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30 20:40:25
Name 고요
Subject [질문] 다들 운전시 사고 경험이 어떻게 되시나요? (수정됨)
오늘 일차선에서 유턴 받으려고 속도 줄이며 가는데 3차선에서 갑자기 수직에 가깝게 나타난 노인 운전자 분이 제 차를 박으셨습니다. 2차선은 꽉 찼고 정차 중인 상태라 당연히 볼 수 없는 상태였는데 5년차 이후에는 일년에 한 번 정도는 제 차 뒤에서 들이받고, 이번에는 설날에 뒤에서 이중추돌로 박은 이후 두달만에 또 사고가 났습니다.

설날에 난 사고를 아직 합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 사고가 발생하여 보상급 병합 전에 이전 사고는 합의하시라는 보험 직원의 조언과 주위 조언으로 합의는 봤는데 정작 오늘 이전 사고 후유증으로 병원을 가던 길에 사고가 났기에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제가 낸 접촉 사고도 한 번 있지만 십년 간 한 번, 그것도 브레이크를 밟았지만 밀려서 난 사고라 정말 경미한 수준이었는데 해마다 사고를 당하다보니 다들 얼마나 사고를 경험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요즘 사고로 인해 몸이 불편해진 터라 너무 힘들어서 짜증만 나는데 다들 사고 없이 조심히 잘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감은 지키자
20/03/30 20:49
수정 아이콘
저는 뒤에서 두 번 받혔습니다. 한 번은 조금 크게 받혔지만 다행히 몸에는 이상이 없어서 차 수리와 약간의 치료 보상금? 받고 끝냈네요.
운이 좋아서 과실이 잡히는 정도의 사고는 낸 적이 없는데, 아찔했던 적은 몇 번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조심하려 노력합니다.
20/03/30 21:13
수정 아이콘
아찔한 경험들 생각하면 참 도로 위에선 항상 조심하자 되새기곤 합니다.
저는 이미 6월에 새 차가 나오기로 되어있는데 자꾸 사고가 나니 짜증만 나고 있네요.
도로 위에서 항상 안전하시길 바랍니다.
20/03/30 20:55
수정 아이콘
3년 7만 아직은 없네요. 아찔했던 적은 몇 번 있습니다. 그래도 늘 불안해요. 오늘도 안전 운전해야지
20/03/30 21:13
수정 아이콘
3년에 7만이면 꽤 많이 타시는 것 같네요. 제가 10년에 14만인데 적지 않게 탄다고 생각하는데..
전 5년차부터 해마다 뒤에서 누가 들이받습니다. 언제나 안전운전 하시길..
This-Plus
20/03/30 21:07
수정 아이콘
저는 한 번 신호대기 중 뒤에서 엄청 쎄게 박더라구요.
처음이라 너무 놀라서 뭐지뭐지 전쟁났나 하고 나왔더니
뒤에 벤츠가 제 차를 박았음.

어? 근데 제 앞차에서 사람이 나오더니 저한테 뭐라고 따짐.
알고보니 저도 브레이크를 밟고 있었지만 밀려서 앞차를 박았던 거임.

저도 이제 정신이 생기고 뒤차에 가서 따지려는데
어? 알고보니 제 뒤 벤츠도 박혀서 저를 박은 거더군요.

처음 벤츠를 박은 sm3에서 20대 초반 젊은 청년이 내리더니 다리를 절며 연신 사과...

제 앞차에는 사람도 4명에 임산부도 있다고 난리가 남...
진짜 그 청년 인생이 불쌍해서 제 대인접수는 안했네요.

알고보니 그 잠실운동장 옆 직진 도로가 뻥 뚫렸다고 풀악셀 치다가 사고 많이 나는 장소라고...

