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30 20:40:25
Name 고요
Subject [질문] 다들 운전시 사고 경험이 어떻게 되시나요? (수정됨)
오늘 일차선에서 유턴 받으려고 속도 줄이며 가는데 3차선에서 갑자기 수직에 가깝게 나타난 노인 운전자 분이 제 차를 박으셨습니다. 2차선은 꽉 찼고 정차 중인 상태라 당연히 볼 수 없는 상태였는데 5년차 이후에는 일년에 한 번 정도는 제 차 뒤에서 들이받고, 이번에는 설날에 뒤에서 이중추돌로 박은 이후 두달만에 또 사고가 났습니다.

설날에 난 사고를 아직 합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 사고가 발생하여 보상급 병합 전에 이전 사고는 합의하시라는 보험 직원의 조언과 주위 조언으로 합의는 봤는데 정작 오늘 이전 사고 후유증으로 병원을 가던 길에 사고가 났기에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제가 낸 접촉 사고도 한 번 있지만 십년 간 한 번, 그것도 브레이크를 밟았지만 밀려서 난 사고라 정말 경미한 수준이었는데 해마다 사고를 당하다보니 다들 얼마나 사고를 경험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요즘 사고로 인해 몸이 불편해진 터라 너무 힘들어서 짜증만 나는데 다들 사고 없이 조심히 잘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감은 지키자
20/03/30 20:49
수정 아이콘
저는 뒤에서 두 번 받혔습니다. 한 번은 조금 크게 받혔지만 다행히 몸에는 이상이 없어서 차 수리와 약간의 치료 보상금? 받고 끝냈네요.
운이 좋아서 과실이 잡히는 정도의 사고는 낸 적이 없는데, 아찔했던 적은 몇 번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조심하려 노력합니다.
20/03/30 21:13
수정 아이콘
아찔한 경험들 생각하면 참 도로 위에선 항상 조심하자 되새기곤 합니다.
저는 이미 6월에 새 차가 나오기로 되어있는데 자꾸 사고가 나니 짜증만 나고 있네요.
도로 위에서 항상 안전하시길 바랍니다.
20/03/30 20:55
수정 아이콘
3년 7만 아직은 없네요. 아찔했던 적은 몇 번 있습니다. 그래도 늘 불안해요. 오늘도 안전 운전해야지
20/03/30 21:13
수정 아이콘
3년에 7만이면 꽤 많이 타시는 것 같네요. 제가 10년에 14만인데 적지 않게 탄다고 생각하는데..
전 5년차부터 해마다 뒤에서 누가 들이받습니다. 언제나 안전운전 하시길..
This-Plus
20/03/30 21:07
수정 아이콘
저는 한 번 신호대기 중 뒤에서 엄청 쎄게 박더라구요.
처음이라 너무 놀라서 뭐지뭐지 전쟁났나 하고 나왔더니
뒤에 벤츠가 제 차를 박았음.

어? 근데 제 앞차에서 사람이 나오더니 저한테 뭐라고 따짐.
알고보니 저도 브레이크를 밟고 있었지만 밀려서 앞차를 박았던 거임.

저도 이제 정신이 생기고 뒤차에 가서 따지려는데
어? 알고보니 제 뒤 벤츠도 박혀서 저를 박은 거더군요.

처음 벤츠를 박은 sm3에서 20대 초반 젊은 청년이 내리더니 다리를 절며 연신 사과...

제 앞차에는 사람도 4명에 임산부도 있다고 난리가 남...
진짜 그 청년 인생이 불쌍해서 제 대인접수는 안했네요.

알고보니 그 잠실운동장 옆 직진 도로가 뻥 뚫렸다고 풀악셀 치다가 사고 많이 나는 장소라고...

