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18 13:38:54
Name BISANG
Subject [질문] 롤...을 시작해 보려 합니다.
친구들이 자꾸 꼬십니다.  게임사이트에 질문이 너무 초보적이라 죄송하지만  

카오스 열심히 했었습니다. 2000년 대 초반에 친구들과 겜방에서 아주 열심히 했었습니다.

저는 어떤 테크트리로 시작해야  빠른 실력향상과 친구들한테 욕 덜먹을수 있을까요?

실력향상에는 왕도가 없다지만  많은 분들의 팁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말싫
20/03/18 13:42
수정 아이콘
딱히 왕도가 없습니다.
가능하면 모든 포지션 다 해보고 챔피언도 이것저것 막굴러야합니다.
각 포지션의 역할과 모든 챔피언의 스킬을 다 인지하는게 롤의 기본 중에 기본이니까 처음부터 챔프 하나만 밀거나 하지마시고 다해보고 익힐 수 밖에 없습니다.
소환사의 협곡 말고 다른 모드에는 시간 투자 안하시는게 배움에 있어서는 효율적이기는 할 겁니다.
뜨거운눈물
20/03/18 13:42
수정 아이콘
저도 얼마전에 시작했는데 듀토리얼 하고 AI 봇이랑 대전 몇번 하시면 어느정도 익히시구요 유투브로 챔피언 강의 보시면 어느정도 이해 하실듯 합니다
바부야마
20/03/18 13:45
수정 아이콘
세나 서폿 추천드립니다.
Nasty breaking B
20/03/18 13:48
수정 아이콘
AI전에서 게임의 기초적인 기능 습득 -> 일반게임 -> 랭크게임으로 나아가는 게 기본적인 순서고

포지션의 경우 아무래도 cs를 먹지 않고 듀오로 라인을 서는 서포터가 상대적으로 난이도는 낮은 편입니다. 그 중에서도 흔히 노블레쓰(노틸러스, 블리츠크랭크, 레오나, 쓰레쉬)라고 불리는 탱키한 cc 서포터들이 집중할 포인트도 확실하고(보통은 주요 cc기를 맞추기만 하면 아군이 호응도 바로 하고, 순간 유리한 교전을 여는 거라) 현재 메타에도 맞는 픽이라 욕을 덜 먹으며 빠르게 게임에 적응한다는 목적을 위해서는 좋은 선택지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서포터만 하다 보면 다른 라인 플레이에 적응하기 힘들 수가 있어서, 어느 정도 게임에 익숙해지고 나면 꼭 다른 포지션도 병행해서 플레이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해보고 나서 재미있고 잘 맞다 싶은 포지션을 하면 됩니다.
녹차김밥
20/03/18 14:02
수정 아이콘
묻어가는 질문 한번 해 봅니다.

저도 롤을 안하는데요, 시작하기가 부담스러운 것이, 챔피언이 너무나 많고 기본적으로 그 많은 챔피언들의 스킬들을 다 파악해야 겨우 튜토리얼 정도 끝낸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서 그렇거든요. 예를 들어 특정 상황에 'A 영웅이 나에게 이정도 거리로 접근했다! -> B스킬을 쓸 수 있으니 주의해야지.' 하는 정도의 생각은 굴러가야 기본적인 게임의 모양새라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인데요. 그렇게 대부분의 스킬이나 영웅 특성과 상성 정도를 자연스럽게 파악하고 게임의 흐름을 이해하는 정도면 랭크가 대충 어느 정도가 되나요? (요새는 브론즈도 그정도는 다 된다거나 그쯤되면 보통 실버는 된다거나.) 또 일반적인 게임센스를 가진 사람이 그 정도 수준에 가려면 얼마나 걸릴지요.
레드로키
20/03/18 14:13
수정 아이콘
제가 만년 실버에 이번시즌 배치가 망해서 브4부터 올라가고 있는데요. 브론즈랑 실버의 차이가 딱 말씀하신 스킬, 케릭이해도 차이인거 같습니다.
브론즈는 상대가 뭘할지 모르거나 생각안하고 하는거 같고 실버는 그정도는 생각하는거 같습니다.
네파리안
20/03/18 14: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1000판씩 해도 랭크 못올리는 사람들 많은것 보면 그런거 다 아는거랑 티어는 별개라고 봅니다.
제가 봤을때 티어올리기 제일 좋은건 현재 메타 꿀빠는 챔피언 2~3개를 죽어라 파는게 티어올리기는 좋다 싶내요.
챔프가 너무 많아서 특성이나 상성 아려면 못해도 천판은 해야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런거 몰라도 게임 흐름을 이해하는건 30렙만 되도 충분하지 않나 싶내요.
왠만하면 여러포지션 하기보다 하나의 라인만 두세개의 챔프만 파시면 어느정도 운영법이 보입니다.
보통 일반에서 미드는 경쟁이 심하니 정글, 서폿, 탑 중에 하나 파보시는게 좋아보이내요.
20/03/18 14:25
수정 아이콘
감스트 방송 보면 롤 입문하고 챔피언 하나(가렌)만 주구장창 돌리더니 지금은 탑챔피언들은 꽤 하더군요. 딱히 모든 챔피언 이해하고 시작할 필요 없습니다. 그거 자체가 불가능한 이야기구요. 경험으로 자연스레 터득하는 거죠. 롤 랭크는 정말 천차만별인데 레벨 30찍은 이후 랭겜을 처음부터 잘 해서 브론즈 같은 하위티어는 구경도 못해본 사람도 있고요. 보통은 운영방식이나 챔피언 대응법 잘 모르면 브론즈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거 같습니다.

