.
어촌대게
20/09/08 11:28
수정 아이콘
운 있습니다.
눈시BB
20/09/08 12:29
수정 아이콘
운이야 있을건데 합격권 근처 될 실력은 있어야 운이 작용하겠죠
나이스후니
20/09/08 12:49
수정 아이콘
운을 무시 못합니다, 공무원시험같은건 그나마 죽어라도 다 외워버린다고 하면 운을 배제할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죠. 100점의 시험을 위해 모든걸 다 기억하고 공부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공무원시험을 보면 최선을 다한 사람들이 아슬아슬한 차이로 합불이 결정됩니다.
가끔 난이도가 확 높아질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모두 모르는 문제가 나오기도 합니다. 이럴때 다들 찍게 되는데, 이건 운빨이죠.
하지만 우리가 통제할수 있는게 운이 아니기에 적어도 합격커트라인까지는 최선을 다하고, 그후에는 말그대로 운에 맞기는거죠
이혜리
20/09/08 13:47
수정 아이콘
떨어지는 건 운, 붙는 건 실력입니다.

살면서 딱 한 번 답안 밀려쓰기를 해 봤는데, 그게 수능시험 당일이었습니다.
2004년 언어영역 김치공장 지문은 아마죽을 때까지 잊지 못할 것 같네요.

똑같은 지문에서 두 번 밀려썼고, 결국 평소 언어 105점 내외 나오고, 100점 밑으로는 떨어져 본 적이 없었는데
두 번 밀려쓴 덕분에 지문 두개를 한 줄로 밀었고 84 점 받았었어요. 언어 100점만 받았어도 대한민국 모든 학과 골라갔을텐데..
20/09/09 14:59
수정 아이콘
더 잘풀수있는 문제가 나오는게 시험운인데, 시험운이라는걸 부정할수가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559 [질문] 29살 고혈압질문입니다 [7] 정발산기슭곰발냄새5803 20/09/18 5803
148558 [질문] 미국에서 애플케어플러스 가입해도 괜찮을까요? [2] 삭제됨5528 20/09/18 5528
148557 [질문] 다음 목적으로 자바를 공부하면 쓸모가 있을까요? [2] 댕댕댕이5780 20/09/18 5780
148556 [질문] 신경과와 정신과가 처방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나요? [4] Pygmalion5702 20/09/18 5702
148555 [질문] 인터넷으로 해외사이트서 옷 구매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이 옷 지금 구할수 있을까요? [4] 요한5681 20/09/18 5681
148554 [질문] 장애인주차구역 질문드립니다 [2] 熙煜㷂樂6262 20/09/18 6262
148553 [질문] 플스5 경쟁 심할까요? [31] LeNTE8171 20/09/18 8171
148552 [질문] 갤탭 s7 질문입니다. [4] phoe菲6140 20/09/18 6140
148551 [질문] 브가만 3080으로 바꿀수 있는 사양인가요? [39] 포프의대모험10962 20/09/18 10962
148550 [질문] 짧은머리 빠짐 [6] 게롤트8889 20/09/17 8889
148549 [질문] 전기산업기사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콩사탕7563 20/09/17 7563
148548 [질문] [LOL] 키 질문입니다. [4] 자루스6815 20/09/17 6815
148547 [질문] 저희집 식물들 이름 좀 부탁드립니다 [2] purplesoul5693 20/09/17 5693
148546 [질문] [던파]오늘 보상으로 나온템 엠블렘은 어떻게받아야하나요? [1] 쥬리5583 20/09/17 5583
148545 [질문] 아이패드 엑셀365 쓰시는 분 있나요? 하카세7773 20/09/17 7773
148544 [질문] 여러분은 게이밍 장비 어떻게 하시나요? [26] 아몬6975 20/09/17 6975
148543 [질문] 플스5 질문입니다 [8] 콜라제로8428 20/09/17 8428
148542 [질문] 중고아이패드 어느정도 사야 할까요 [11] StondColdSaidSo6999 20/09/17 6999
148541 [질문] [LOL]초보질문 [20] 아린어린이7117 20/09/17 7117
148540 [질문] 모니터 관련 질문입니다. [1] 카서스7006 20/09/17 7006
148539 [질문] 슬슬 롤 랭크를 돌려보려고 하는데 질문있습니다 [7] 인생은서른부터5999 20/09/17 5999
148538 [질문] 녹내장 진단을 받았는데 궁금한 사항들이 있습니다 [6] 달콤한인생5676 20/09/17 5676
148537 [질문] PS5도SSD 교체가능할까요? [8] 이바라쿠8213 20/09/17 82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