8년 운전하면서 그거 말고는 사고난 적 없네요.
20/03/30 21:15
수정 아이콘
서울에서는 별 일 없이 있어도 들이받거나 사고 나는 경험 종종했네요.
저도 다중추돌을 이번 설에 처음 경험했는데 사고 처리도 오래 걸리고 충격도 다른 사고보다 커서 아직까지 괴롭습니다.
앞으로도 안전운전 잘하시길 바랍니다.
회전목마
20/03/30 21:08
수정 아이콘
운전면허 따고 초반에 1년에 5번인가 6번인가... ㅠㅠ
좌회전을 크게 돌아서 옆에 같이 돌던 통근버스 옆 긁은거 시작으로
꽉막힌 고속도로에서 가다서다하다 졸음운전으로 앞에 골프 박았고(수리비가 제일 많이 나왔네요)
고속도로 주행중에 차간거리 미확보로 샌드위치 사고(중간에 꼈음)
야구장에 주차하다 옆 차 휀다 해먹고 IC빠져나가다 뒤에서 박고
동네에 주차하다가 지나가는 택시 긁고(이건 반반 정도 부담했네요)

혼자 받힌거나 혼자 생쇼한건 뺀건데 많군요...
한 1년이러니까 그 다음부터는 무사고 3년째입니다
1톤트럭이어서 감 찾는데 오래 걸렸습니다 ㅠㅠ
20/03/30 21:16
수정 아이콘
앞으로도 무사고 잘 이어가시길.. 트럭이라고 하니 이해합니다.
20/03/30 21: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누적주행거리가 아주 정확하지는 않은데, 대략 80만km 100개국 무사고입니다. 보통 얼마쯤 나는지는 보험 청구건수를 보시면 대강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kpub.knia.or.kr/etcb/InCompSaleDicCar.knia

보험사 합산 연간 약 700만건 정도인데(경찰 접수 기준으론 연간 약 20만건), 보험사 청구건수의 경우 사고발생시 당사자 쌍방이 모두 접수하는 경우가 많고, 사고라기 보다는 어디서 혼자 긁거나 돌빵/테러 등을 당한걸 자차로 청구하는 것도 많다보니, 실제 사고 발생건수보다 청구건수가 거의 5-10배쯤 많습니다. 다만 여기서 빠져있는 곳(공제조합)도 있고, 보험접수 자체를 안 하는 경미사고도 있다보니, 700만건을 5-10으로 나눈 것보다는 실제 사고 발생건수가 많습니다. '사고'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연간 120만건(인적피해가 있는 사고)에서 300만건(없는 사고) 사이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약 2,400만대이니, 평균적으로는 자동차 1대당 10년에 한번꼴입니다. 차는 한 사람이 여러대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한 차를 여러명이 타기도 하니까 꼭 운전자수 기준은 아닙니다만, 대강은 비슷합니다.
20/03/30 21:20
수정 아이콘
근 5년 넘게 매해 사고를 겪다보니 이게 좀 과하다 싶어서 사고비율이 어떻게 되나 궁금했는데 이런 궁금증을 어떻게 해결하고 파악할 수 있는지도 배웠네요.
오늘 사건은 노인 분께서 본인이 3차선에서 차선 1개를 건너뛰고 한 번에 급하게 들어오려다가 난 사고인데 본인이 2차선에서 왔다고 우기길래 경찰을 부를 뻔한 사고였습니다. 아마 찍어둔 동영상이 없었으면 경찰 접수까지 갔겠네요. 이 글을 적는 동안 등 쿠션에도 불구하고 허리와 어깨가 불편하네요.

앞으로도 쭉 무사고 운전하시길 기원합니다. 상세한 답변에 제가 갖고 있던 궁금증이 해결되었네요.
20060828
20/03/30 21:46
수정 아이콘
운전 10년 넘게 하면서 뒷범퍼 세 번 박혔는데 신기하게 그게 딱 두 달 동안 있던 일입니다. 뭔가 일어날 때가 있나봐요.
몽키매직
20/03/30 23:43
수정 아이콘
면허 딴지 20년 조금 안 된 것 같고요... 반대쪽 차선에서 음주 운전자가 중앙선 넘어와 정면 충돌하고 차 폐차된 적 있습니다. 죽을 수도 있었던 사고라 기억에 남고... 그거 외에는 제가 정차 중인 차를 뒤에서 받은 빼박 제 잘못인 사고 1번... 2번 있었네요 대략 10년에 한 번 꼴
신촌로빈훗
20/03/31 04:16
수정 아이콘
전 소녀처럼 운전하는 편이라 주행 중에는 사고가 한 번도 없었어요. 운전은 30대에 면허를 따고 좀 지나서 운전을 시작했으니 10년쯤 됐겠네요.

