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01 13:04:56
Name jeudi
Subject [질문] 지진대비 안전모 구입하려는데요.
안녕하세요?
저는 고층에 살고 있어서 지진이나 화재 발생시 어떻게 대처해야할 것인가에 대해 가끔 고민을 합니다. 우선 지진대비용 헬멧을 하나 사려고 하는데요. 링크의 제품 정도면 도움이 될까요? 작은 돈으로 나쁘지 않은 효과를 보겠다는 생각입니다만.

링크:  BFJ414925안전헬멧 통풍형
          국제 안전모 머리보호 산업안전용품
          (15,000원대)

https://link.coupang.com/re/CSHARESDP?lptag=CFM21089982&pageKey=1255681825&itemId=2256071959&vendorItemId=70589961233

이 방면에 지식있으신 분들께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건물은 준공된지 얼마 안된 오피스텔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01 15:33
수정 아이콘
한국에 있는 오피스텔이시면 지진보다는 화재대비나 탈출대비를 하시는게 먼저일것 같습니다. 소화기, 화재용 방독면, 완강기는 갖추어져있으신가요? +_+ 더불어 생존을 위한 서바이벌 가방하나 준비하시면 완벽하겠네요.
20/06/01 18:08
수정 아이콘
서바이벌 가방은 좀 오버인가 싶었거든요. 거기까지는 운명에 맡긴다는 생각이었는데. 흐음... 화재와 탈출대비는 말씀하신 부분 체크하며 준비해두어야겠어요. 실은 제가 해외에 있을 때 건물 안에서 지진을 겪은적이 있고 한국도 아주 무방비로 있을 건 아니라고 생각이 되었어요. 조언 감사합니다!
20/06/01 18:45
수정 아이콘
솔까말 우리나라 오피스텔 환경에서 제가 봤을때에는 화재가 제일 문제기 때문에
소화기, 화재용 방독면, 비상용 손전등(정전이 일어날거고, 연기가 자욱한 상황을 빠져나가야 하므로), 목장갑(화재시 뜨거운것도 잡을 수 있게)이 최우선 입니다. 완강기는 11층 이상은 활용할 수 없으니 11층이상이시면 그냥 운에 맞기셔야하구요
서바이벌 가방이나 헬멧은 덤이죠. 크크크
20/06/01 19:38
수정 아이콘
소화기, 방독면, 안전모까지는 생각했는데 손전등은 생각못했군요. 목장갑도 있으면 가끔 일상에서도 유용하고 괜찮겠어요. 그나저나 17층이라는 ㅜㅜ
김첼시
20/06/01 16: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2번의 대지진과 수백 수천 수억...번의 여진을 겪어본 경험으로 봤을때 지진대비 헬멧은 크게 효용성이 없을거 같습니다.
일단 지진이라는게 꽝하는 굉음이나고 그 뒤에 우르르르 지진파가 몰려오는데 지진이라는걸 인식하자마자 최우선은 책상밑같은 가장가까운
안전지대로 몸을 피하는것입니다. 그 뒤 지진이 멈추면 다음 여진이 오기전까지 주위에 무너지거나 떨어질 시설이 없는 가장 가까운 공터등의 안전지역을 찾아 이동하고 통신수단을 확보하는게 베스트인데 이 과정에서 헬멧은 그리 큰 역할을 하기힘들거같습니다.
재난대비 가방을 하나 구성하여 쉽게 찾을수있는곳에 두는것이 제일 좋을거 같습니다.
20/06/01 18:15
수정 아이콘
지진이 많은 곳(-_-)에 계셔 보셨군요. 고생 많으셨겠어요.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역시 재난대비가방인가봐요. 잘 참고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492 [질문] 사무/겜용 키보드 추천좀요 [7] 비둘기야 먹쟛5060 20/06/02 5060
145491 [질문] 전선 구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3] 마담리프3947 20/06/02 3947
145490 [질문] 무소음 키보드(기계식) 추천부탁드립니다. [9] 파란무테5812 20/06/02 5812
145489 [질문] 부모님과 채무 관계(빚 대신 갚아준 후 돌려받기)에 있을 경우 증여세를 내야 하나요? [6] Christmas5596 20/06/02 5596
145488 [질문] 표준점수와 통계관련 정말 간단한 질문 드립니다. [5] 파어4970 20/06/02 4970
145487 [질문] 컴잘알 분들 모십니다. (파워서플라이) [6] UMC4452 20/06/02 4452
145486 [삭제예정] 회사에서 보물찾기 중인데 힌트를 모르겠습니다 [11] 삭제됨5032 20/06/02 5032
145485 [질문] 갤럭시s20+를 사용예정인더 aux는 사용불가인가요 [14] Demi6563 20/06/02 6563
145484 [질문] 한분야에 정통한 사람을 수식하는 단어? [50] Part.36313 20/06/02 6313
145483 [질문] 이틀 근무하고 퇴사하는 직원 처리 질문 드립니다. [8] BISANG6734 20/06/02 6734
145482 [질문]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근처 온라인강의 가능한 곳 [1] 타마노코시4123 20/06/02 4123
145481 [질문] 아침에 일어나면 목이 막히네요 [7] 비둘기야 먹쟛4053 20/06/02 4053
145480 [질문] 이미지를 편하게 합치는 법? [6] 손금불산입4699 20/06/02 4699
145479 [질문] 다이어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23] 모챠렐라6750 20/06/02 6750
145478 [질문] (노총각) 가을에 신혼여행을 가야 할까요... [33] s-toss7109 20/06/02 7109
145477 [질문] 일체형PC 구매 질문입니다 [2] 온푸6483 20/06/02 6483
145476 [질문] 중앙냉난방식 에어컨이 한쪽 방만 안나오는 현상 [10] 포프의대모험6472 20/06/01 6472
145475 [질문] 왭 서핑을 하는데 뜨는 광고 질문입니다 [10] 틀림과 다름4079 20/06/01 4079
145474 [질문] 초시생 공뭔시험12일 남았는데 복습 vs 모의시험 어디 더 비중을 둬야 할까요? [8] 삭제됨6206 20/06/01 6206
145473 [질문] 이번 아이즈원 엘범 예약 질문 [9] 할부지상어5635 20/06/01 5635
145472 [질문] 테슬라 모델X 퍼포먼스의 브레이크 모델은? [2] 산적왕루피4365 20/06/01 4365
145471 [질문] 개인이 식품독성, 변질 유뮤 검사할 수 있는 기관이 있을까요? [5] 삭제됨4939 20/06/01 4939
145470 [삭제예정] 직장인 건강보험 처리 질문드립니다. [3] 4788 20/06/01 47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