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12 16:30:16
Name 겨울愛
Subject [질문] 주식 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재테크에 관심이 생겨서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다가 길게 보고 주식을 사볼까 생각중인데 주식 투자를 하는 기본적인 방법도 몰라서 질게에 글을 남겨봅니다.

단타성 목적은 아니고 최근 주가가 많이 하락한 상황이라 여유돈 500 정도만 우량주 등에 넣고 길게 봐서 은행 이자 정도의 시세 차익이라도 한번 챙겨볼까 하는 목적입니다. (유동이 급한 돈은 아니고 소액이니 언젠가는 현재보다는 오를거라는 생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한 방법, 어플은 어느것도 좋은지, 주식 관련 정보는 어느 곳에서 얻으면 좋은지, 주식 공부는 뭐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등등 아시는 것들 있으면 조언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브라이언
20/03/12 16:32
수정 아이콘
주식은 정말 안하는걸 추천해요...
외국인과 기관이 있어 쉽지 않습니다.
20/03/12 16:49
수정 아이콘
주식 진짜 하지마세요. 구조대를 기다리고 있는지 벌써 1년째입니다.
20/03/12 16:54
수정 아이콘
치킨값 벌려고 들어갔다가 치킨집 차릴 돈이 날라갔습니다.
월급루팡의꿈
20/03/12 17:00
수정 아이콘
팟캐스트 신과함께 같은걸 길게 들어보시는 것도 좋을듯하구요... 소액으로 아 이렇게 하는거구나 이렇게 쫄리는구나 좀 느껴보시는것도 좋을듯합니다.
저는 우량주랑 ETF 중심으로 밀리면 사자는 느낌으로 들어가는데, 자꾸 테마에도 손이 가서 손을 댄게 요즘 폭락장에서 좀 망하고 있습니다. 흑.
20/03/12 17: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건전하게 잘 골라서 투자하면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주식투자에서 제일 중요한건 멘탈 관리라고 생각해서.

자신이 돈을 집어넣고 맘 먹으면 몇달은 안 볼 수 있다라고 자신하시면 좋죠.

길게보면 현재 낙폭 구간도 결국은 올라갈거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바닥을 잡을거란 기대는 버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알 수도 없고요.
발목이든 무릎이든 붙잡아서 바닥에서 버틴다면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는 이상
반등은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금 사태가 얼마나 갈 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멘탈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거고요.

https://www.youtube.com/watch?v=Avesb8JRpQ0&list=PLbByFhGChrxhq7kZgSgNUXEo2OPnPLcKI
(돈워리스쿨 예전 영상부터 지금까지 쭉 보시는게 좋겠지만,
제목 보고 주식관련 영상부터 보셔도 되고)

https://www.youtube.com/channel/UC6ZrIHD_y3ij6V6rjCNw2Hg
주식 초보분이 개념 배우기 좋은 유튜브.

책은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괜찮았습니다.
전자책 보시면,
https://pgr21.net/qna/142635#1242613

어플은 나무(NH투자) 어플 비대면으로 만드시는거 추천.

전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다른 재테크든
자본주의 사회에서 투자는 필수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https://www.youtube.com/watch?v=crF0sIEWRas&feature=youtu.be

영상 추천 드립니다.
겨울愛
20/12/28 03:05
수정 아이콘
정성스러운 답변 뒤늦게 감사드립니다. 조언해 주신 덕분에 올해 코로나 이후 반등장에서 쏠쏠한 이득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원숭이가 종목을 골라도 오를 수 있는 장이었기에 단기간의 수익으로 감사인사를 드리는건 성급한 듯 하여 2020년을 마무리하면서 뒤늦게 인사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올해 잘 마무리 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성투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20/12/28 10:01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이 시기를 잘 버틴 덕에,
저 역시 수익률이 괜찮네요.
코스피 3000 가즈앙~ ^^
겨울님도 올 한해 좋은 경험과 수익을 축하드리며마무리 잘하시고 내년에도 성투하세요!
Lord of Cinder
20/03/12 17:05
수정 아이콘
요즘 분위기는 바닥이라고 생각했는데 지하실이 나옵니다. 은행 이자보다 살짝 나은 정도의 안정적 성향을 추구하신다면 저위험 추구 성향의 펀드라든가 아니면 개별 종목 중에서는 맥쿼리인프라 같은 종목을 알아보시는 것도... 주가 변동성이 낮고 배당 수익을 노리는 종목입니다.
덴드로븀
20/03/12 17:13
수정 아이콘
[은행 이자 정도의 시세 차익] 을 원하시면 그냥 예/적금 하는게 스트레스 안받으실겁니다.
예/적금은 마이너스가 없지만 주식은 어? 하는 순간 마이너스입니다. 그리고 그 마이너스를 냅두고 느긋하게 기다리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500정도 넣고 -10% 되면 450만원된걸 보고 난 괜찮아 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20/03/12 17: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혹시나 해서 하는 말인데
우량주=대기업 이 절대 아닙니다.

주식 처음 시작하는 분들중에
이 개념 착각하시는 분들 정말 많던데,
(저 역시 그랬고)
저어어어얼대에에에 대한민국의 재벌 및 대기업=우량주 아닙니다.

TV에서 많이 보던 대기업 아무거나 샀다가 진짜 골로 갑니다.