8년 운전하면서 그거 말고는 사고난 적 없네요.
20/03/30 21:15
수정 아이콘
서울에서는 별 일 없이 있어도 들이받거나 사고 나는 경험 종종했네요.
저도 다중추돌을 이번 설에 처음 경험했는데 사고 처리도 오래 걸리고 충격도 다른 사고보다 커서 아직까지 괴롭습니다.
앞으로도 안전운전 잘하시길 바랍니다.
회전목마
20/03/30 21:08
수정 아이콘
운전면허 따고 초반에 1년에 5번인가 6번인가... ㅠㅠ
좌회전을 크게 돌아서 옆에 같이 돌던 통근버스 옆 긁은거 시작으로
꽉막힌 고속도로에서 가다서다하다 졸음운전으로 앞에 골프 박았고(수리비가 제일 많이 나왔네요)
고속도로 주행중에 차간거리 미확보로 샌드위치 사고(중간에 꼈음)
야구장에 주차하다 옆 차 휀다 해먹고 IC빠져나가다 뒤에서 박고
동네에 주차하다가 지나가는 택시 긁고(이건 반반 정도 부담했네요)

혼자 받힌거나 혼자 생쇼한건 뺀건데 많군요...
한 1년이러니까 그 다음부터는 무사고 3년째입니다
1톤트럭이어서 감 찾는데 오래 걸렸습니다 ㅠㅠ
20/03/30 21:16
수정 아이콘
앞으로도 무사고 잘 이어가시길.. 트럭이라고 하니 이해합니다.
20/03/30 21: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누적주행거리가 아주 정확하지는 않은데, 대략 80만km 100개국 무사고입니다. 보통 얼마쯤 나는지는 보험 청구건수를 보시면 대강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kpub.knia.or.kr/etcb/InCompSaleDicCar.knia

보험사 합산 연간 약 700만건 정도인데(경찰 접수 기준으론 연간 약 20만건), 보험사 청구건수의 경우 사고발생시 당사자 쌍방이 모두 접수하는 경우가 많고, 사고라기 보다는 어디서 혼자 긁거나 돌빵/테러 등을 당한걸 자차로 청구하는 것도 많다보니, 실제 사고 발생건수보다 청구건수가 거의 5-10배쯤 많습니다. 다만 여기서 빠져있는 곳(공제조합)도 있고, 보험접수 자체를 안 하는 경미사고도 있다보니, 700만건을 5-10으로 나눈 것보다는 실제 사고 발생건수가 많습니다. '사고'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연간 120만건(인적피해가 있는 사고)에서 300만건(없는 사고) 사이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약 2,400만대이니, 평균적으로는 자동차 1대당 10년에 한번꼴입니다. 차는 한 사람이 여러대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한 차를 여러명이 타기도 하니까 꼭 운전자수 기준은 아닙니다만, 대강은 비슷합니다.
20/03/30 21:20
수정 아이콘
근 5년 넘게 매해 사고를 겪다보니 이게 좀 과하다 싶어서 사고비율이 어떻게 되나 궁금했는데 이런 궁금증을 어떻게 해결하고 파악할 수 있는지도 배웠네요.
오늘 사건은 노인 분께서 본인이 3차선에서 차선 1개를 건너뛰고 한 번에 급하게 들어오려다가 난 사고인데 본인이 2차선에서 왔다고 우기길래 경찰을 부를 뻔한 사고였습니다. 아마 찍어둔 동영상이 없었으면 경찰 접수까지 갔겠네요. 이 글을 적는 동안 등 쿠션에도 불구하고 허리와 어깨가 불편하네요.

앞으로도 쭉 무사고 운전하시길 기원합니다. 상세한 답변에 제가 갖고 있던 궁금증이 해결되었네요.
20060828
20/03/30 21:46
수정 아이콘
운전 10년 넘게 하면서 뒷범퍼 세 번 박혔는데 신기하게 그게 딱 두 달 동안 있던 일입니다. 뭔가 일어날 때가 있나봐요.
몽키매직
20/03/30 23:43
수정 아이콘
면허 딴지 20년 조금 안 된 것 같고요... 반대쪽 차선에서 음주 운전자가 중앙선 넘어와 정면 충돌하고 차 폐차된 적 있습니다. 죽을 수도 있었던 사고라 기억에 남고... 그거 외에는 제가 정차 중인 차를 뒤에서 받은 빼박 제 잘못인 사고 1번... 2번 있었네요 대략 10년에 한 번 꼴
신촌로빈훗
20/03/31 04:16
수정 아이콘
전 소녀처럼 운전하는 편이라 주행 중에는 사고가 한 번도 없었어요. 운전은 30대에 면허를 따고 좀 지나서 운전을 시작했으니 10년쯤 됐겠네요.