그런데 처음부터 잘하려고 각잡고 한다고 꼭 잘하게 되는 건 아니라서요. 그냥 즐기면서 하다가 재능 있으면 올라가는 거고 아니면 그냥 실버 골드쯤에서 현지인들과 놀면 됩니다. 어차피 상위티어는 롤 총 인구에서 몇프로 안 됩니다. 입문부터 잘 할려고 랭크 올릴 생각으로 하시면 스트레스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안 하시는 게 나을지도요.
20/03/18 16:06
수정 아이콘
아래에도 댓글 달았지만 전 그래서 시작하는 사람들한테 절대 협곡으로 시작하지 말라 그래요. 일단 한 번 돌리는데 플탐이 너무 길고 고려해야 하는 것(오브젝트, 라인 등)이 많아서 인지 부하가 크게 오거든요. 그럼 재미없고요. 칼바람 먼저 해보세요.
20/03/18 21:40
수정 아이콘
저는 처음엔 칼바람으로 하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다양하게 플레이하게되고 전투만 하니까 내스킬 남의스킬 이해도 쉽고요. 아무래도 아직은 직관적인 스킬들이 많다보니까 보시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도움 될 것 같습니다. 그 후에는 손가는 챔프부터 파보시는게 시작이겠죠.
20/03/18 14:03
수정 아이콘
빠른 실력 향상이 목표시라면 저는 탑 미드로 시작해서 라인관리, 맵 보고 이에 맞춰서 플레이하는 방법을 익히고
정글을 가서 게임 전반적인 흐름을 보는 방법을 숙지하는게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서포터로 시작하는걸 추천하는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하는데, 서포터로 시작하면 라인 관리 능력, 게임 돌아가는 흐름을 읽는게 늘리기 쉽지 않다고 생각해서요.
서포터는 자신이 뭘 만들다기보다 다른 사람들 플레이에 그걸 맞추는 포지션이니까요.
레드로키
20/03/18 14:15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서포터가 자기에게 맞는 성격이 아니시면 서포터는 비추천드립니다.. 서포터는 실력이 잘 안늘어요.. 전 미드 추천드립니다. 처음부터 정글 도는건 케릭마다 정글 돌때 느낌이 다른것도 있어서 미드에서 맵전체를 넓게 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요
20/03/18 14:15
수정 아이콘
입문 - 튜토리얼 후 컴퓨터와 대전하다보면 어떤 게임인지 감이 오게 됨.
초급 - 저렙 구간 일반 게임에서 여러 로테이션 챔피언, 여러 포지션 가서 사람과 대전하며 경험 쌓기. 일단 부딪혀보는 게 실력 늘리기 좋죠. 부계정 돌리면서 느낀 건데 요즘 코로나 때문인지 저렙 일반게임에 진짜 초보분들도 꽤 있더라구요. 부캐도 여전히 많긴 합니다만...
중급 - 손에 맞는 주챔프 주포지션 정해서 그것 위주로 돌리기. 다양한 챔피언 이것저것 하면 재미있긴 한데 실력을 빨리 늘리려면 우선은 한 두 챔피언만 파는 게 더 좋습니다. 탑이든 미드든 원딜이든 서폿이든 정글이든 상관없습니다. 감스트만 봐도 처음에는 가렌만 주구장창 돌리더니 실력이 금방 늘고 지금은 챔프폭도 늘고 꽤 하더라구요. 그리고 대회나 고수들 방송 보면서 운영에 대해 생각하기.
네파리안
20/03/18 14:26
수정 아이콘
본인이 카오스할때 크립돌았는데 나이샤나 그롬했다 하면 정글, 스벤이나 참새같은거 했다면 서폿
혈귀나 실바나스 같은 하드캐리 챔피언 했다면 원딜
프로도 악동같은 연계캐릭 했다면 미드
탈론이나 루시퍼같이 혼자노는거 좋아했다면 탑 추천드립니다.
12까진 점멸없으니 ai하시고 이후 일반게임에서 한라인만 죽어라 하시는데 op.gg들어가셔서 그 라인에서 1~2티어의 챔프중에 승률높은에 골라서 유튜브 같은대서 해당챔피언 운영법 검색하셔서 보시고 30렙까지 죽어라 하시면 됩니다.
20/03/18 15:55
수정 아이콘
서포터로 시작하진 마세요.
개인적으로 탑이나 정글로 시작하길 권장합니다.
20/03/18 16: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을 드리자면

PC방에서 https://lolalytics.com/ 켜놓고 칼바람(협곡 아님)을 하시되, 걸리는 챔피언 바꾸지 않으면서 100판 정도 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 협곡 봇전 한 두판 해보시고 노말 계속 돌리시면 언제 랭겜해도 되겠다 하는 감이 오실겁니다. 처음부터 협곡 가는 건 '이런 게 있구나~'하는 맛보기 아닌 이상 비추합니다.

