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30 07:35:44
Name 등짝을보자
Subject [질문] 이명치료 어떤식으로 해야할런지,,,
현재 상황은 이렇습니다

5/13일경 신변 관련한 심한 스트레스(추정)가 생겨 귀에 이명이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하루 이틀 빨랐을 수도 있는데, 우선 제가 느낀날은 저 즈음입니다 그 당시 수면부족,긴장,스트레스 등으로
일주일 내내 쉬어도 변화가 없었습니다

5/19일경(제가 너무 늦었나 봅니다ㅠ) 이비인후과 설명 후, 청력이 먹먹하냐, 어지럽냐 혹은 떨어진 느낌이냐에

대해서 그러한 변화는 없고 밤에 잘때만 왼쪽에서는 낮은 저주파, 오른쪽에서는 고주파가 들린다고 이야기했습니다

5일동안 혈액순환제 2알, 염증치료제, 그리고 저녁 불면증에 대한 신경안정제를 처방해줬고,화요일 밤부터 복용하였으나 차도가 없이 심해진느낌이였습니다, 이에 한의원을 가서 침/추나치료를 받았으나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5/25일경 주변 다른 유명병원에 가보니, 청력/귀압 테스트 이후 정상판정을 받아 아무래도 스트레스성일수 있다며
엉덩이주사(스테로이드) 와 혈액순환제2알, 아침/저녁 안정제(자나팜 0.25) 로 변경하여 먹고 있습니다(한의원 침/추나 2회 더)
현재는 4일약을 먹고 5/29일경 다시 내원하여 동일한 처방을 받은 상태입니다(6일치 약)

현재 제 상황은 초기 발생보다는 19~24일경이 심했던것 같고, 5/25일경부터 병원진료를 통해 차차 줄어드는것은 느끼고 있습니다
좌측의 저주파는 이명 볼륨자체가 줄어든 느낌이고, 우측 고주파는 볼륨은 줄었으나 피치(톤)이 올라간 느낌입니다

6/8일경 유명 대학병원은 예약을 해뒀는데,,,, 혹시 이명치료를 위해 더 진행해야 하는것이 있을까요?
자나팜정같은 신경안정제도 많이 먹어도 될런지 걱정이 생깁니다
혹시 치료경험이있으신분들은 언제즈음에나 상태가 호전됐는지요 ㅠ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0/05/30 08:52
수정 아이콘
제가 방문했던 병원은, 완치가 불가능한 병이라 하더라고요.
만약 이 병원이 잘못됐고, 완치가 가능한 병이라면 저도 가서 무조건 고치고 싶네요.

15년 전에 발병했고, 지금은 서른 중반인데 이제는 이명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됐다곤 하지만 불편한 점이 한둘이 아니거든요.
저는 양쪽 모두 이명이고, 그래서 독서실 같은 조용한 곳에서 오히려 집중이 더 불가능합니다. 잠을 잘 때도 초침이 움직일 때마다 소리 나는 시계를 켜놓고 잔다든지, 아니면 빗소리가 나는 어플을 켜놓고 자고요.
등짝을보자
20/05/30 09:01
수정 아이콘
아이고... 발병시기가 15년이 넘었는데도 적응조차 어려운건가요 ㅠ
20/05/30 09:19
수정 아이콘
전 어릴때 열감기 심하게 걸리고나서 시작하고, 평생있었는데 그냥 익숙해지는거에요

백색소음이나 집중하면 없어지고 조용하고 피곤할때 심해지고 그래요..

