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01 21:22:20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사망후 재산분할시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오니
20/04/01 21:35
수정 아이콘
흔하죠.
소위 콩가루 집안...이라고 불릴 정도만 아니면야 큰 일 없어요.
20/04/01 21:40
수정 아이콘
큰일 없겠죠 답변 감사합니다.
20/04/01 21:36
수정 아이콘
재산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다를거 같아요.
상속포기신고용으로 쓰는게 제일 문제겠죠.
20/04/01 21:41
수정 아이콘
재산이 큰건 아니고 다만 다른용도로 사용될까만 저 혼자 고민중이네요. 답변 감사드려요
20/04/01 21:43
수정 아이콘
용도를 적는건 어차피 인감도장이 가게되면 수정해서 도장 찍으면 그만이라.
어차피 상속포기용으로 쓸거라면 상속포기서에 도장찍어서 용도를 적어서 인감증명서만 보내시는게 안전하죠.
20/04/01 21:52
수정 아이콘
용도위에 테이핑하거나 도장을 찍어놓으면 괜찮지 않을까요?
상속포기용이 아니라 땅이나 재산을 분할할때 필요하다고 하네요 저도 서류를 받고 찍어서 보내드리고 싶은데 당사자가 아니다 보니 조심스러운 면도 있습니다.
20/04/01 22:17
수정 아이콘
정확히 어떻게 하실 생각인지 확인해보세요.
재산분할협의서를 쓰더라도 내용을 확인하고, 인감도장은 직접 찍고 주지 않는게 안전합니다.
위임장이 필요하다면 그것도 여러장을 주더라도 찍어서 주시는게 안전하죠.
칠리콩까르네
20/04/01 21:38
수정 아이콘
인감증명서 사용용도를 특정하여 무분별한 사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20/04/01 21:56
수정 아이콘
형제 자매들의 인감증명이 잇어야 고인의 재산을 정리할수 있을겁니다.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과정입니다.
20/04/01 22:0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려요 용도를 알려달라고 하고 적어서 보내도 상관없게죠?
20/04/01 23:36
수정 아이콘
그걸 부모님들끼리 상의하실일이지 조카님이 나서시면 자칫 감정적으로 가기 쉬워져요. 암튼 원만하게 해결하시길 바래요
20/04/01 22:43
수정 아이콘
외삼촌이 필요한 서류를 다 알고 계시다면 상관없을텐데,
모르실 수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은 모르겠죠.
그 경우 인감이 없으면 과정이 굉장히 복잡해지죠..

기나님께서 미리 알아보신 다음에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서 확인을 받고, 그 후에 보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karlstyner
20/04/02 01:22
수정 아이콘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를 맡긴다는 것은 법률적으로 그 사람이 나를 대신해서 모든 행위를 대신 할 수 있게 허락한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상속재산분할협의서를 쓰고 상속부동산에 대해서 등기를 하고 금융기관에서 상속예금을 찾고 이런 행위를 할 때 공동상속인 전원의 인감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감이 필요한건 맞는데 귀찮으시더라도 되도록이면 직접 본인이 직접 찍고 맡기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변호사로서 가족이라고 인감도장 맡겼다가 사고가 생기는 경우를 워낙 많이 봐서요.
오늘우리는
20/04/02 08:40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만 얘기하세요.
"당장 인감 쓸일 있어서 보내드리기 어려우니 서류 양식만 보내주시면 날인하고 인감증명서랑 같이 보내드릴게요~~"

더 할말도, 덧붙일 말도 없이 이게 가장 편하실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780 [질문] tft 롤토체스 초반 운용 질문드립니다 [8] 실천5138 20/04/04 5138
143778 [질문] 불매운동에서 "대체품이 없다"는 기준이 뭘까요? [35] 박수갈채6050 20/04/04 6050
143777 [질문] autohotkey 관련 [1] 삭제됨3723 20/04/04 3723
143776 [질문] 운동화, 자동차 보험 추천 하나씩 해주세요~ [10] 타키쿤4739 20/04/04 4739
143775 [질문] 알레르기성 결막염... [2] Cavok3743 20/04/04 3743
143774 [질문] 두피가 너무 가렵습니다.. [21] Cavok5213 20/04/04 5213
143773 [질문] 이런 소재의 영화 추천해 주세요!! [9] 짱짱걸제시카4503 20/04/04 4503
143772 [질문] 울샴푸가 아닌 중성세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YX5466 20/04/04 5466
143771 [질문] 롤 계급 모양 질문입니다. [3] 지효3424 20/04/04 3424
143770 [질문] 인문학/ 사회학 좋은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똥꾼5103 20/04/04 5103
143769 [질문] 지금 불판창 [1] 타카이3969 20/04/04 3969
143768 [질문] 4k 화질 체감 많이 되는 편입니까? [13] 렌야14595 20/04/04 14595
143767 [질문] 동네에 인두질 할 수 있을만한 곳이 따로 있을까요? [3] 내년에반드시결혼4205 20/04/04 4205
143766 [질문] 소나타 vs K5 선택 질문입니다. [13] 부기영화5319 20/04/04 5319
143765 [질문] 여수 yncc 부근 숙소,교통 질문 [5] 김리프4019 20/04/04 4019
143764 [질문] 지금 스연게에... 글이 올라올 수 있나요?! [10] RFB_KSG4528 20/04/04 4528
143762 [질문] 서피스프로 용도 질문입니다. [6] 블루레인코트6314 20/04/04 6314
143761 [질문] 게이밍 노트북을 샀는데 FPS가 너무 낮은거같습니다 [9] 보름달이뜨는밤에5420 20/04/04 5420
143760 [질문] [주식]미국 주식 하실때 환전 어떻게 하세요? [1] malliver4681 20/04/04 4681
143759 [질문] 노트북을 오프라인에서 사야합니다 [3] nekorean4578 20/04/04 4578
143758 [삭제예정] 카페알바번호 어떻에 따는게좋을지요 [11] 삭제됨5997 20/04/04 5997
143757 [질문] CAD 전용 컴터의 견적에 관해 [6] I.O.I3777 20/04/04 3777
143756 [질문] 순공시간, 어디까지 찍어보셨나요. [22] cienbuss5579 20/04/03 55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