그리고 칼바람이든 협곡이든 시작하자마자 /mute all 박고 시작하시는 걸 적극 권장합니다.
The)UnderTaker
20/03/18 16:59
수정 아이콘
그냥 한챔피언부터 주구장창 마스터 하는게 실력쌓는 지름길입니다
상황병 룬, 상대조합별 템트리, 상대챔피언에 따른 딜교방법등등. 한챔피언으로 이걸 어느정도 알아야 다른챔을 파도 쉬워요. 그리고 롤 잘모르는상태니까 오히려 소환사협곡만 주구장창 파야합니다. 칼바람은 도움안되요.
라라 안티포바
20/03/18 17:15
수정 아이콘
봇전, 일겜, 칼바람 등등 해야하는데
그냥 친구들에게 욕먹느냐 모르는 사람에게 욕먹느냐의 차이에요. 첫 일겜과 랭겜은 mmr이 높게잡혀서 어지간한 재능러 아니면 욕은 상수입니다. 심지어 본인이 선방해도 꼬인사람들한테도 욕먹는 겜인데요...채팅끄고하세요.
그리고 위에 언급한대로 챔피언 한둘만 정해서 파보는게 좋습니다. 안맞는거같으면 갈아타시고..
열혈둥이
20/03/19 09:41
수정 아이콘
멘탈이 약하고 친구들이 브론즈 이하다. > 정글가서 난 알피지만 한다. 라고 선언
친구들이 실버 이상인데 승부욕이 강하다. > 탑가서 난 버리고 너네 할거해 라고 하고 연습을 계속한다.
게임터져도 다들 즐겜하면서 낄낄댄다. > 미드가서 우리게임을 폭파시킨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259 [질문] [LOL] 스킬 판정 질문.. [3] 지수4106 20/03/19 4106
143258 [질문] [lol]클라이언트 업그레이드 하고서 게임 시작이 안되네요. [10] 연휘가람4352 20/03/19 4352
143257 [질문] 어머니께서 쓰실 통증 적은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티타늄4269 20/03/19 4269
143256 [질문] 최근 경제 위기는 코로나 때문인가요? [8] 박수갈채4803 20/03/19 4803
143255 [질문] 5~10만원 선에서 무선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30] 아카데미5211 20/03/19 5211
143254 [질문] [LOL] 이런 상황이면 정글은 무죄일까요? [21] 호아킨4252 20/03/19 4252
143253 [질문] 인터넷과 IPTV를 교체하려고 합니다. 현재 유플러스입니다. [5] 시지프스3659 20/03/19 3659
143252 [질문] (주식주의) 앞으로 호재가 뭐가 있을까요 ㅠㅠ? [18] 실천5196 20/03/19 5196
143251 [질문] 윈도우 태블릿 추천 부탁 드립니다. [9] 킹리적갓심3377 20/03/19 3377
143250 [질문] 안녕하세요. 작명에 애로사항이 있어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24] Lucifer03633 20/03/19 3633
143249 [질문] 핸드폰 공기계가 생겼는데 꼭 초기화 할 필요없이 써도 괜찮겠죠? [5] 55만루홈런3708 20/03/19 3708
143248 [질문] 보고 따라하시 좋은 운동유투브 뭐있을까요? [4] 맹물3218 20/03/19 3218
143247 [질문] 이 마스크도 효과 있나요? [20] 로즈 티코4641 20/03/19 4641
143246 [질문] 아마존 배송 취소 관련 [2] Eulbsyar2991 20/03/19 2991
143244 [질문] 요즘 시국에 게임은 인텔인가요, AMD 인가요? [12] 파란샤프4534 20/03/19 4534
143243 [질문] 이 유튜브 영상 유게에 올려주실분 계신가요? [3] 회전목마3000 20/03/19 3000
143242 [질문] 예산 1000정도로 출퇴근 및 시내 주행용으로 어떤 차량 선택할까요? [24] WhiteBerry4357 20/03/19 4357
143241 [질문] 요리 유튜버 추천 부탁드려요! [14] 박수갈채4330 20/03/19 4330
143240 [질문] 유투브에 360 영상 카드보드로 올려보신분 계신가요? 열혈둥이2548 20/03/19 2548
143239 [질문] 뉴클리어가 카이사 원툴이라는데 카이사는 잘하는거 맞나요 [4] 요한4448 20/03/19 4448
143238 [질문] 하츄비라는 스트리머가 인기를 얻게 된 비결 [2] 따루라라랑11844 20/03/19 11844
143237 [질문] 여자친구 동생이 휴대폰 사기를 당한거 같은데 개통 철회 되나요? [26] 50b7561 20/03/18 7561
143236 [질문] 청바지(버커루) 인터넷구매 질문입니다. [7] 1차전탈락 ;;3884 20/03/18 38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