그래서 공부도 항상 독서실안가고 백색소음있는곳에서만 평생했네요 크크

참고로 청력검사하면 극양호입니다
보로미어
20/05/30 10:03
수정 아이콘
청력검사해서 양호하시다니 다행이네요. 저는 귀 검사 받아보면 특정음역대 소리가 잘 안 들린다고 합니다.
일상생활할때는 어떤 소리는 디게 안 들리고 차 안에서 운전할때 뒤에서 이야기하는 소리는 잘 안 들리구요.
여간 답답하지 않은데 어쩔 수없죠. 절대 이어폰 안 끼고 앞으로도 귀에 안 좋은건 안 하려구요 ㅠㅠ
안프로
20/05/30 11:03
수정 아이콘
저랑 너무 비슷해서 묻어서 해결책좀 찾으로 왔는데 역시나 답이 없군요ㅜㅜ
저는 한 4년정도 됐는데 귀가 멍멍한 증상까지 있어서 가끔 잘 들리지도 않아 청력검사 하면 다 이상없다고 나옵니다
염증치료나 좀 해주고 끝이네요 고주파로 나오는 명백한 이명은 가끔 몇초씩 나다가 바로 멈추는데
은은하게 모니터에서 나는 미세음?미세진동같은게 24시간 머리주변을 감싸안고 있는 느낌입니다
한번은 계속 의식하고 느끼고 있으니까 평생 이러면 정말 자살이 답이겠다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그뒤론 최대한 의식하지 않으려고 하고 그냥 그런대로 살고 있습니다
이제 제 인생에 명상같은건 다시 없습니다
등짝을보자
20/05/30 13:30
수정 아이콘
대학병원은 혹시 가보셨나요.??
GRANDFATHER__
20/05/30 12:42
수정 아이콘
저도 군대있을때 교통근무 + 선임하고 갈등으로 생겨서 여태 남아있는데 잘 낫질 않습니다. 솔직히 그냥 익숙해 지는거라고 생각합니다...컨디션 좀 안좋다 싶으면 더 심해지긴 하더군요 ㅠㅠ
등짝을보자
20/05/30 13:29
수정 아이콘
ㅜㅠ 후 다들 적응이 답이시군요..
매일매일
20/05/30 16:56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y-lfoJvEtI0
설명하시는분이 이비인후과 전문의 분이신데 참고하세요~
하우두유두
20/05/30 21:35
수정 아이콘
와이프도 출산후 이명생겨서 대학병원 이명치료받고 한의원가서 한약먹고했는데 생각보다 잘 안 낫더라구요. 요즘은 그래도 신경안쓰면 절 안들린다고 합니다. 한 6개월 1년 고생했네요
20/05/31 01:28
수정 아이콘
저도 매일매일님이 올린 유튜브 보고 치료는 포기했습니다.

굉장히 조용한 곳에서 잘 들립니다.

근데 이명은 얼마나 신경쓰느냐 마느냐에 따라 다른 거 같아요.
지금도 이 글을 보기 전까진 전혀 의식 못했는데 이걸 보는 순간
'아 나도 이명있는데..' 하면서 들리기 시작합니다 ㅡㅡ;

제일 좋은 건 더 심해지지않도록 관리(너무 큰 이어폰 볼륨 x)해주고
의식하지 않도록 백색소음 정도를 틀어주면서 잠 자고 이러면 별로 신경 안쓰게 됩니다.

스트레스는 좀 영향이 클 수 있을 거 같아요(저도 회사 일하면서 스트레스 많이 받을 때 생긴 거 같네요).
최대한 스트레스를 없앨 수 있도록 노력하시고 이명에 대해 너무 신경 안쓰시는게 역으로 효과가 있을 거예요.
20/05/31 01:56
수정 아이콘
음..
전 어릴때부터 들렸고 그냥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고 살았습니다
30살때즈음 내가 이상하다는 걸 깨닳았습니다
조금 억울하긴 했죠

