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28 22:21:17
Name 곰비
Subject [질문] 신생아 카시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4월초 출산예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집과 산후조리원의 거리는 10 ~ 15분 정도인데요.

현재 차량이 없어서 아버지 차량으로 산후조리원에서 집으로 이동할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카시트를 어떻게 해야될지가 걱정이네요. 저도 차량을 구매할 예정이긴한데 구매하고 카시트를 사고 싶거든요..

그래서 아버지차량으로 이동할시에 카시트가 없는 상태가 될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검색을 좀 해보니까 카시트 바구니등이 있기는 하던데.. 카시트를 구매하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요?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0/03/28 22:25
수정 아이콘
바구니형 카시트를 중고로 구매하는것도 방법입니다.
화염투척사
20/03/28 22:37
수정 아이콘
카시트는 하나 있어야 합니다. 카시트에 태우고 안태우고에 따라 안전에도 차이가 크고 카시트 안태우는건 불법이기도 합니다. 어차피 카시트는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은 나중에 사셔도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오래 쓰진 못하지만 저렴한 바구니 카시트라도 하나 장만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하우두유두
20/03/28 22:38
수정 아이콘
바구니형 카시트 중고라도 하나 사서 쓰세요. 불법이기도 하고 만에하나 사고 날경우 30~40km이상에서 사고나면 아이를 놓친다고 합니다.
20/03/28 22:38
수정 아이콘
대여하는 곳도 있습니다.
하우두유두
20/03/28 22:39
수정 아이콘
저도 카시트는 제차에 한대 그리고 장인어른 차 탈때나 아버지 차 탈때 대비해서 비상용으로 탈부착 편한거 확보중입니다.
summer song
20/03/28 22:39
수정 아이콘
바구니카시트 필수구요, 새상품 사기엔 좀 아깝긴합니다
아파트 커뮤니티가 있으시면 거기에 중고 구하는 글 올려보시고 아님 지역 카페에라도 찾아보세요
사용시기가 길지않아서 중고로 많이 사고팔아요
중고로 사서 몇번 쓰시고 다시 중고로 파시면 됩니다
키워드알림 걸어놓으시구요..
20/03/29 08:41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방법 추천드려요. 3년전에 알아봤을 때 바구니 카시트 새거가 10만원 안쪽인데 중고나라에서 5만원 정도 했습니다. 그리고 구매한 가격에 다시 내놔도 잘 팔립니다. 생각보다 짧게쓰는 장비라 돈 투자 하긴 아깝지만, 혹시라도 집에서 소아과가 멀다면 차타고 가야할텐데 그럼 카시트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죠. 그리고 제 주변 사람들을 봐도 바구니 카시트를 어렸을 때 태운 애들이 이후 유아용이나 올인원 카시트에 쉽게 적응 하더라구요. 그리고 애기 낮잠을 바구니 카시트에서 재우는 경우도 있구요.
마술사
20/03/28 22: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카시트는 1) 안전벨트로 고정하는 방식 2) ISOFIX로 고정하는 방식 2가지입니다
10년이상된 차량이 아니면 대부분 ISOFIX 끼울수있도록 되어있을거고 두 방식중에 ISOFIX가 더 안전하다고 하니 웬만하면 ISOFIX방식으로 사는게 좋겠죠