모든 차를 다 끼워주고, 제가 낄 때는 애매하면 그냥 직진해서 한참 돌아서 가는 편인데다 급정거를 싫어해서 서행하고, 고속주행 시에는 차량 흐름에 누가 될 수 있는 구간에서만 기준 이상의 속도로 달리고 흐름에 지장이 없으면 다시 서행하는 편이에요.

근데... 확률 문제인 거라 운이 없으면 저도 서너 번 이상 접촉사고가 생겼을 거예요. 갑작스러운 돌발상황 때문에 깜짝 놀라는 경우는 누구나 겪는 일이라. 운 좋은 사람은 터프한 운전으로 여기저기 민폐를 끼치면서 다녀도 사고 한 번 안 나서 본인이 운전을 잘한다고 생각하면서 살겠죠.

사고가 몇 번 있었다면 최대한 방어운전을 하셨으면 좋겠네요. 본인에게도 타인에게도 도움이 되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777 [질문] autohotkey 관련 [1] 삭제됨3746 20/04/04 3746
143776 [질문] 운동화, 자동차 보험 추천 하나씩 해주세요~ [10] 타키쿤4776 20/04/04 4776
143775 [질문] 알레르기성 결막염... [2] Cavok3784 20/04/04 3784
143774 [질문] 두피가 너무 가렵습니다.. [21] Cavok5257 20/04/04 5257
143773 [질문] 이런 소재의 영화 추천해 주세요!! [9] 짱짱걸제시카4548 20/04/04 4548
143772 [질문] 울샴푸가 아닌 중성세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YX5522 20/04/04 5522
143771 [질문] 롤 계급 모양 질문입니다. [3] 지효3451 20/04/04 3451
143770 [질문] 인문학/ 사회학 좋은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똥꾼5157 20/04/04 5157
143769 [질문] 지금 불판창 [1] 타카이4026 20/04/04 4026
143768 [질문] 4k 화질 체감 많이 되는 편입니까? [13] 렌야14680 20/04/04 14680
143767 [질문] 동네에 인두질 할 수 있을만한 곳이 따로 있을까요? [3] 내년에반드시결혼4254 20/04/04 4254
143766 [질문] 소나타 vs K5 선택 질문입니다. [13] 부기영화5373 20/04/04 5373
143765 [질문] 여수 yncc 부근 숙소,교통 질문 [5] 김리프4055 20/04/04 4055
143764 [질문] 지금 스연게에... 글이 올라올 수 있나요?! [10] RFB_KSG4557 20/04/04 4557
143762 [질문] 서피스프로 용도 질문입니다. [6] 블루레인코트6359 20/04/04 6359
143761 [질문] 게이밍 노트북을 샀는데 FPS가 너무 낮은거같습니다 [9] 보름달이뜨는밤에5500 20/04/04 5500
143760 [질문] [주식]미국 주식 하실때 환전 어떻게 하세요? [1] malliver4728 20/04/04 4728
143759 [질문] 노트북을 오프라인에서 사야합니다 [3] nekorean4689 20/04/04 4689
143758 [삭제예정] 카페알바번호 어떻에 따는게좋을지요 [11] 삭제됨6051 20/04/04 6051
143757 [질문] CAD 전용 컴터의 견적에 관해 [6] I.O.I3885 20/04/04 3885
143756 [질문] 순공시간, 어디까지 찍어보셨나요. [22] cienbuss5614 20/04/03 5614
143755 [질문] 지급정지통장으로 입금 시 문의 [3] 너이리와봐5570 20/04/03 5570
143754 [질문] 상체를 이용하는 유산소 운동이 있나요? [6] 푸끆이8185 20/04/03 81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