집중하면 안들리고 조용한 상황이 되면 꾀 크게 들리는데 신경안쓰면 또 안들립니다
조금은 긍정적인 마인드와 익숙함 때문에 그런지 전 큰 스트레스도 큰 불편함도 없습니다
피곤하면 더 크게 들려서 그런지 잘 때 크게 들리면 오늘은 피곤해서 잘 자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 더 잘자기도 합니다...
등짝을보자
20/05/31 06:03
수정 아이콘
윗분들 모두 답변 감사합니다.
아직 저는 자꾸 잠을 깨네요... ㅠ
아무래도 스트레스가 은연중에 있나봅니다.
답변 모두 감사드립니다. 최대한 신경을 안쓰는 쪽으로 가야겠네요 ㅠ 혹시 대학병원가보신 분들은 없나요? 뾰족한 답변은 따로 없겠죠?
타이팅
20/06/01 14:04
수정 아이콘
중학생때 이명이 좀 심해서 강남 성모병원 다녔었습니다
이명 쪽으로 잘 봐주신다는 여자 교수님이었는데..
뭐 특별한 건 없었고 정신적인 문젠지, 신체적인 문젠지 확인하는 것들 했고요..
청력검사나 뭐 그런 것들 정기적으로 (2주 1회인지 월 1회인지 가물가물한데 뜨문뜨문) 체크하고
주시는 약 꾸준히 먹었는데 (진정시키는 종류 약이랑 혈액순환 약이었던 것 같아요) 해결이 안돼서
이명 소리를 상쇄시켜주는 보청기처럼 생긴 소음 보조기? 같은 것도 샀었는데
귀찮아서 잘 안했던 기억이 나네요

증세 자체는 미미하게 완화된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데
20년 가까이 지나서 사실 저도 그냥 적응해서 잘 삽니다
아 그리고 청력에는 문제가 없었고요 지금도 뭐 듣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573 [질문] 경찰 직제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s-toss3435 20/06/05 3435
145572 [질문] 손가락힘이 강화가 될까요? [10] Part.36564 20/06/05 6564
145571 [질문] 여름에 하기 좋은 파마스타일 있나요? [7] 연애잘합니다5580 20/06/05 5580
145570 [질문] 길냥이 피부병 질문입니다 (사진첨부) [5] Tzuyu4440 20/06/05 4440
145569 [질문] (헤드폰) 헤드폰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2] 불대가리4645 20/06/05 4645
145568 [질문] 종합비타민제 효과 플라시보 일까요? [10] AminG6283 20/06/05 6283
145567 [삭제예정] . [2] 삭제됨4493 20/06/05 4493
145566 [삭제예정] 동생 관련해서 경찰서로부터 전화를 받았는데 이게 진짜인지 모르겠습니다. [11] 삭제됨6795 20/06/04 6795
145565 [질문] 중국은 한여름에도 찬물을 안마신다고 하던데, 그럼 살얼음 동동띄운 냉면 같은 음식도 없는건가요? [35] Gunners7544 20/06/04 7544
145564 [질문] 소불고기용 고기 가성비 좋은게 뭐가 있을까요? [7] lefteye5650 20/06/04 5650
145563 [질문] 소니 mp3 플레이어에 (NW모델) 대해서 좀 아시는 분? 데릴로렌츠3974 20/06/04 3974
145562 [질문] 열혈사제 같이 러브라인 없는 드라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CastorPollux6248 20/06/04 6248
145561 [질문] 에어프라이어기로 먹을 고기 추천해주세요~ [8] 맹물8505 20/06/04 8505
145560 [삭제예정] 코 꿰여서 결혼한 남자들의 예가 주변에 많나요? [15] 삭제됨9165 20/06/04 9165
145559 [질문] 게임 추천부탁드려요. [8] 교자만두5363 20/06/04 5363
145558 [질문] 신촌 삼겹살집 질문입니다. [9] 찬양자6057 20/06/04 6057
145557 [질문] 블루투스 슬립모드? 안 들어가게 하는 법 아시는 분? s-toss4910 20/06/04 4910
145556 [질문] 사무용 편한 의자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8] 놀고먹고자고5244 20/06/04 5244
145555 [질문] 엑셀 질문드립니다. [22] whoknows4524 20/06/04 4524
145554 [질문] 코로나 몸조심하는 정도가 다들 어케되실런지 [60] 맥주귀신7642 20/06/04 7642
145553 [질문] 닌텐도 스위치 대란 얼마나 갈까요? [10] 러블세가족7312 20/06/04 7312
145552 [질문] 헬스 왕초보 유튜브 부탁드립니다. [7] 클레멘티아6510 20/06/04 6510
145551 [삭제예정] 전산실 혹은 IT업무 종사하시는 능력자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6] 삭제됨5891 20/06/04 58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