결론
아버지 차에 ISOFIX 있는지 확인후, 있으면 ISOFIX연결되는 카시트 사면됨. 새차사도 어차피 ISOFIX 연결하면됨

참조) 바구니형카시트는 오래 쓰지 못하는데다가 그 카시트에 호환되는 유모차까지 깔맞춤하지않으면 장점이 별로없어요. 일반 카시트 사면 6살까지 쓸수있어요. 게다가 가능하면 애기때부터 카시트에 익숙하게 하는게 좋아요. 나중에 카시트 적응시키려면 울고불고난리칠수있어요
서쪽으로가자
20/03/28 22:43
수정 아이콘
굳이 카시트를 차량 구매 이후에 하실 필요가 있을까 싶긴하네요. 왠만하면 호환성 문제도 없을거고....
사실 신생아 카시트보다 그 다음이나 다다음 단계 카시트들이 더 오래 사용하실거라 너무 고민안하셔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수정) 답글 달고보니 아버님 차에 ISOFIX가 없으면 약간 애매할 수도 있겠구나 싶긴하네요.
근데 ISOFIX 형도 안전벨트로도 장착 가능한 경우가 많긴 할 듯합니다만....
20/03/28 22:59
수정 아이콘
아이를 안고 차에 탄다는건 만약 사고가 날시에 아이가 에어백역할을 한다는겁니다.

이제막 태어난 신생아에겐 아무리 조심해도 넘치지 거라고 생각해서 만약 저라면 무조건 삽니다. 카시트는 안전벨테를 이용해 설치하는거라서
차마다 옮겨서 설치할수 잇습니다. 부디 무탈 없길 바래요
20/03/28 23:21
수정 아이콘
출산 -> 조리원 갈때는 카시트 못써요...
너무 작더라고요 ㅡㅡ;;;
MagnaDea
20/03/28 23:50
수정 아이콘
바구니형 카시트 쓰니까 괜찮던데요? 겉싸개 하고 바구니형 카시트 쓰면 확실히 고정됩니다.
20/03/29 01:07
수정 아이콘
바구니형이었는데 애가 너무 작아서 그런지 안정감이 떨어지더라고요
조리원 나올쯤에는 그래도 조금 자라서 바구니에 태워서 왔네요 흐흐
희원토끼
20/03/29 00:00
수정 아이콘
쓸 수 있어요~올인원 바디수트 입히고 바구니 카시트 태움 되요~
20/03/28 2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만 한살까지 바구니형 카시트 잘 썼습니다. 바구니형처럼 완전히 뒤로 눕는게 아니면 아이에게 위험해서 고민할 필요도 없이 바구니형으로 사세요. 저도 중고로 지인한테 받아서 잘 썼습니다. 그리고 만 두살까지는 기본적으로 뒤보기가 권장이니 아이가 좀 크다 싶을때 한번 바꾸고, 둘째 나오면 큰애는 더 큰거 사주고 둘째는 같은 루틴으로 따라가듯 썼어요.
20/03/29 11:33
수정 아이콘
사촌이나 친구들꺼 다 돌려썼어요
우리 애보다 조금 큰 아기 있는 집에 미리미리 이야기 해놓으세요
그거 나중에 우리가 좀 쓰게 해돌라고..
조금 고가인거는 싸게 사시고
착한아이
20/03/29 12:35
수정 아이콘
전 고정형 카시트 조×에서 나온 아이소픽스 되는거 제일 저렴한 기본형 사서 상품에 포함된 신생아 이너시트 채워서 태웠어요. 큰애는 한여름, 둘째는 한 겨울인데 우주복 두툼하게 입혀서 태워서 뒤보기로 최대한 눕히니까 고정 잘 되더라고요.