그냥 잘 모르시면 삼성전자 사시는거 추천.
그리고 어지간하면 분할매수 하시고.
20/03/12 17:18
수정 아이콘
주식사고 딱 1-2년만 주식산 기억잃는 약이 있었다면 할만 했을겁니다.
본인이 쫄보면 걍 하지 마시고..전사의 심장을 가졌다 판단되면 들어간 다음에 본인이 얼마나 쫄보였나 느끼면 됩니다.
지구사랑
20/03/12 17:19
수정 아이콘
렌야님 댓글에 전반적으로 동의하구요, 다만, 정말 뼈를 깎을 생각을 하고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주식 투자는 필수라고 생각하지만, 형제자매에게도 권하지는 않습니다.
In The Long Run
20/03/12 17:37
수정 아이콘
주식이나 거시경제에 대한 전반적 지식이 없으시면 그냥 삼성전자 사시고 아니면 공부를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김유라
20/03/12 17:47
수정 아이콘
하라는 사람 말리지는 않습니다만, 제 주변의 80%가 삼성전자 죽을 때까지 묵혀놀 것처럼 얘기해놓고 지금 빤쓰런 중인것만 말씀드리겠습니다.
20/03/12 17:47
수정 아이콘
저도 가장 분할매수, 분할매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여유돈으로 장기적인 투자를 하신다면 굳이 매일 시세창을 보실 필요 없고 안 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생업에 지장 생기거든요.
블루레인코트
20/03/12 17:50
수정 아이콘
지금부터 코덱스 코스닥 레버리지 분할로 들어가보세요. 1년안엔 무조건 수익납니다. 나라가 망하지 않는한....
20/03/12 17:57
수정 아이콘
질문글에 뜬금없는 말씀이라 죄송합니다만
진짜 아직 바닥이 아니네요. 여러 커뮤니티에서 위와 같은 글이 숱하게 보이는 것 보니
휴먼 인덱스 상 저점은 아직 멀었구나, 라는게 느껴집니다.

글쓴님께 책 추천드리자면
<내가 주식을 사는 이유>,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두 권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지금 주식 시장에 들어오지 마세요...... 아직 더 내려갈 겁니다. 근거는 점심밥으로 구워 먹었습니다.
겨울愛
20/03/12 23:09
수정 아이콘
답변해 주신 분들께 모두 감사드립니다. 염려 하시는 부분들 모두 저도 인지하고 있는 부분들이며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게 힘든 일이라는건 동감하고 있습니다. 다만 경제의 큰 축중 하나인 주식에 대해서 한번 겪어보고 공부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여유돈이 있는 지금 조금씩이라도 투자해 보면서 공부해 보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답변해 주신 분들 모두 좋은 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132 [질문] 디비전2 어느 버전을사야할까요. [3] 계란말이매니아3302 20/03/16 3302
143131 [질문] 트레일블레이저 vs 셀토스, 티볼리 [18] 싸우지마세요5571 20/03/16 5571
143130 [삭제예정] 잠수이별 당했는데 왜 동료폰으로 연락이 왔을까요?? [18] 전설의황제7987 20/03/16 7987
143128 [질문] 이정도면 어느정도 게임이 돌아갈까요? [10] 악동막타자제요3976 20/03/16 3976
143127 [질문] [LOL] 소환사의 협곡에 눈덩이가 생긴다면? [17] 키류3857 20/03/16 3857
143126 [질문] 영화 추천 부탁합니다. (가이 리치 감독 좋아합니다.) [10] 약쟁이3494 20/03/16 3494
143125 [질문] 외할머니 간병인 관련하여 가정용 cctv 설치하려 합니다. [2] 레뽀4039 20/03/16 4039
143124 [질문] 결혼전 자녀계획에 대한 의견이 다른 경우 [59] K59424 20/03/15 9424
143123 [질문] 내일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가벼운 의견 부탁드립니다 [16] 피쟐러4974 20/03/15 4974
143122 [질문] 윈도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머리부터발끝까지3238 20/03/15 3238
143121 [질문] 정치 토론 같은 데 종종 나오는 영단어 뭐였죠? '사안', '주제' 같은 의미인 [6] 시나브로4697 20/03/15 4697
143120 [질문] 건강한 식습관, 생활습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2] 기억의습작4086 20/03/15 4086
143119 [질문] 비염약 처방 질문입니다 [9] croissant3359 20/03/15 3359
143118 [질문] 현대차 Smaht Pahk 기능 질문입니다. [2] 부기영화3628 20/03/15 3628
143117 [질문] 서울에서 일요일 지금 닌텐도 스위치 게임 살수있는곳 아실까요. [3] 계란말이매니아3443 20/03/15 3443
143116 [질문] 컴맹이 서버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3] 삭제됨3368 20/03/15 3368
143115 [질문] nba2k19에서 스트레치5로 플레이하려면? [7] 에셔3903 20/03/15 3903
143114 [질문] 소개팅 관련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17] 레너블4932 20/03/15 4932
143113 [질문]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기존 G1 사용자) [12] Anabolic_Syn3053 20/03/15 3053
143112 [질문] 컴퓨터 메모리 부족 [3] phoe菲3902 20/03/15 3902
143111 [질문] 남자옷중에 이런로고 있는 브랜드 있나요? [2] Liberal4320 20/03/15 4320
143110 [질문] 크롬 사용중 웹페이지 메시지 질문입니다 콜라제로2646 20/03/15 2646
143109 [질문] 종합 게임 스트리머 (유투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7] iPhoneX7403 20/03/15 74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