모든 차를 다 끼워주고, 제가 낄 때는 애매하면 그냥 직진해서 한참 돌아서 가는 편인데다 급정거를 싫어해서 서행하고, 고속주행 시에는 차량 흐름에 누가 될 수 있는 구간에서만 기준 이상의 속도로 달리고 흐름에 지장이 없으면 다시 서행하는 편이에요.

근데... 확률 문제인 거라 운이 없으면 저도 서너 번 이상 접촉사고가 생겼을 거예요. 갑작스러운 돌발상황 때문에 깜짝 놀라는 경우는 누구나 겪는 일이라. 운 좋은 사람은 터프한 운전으로 여기저기 민폐를 끼치면서 다녀도 사고 한 번 안 나서 본인이 운전을 잘한다고 생각하면서 살겠죠.

사고가 몇 번 있었다면 최대한 방어운전을 하셨으면 좋겠네요. 본인에게도 타인에게도 도움이 되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669 [질문] 코로나 시국에 댕댕이 산책 [5] 너는나의헛개수5157 20/03/31 5157
143668 [질문] 로지텍 마우스 펌웨어, 드라이버 설치 후 윈도우7 부팅이 안됩니다. [3] Red Key5184 20/03/31 5184
143667 [질문] 컴퓨터 견적 이대로 괜찮을까요? [9] 살다보면4685 20/03/31 4685
143666 [질문] 만약 우리나라 근현대사 속에서 억울하게 죽은이들이 귀신이 되어서 구천을 떠돈다면? [24] 김정각4871 20/03/31 4871
143665 [질문] 내성발톱과 발톱무좀 효과적인 치료 어떻게 하나요? [11] 반성맨4968 20/03/31 4968
143664 [질문] 변기물통커버 어디서 사야되나요? [1] 정나사랑해♡3688 20/03/31 3688
143663 [질문] PC에서 사용할 유선 이어셋 추천 부탁드립니다. [3] 神鵰俠侶_楊過3754 20/03/31 3754
143662 [질문] 컴퓨터 무지렁이가 컴을 사려고 합니다. [1] 가스불을깜빡했다3413 20/03/31 3413
143661 [질문] 풀체인지 G80 VS BMW 5시리즈 [26] 잠이오냐지금6728 20/03/31 6728
143660 [질문] [연애] 당신이라면? 갑자기 핸드폰좀 보자고 하면? [35] 주여름4888 20/03/31 4888
143659 [질문] 코팅 프라이팬 추천 좀 부탁드려요! [1] lefteye4091 20/03/31 4091
143658 [질문] 전세 계약 연장 꼭 서류상으로 해서 남겨야 하나요? [3] intothe_random4122 20/03/31 4122
143657 [질문] 컴퓨터 초보입니다 . SSD용량문제 [5] 두두3666 20/03/31 3666
143656 [질문] 꿀뷰의 필터와 같은 효과를 포토샵에서 쓸 수 있을까요? [4] 파이몬3866 20/03/31 3866
143655 [질문] 코로나 기간동안 할수 있는게 뭐가있을까요? [17] 맹물4473 20/03/31 4473
143654 [질문] 드라마 하얀거탑 초반부 질문입니다. [12] This-Plus3295 20/03/31 3295
143653 [질문] 대방동 주민분들 계신가요? [6] 신동엽3489 20/03/31 3489
143652 [질문] 이낙연 후보는 총선 당선 직후 전당대회에 바로 나올까요? [8] SKT3481 20/03/31 3481
143650 [질문] 재난기본소득 관련 질문입니다 [2] StondColdSaidSo3261 20/03/31 3261
143649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 구합니다. [7] 루비스팍스3594 20/03/31 3594
143647 [질문] 특정한 주거주지가 모호할경우 주소이전 어떤게 좋을까요? [4] SSeri3129 20/03/31 3129
143646 [질문] 남자들이 시간을 갖자는건 무슨 뜻인가요? (스압) [50] 밀크카라멜25792 20/03/31 25792
143645 [질문] 인사동, 명동 부근 호텔 추천 부탁드려요 [6] Liverpool FC3494 20/03/31 34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