바구니 카시트는 지역카페에서 구하시면 저렴히 구하거나 드림받기 쉬우 실거예요. 아니면 잠깐 대여하셔도 좋고요.
완성형폭풍저그
20/03/29 12:49
수정 아이콘
바구니 카시트 구매한 생후 30일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병원에서 산후조리원 갈때, 산후조리원에서 집에 올때 바구니 두번 썼고요, 얼마전 bcg맞으러 병원갈때는 아주머니가 오셔서 안고 가셨어요.
집에서 병원 병원에서 조리원 조리원에서 집, 모두 편도 10분~15분 거리에요.
제 생각에는 어차피 아기가 외출가능한 시기가 생후 몇개월 정도이기에 바구니를 사용할 일 자체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저희는 유모차에 탈부착 가능한 바구니라서 그나마 사용하지만 바구니 무게에 아이 무게 합치면 10키로는 금방이라 들고 다니기가 상당히 버겁습니다.
총평하자면 그냥 안고 다니는 것이 훨씬 유용하고 정부지원 도우미도 있으니 바구니는 없어도 되었겠다 정도의 입장이에요.
모나크모나크
20/03/29 16:13
수정 아이콘
바구니야 선택사항이겠지만 카시트를 안 산다는 옵션은 없다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거에요.
일단 사서 아버지 차에 장착해서 쓰시다가 본인 차로 옮겨다시면 됩니다~
20/03/30 01:55
수정 아이콘
당근마켓에서 젤 싼걸로 중고 사시던가 대여 알아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443 [질문] 데빌맨이 너무 보고싶어요... [3] 상한우유4617 20/04/27 4617
144441 [질문] 컴잘알 분 도와주세요 [3] 훈남아닌흔남5430 20/04/27 5430
144440 [질문] 인생선배님들, 질문있습니다. [34] 삭제됨7266 20/04/27 7266
144439 [질문] [LOL]프로들 전적만 따로 보는거 어떻게 보는건가요? [2] 하피의깃털눈보라4075 20/04/27 4075
144437 [질문] 수도권 남부 등산 추천바랍니다~ [9] 프리템포5853 20/04/27 5853
144436 [질문] 콜옵 리부트 qhd 144hz로 돌리려면 어느정도 그래픽카드가 필요할까요? [10] 머나먼조상4986 20/04/27 4986
144435 [질문] 기름덩어리(동물성 지방) 분해약품 있나요? [2] will4729 20/04/27 4729
144434 [질문] 어린이보호구역 주정차 위반은 즉시단속 아닌가요? [9] 쌍둥이아빠6152 20/04/27 6152
144433 [질문] [롤체]암별 제라스 덱 카운터 질문 [6] 타케우치 미유4926 20/04/27 4926
144432 [질문] 홍어 전남쪽에서 먹는거랑 서울에서 먹는거랑 차이가 많나요? [38] 茶仰6668 20/04/27 6668
144431 [질문] 도박도 술,담배같은 개념으로 정부통제하에 적극적으로 장사(?)하는게 낫지 않나요? [18] AKbizs5383 20/04/27 5383
144430 [질문] [LOL] 현시점 LCK에서 다년계약한 선수들은 내년 프랜차이즈 도입시 손해가 심한가요? [13] 興盡悲來5570 20/04/27 5570
144429 [질문] 연재(?) 됐던 글을 찾습니다 [2] 이정후4771 20/04/27 4771
144428 [질문] 카드사 승인내역 자료 받는데 시간이 이상합니다 [5] Tiny4365 20/04/27 4365
144427 [질문] 초보자용 TRPG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카페알파7196 20/04/27 7196
144426 [질문] [LOL] 스크림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12] 파핀폐인5463 20/04/27 5463
144425 [질문] 서브웨이 후추 이렇게 매웠나요? [2] 건전한닉네임24130 20/04/27 4130
144424 [질문] [lol] 다이애나 정글 어떤가요.? [6] 나비아스톡스4375 20/04/27 4375
144423 [질문] 소소한 짤막글 & 짤들 공유에 적절한 SNS 있을까요? [8] 스타듀밸리4447 20/04/27 4447
144422 [질문] 마트에서 위스키 10만원이하추천이요. [10] Cherish5431 20/04/27 5431
144421 [질문] 카페에서 케이크 주문할 때 제품명 풀네임으로 말해야되나요? [18] 농심신라면5800 20/04/27 5800
144420 [질문] (컴알못) 하드디스크의 반응이 (켤때만) 묘하게 늦습니다: 이거 고장일까요? [3] 코시엔4315 20/04/27 4315
144419 [질문] 어머니 태블릿 구매 관련 질문 드립니다 [6] limitedaccess6765 20/04/27 67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