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07 22:33:27
Name nexon
Subject [질문] 이론(논리)과 현실간 괴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지요...?

안녕하세요..

종종 이론(논리)상으로는 완전한데 실제 현실에 적용했을 때는 온갖 문제점을 노정하는 경우가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이론(논리)상으로는 불완전한데 실제 현실에 적용했을 때는 별 문제 없이 잘 돌아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렇게 이론(논리)과 현실이 서로 안 맞게 되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그 괴리를 줄일 수 있을까요...?


사실 이론(논리)도 현실에 기반해 추출해낸 명제를 기반으로 전개되는 것이어서 현실 중 일부 중요하지 않은 것을 사상(捨象)한다고 해도 이론(논리) 그 자체는 현실에 뿌리를 둔 것인데요

정작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논리)가 완성되었을 때는 더 이상 현실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그 괴리는 어디에서 생기고 또 어떻게 해야 그 괴리를 줄일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요... @@

이론(논리)을 만드는 사상(捨象)과정에서 의외로 중요한 것들을 놓치기 때문일지요...?

현실을 이론(논리)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은 어떤 기준으로 구별해야 할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0/03/07 22:43
수정 아이콘
전자의 경우 실제 상황에서는 이론에서 감안한 변수 이외의 다른 변수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 원인 중 하나겠죠. 아니면 변수의 평가치가 실제와 차이가 있다거나..
틀림과 다름
20/03/07 22:50
수정 아이콘
제가 글쓴이의 글에 반문하는 글을 5분만에 쓸수 있습니다, 5분안에 써 봐야지 - 이론
집안에 정전이 생겨 컴이 꺼지고 어두워서 폰도 못찾게 되었습니다, 더듬더듬거리다 결국 폰을 찾아내서 반문글을
썼는데 30분이 지났네요 - 실제상황

이론에서 생각지도 못한 변수가 생기니 이론과 실제상황이 맞아 떨어질수 없고요
하지만 맞아 떨어지는 경우는 이론에 반하는 상황이 생기지 않거나 그런 상황들을 다 변수에 넣고 계산하니 그런거죠
뭐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어름사니
20/03/07 23:17
수정 아이콘
윗분들이 말한 것처럼 현실에서는 워낙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결과가 일어날 수도 있고,
이론이란 것 자체가 지금껏 있었던 사례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한번도 보지 못했던 사례가 튀어나온다면
이론은 무의미해지죠. 러셀의 칠면조 역설이 바로 이 부분을 다루고 있습니다.
20/03/07 23:57
수정 아이콘
질문이 너무 광범위한데 답변 드리자면, 어떤 분야의 이론이냐 다른데 대부분 전제가 있습니다. 이 전제는 처음에는 모르다가 나중에 밝혀지기도하죠. 그리고 이론의 정확도가 애초에 100%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또 이론대로 예측하기에는 이론에서 요구하는 기본 자료를 현실에서 갖추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애초에 이론이 간소화된 경우도 있고요. 관측결과를 토대로 이론을 만들었기 때문에 예외 상황이 튀어나와서 망가뜨리는 경우도 있고요.(반대로 이론이 지금껏 관측못한 현상을 예측하기도 함)
예를들어 경제학 분야에서 나오는 가정이 합리적인 소비자일 경우 인데, 현실은 그렇지 않죠. 뉴턴의 법칙도 물체의 속도에 제한을 받고, 물질의 크기에 제한을 받죠. 이론이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경우(양자역학이라던가 모집단이 계속 변하거나 균질하지 않은 경우) 애초에 결과가 확률이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너무 다양한 원인이 있고 분야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 피상적인 답변 밖에 못드립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0/03/08 00:05
수정 아이콘
모델링이 현실을 100퍼 구현된 상태에서 전개되지 않아서?
Rorschach
20/03/08 00:32
수정 아이콘
이론이 현실의 변수들을 모두 담지못하기 때문이죠.
20/03/08 00:49
수정 아이콘
반대로 현실을 잘 설명하는 이론도 진실은 사람들이 이론에 맞춰 행동하는걸지도 모르죠 크크크 경제나 주식관련 이론들은 보다보면 이론이 현실을 설명한건지 아니면 이론대로 사람들이 행동해서 맞게 된건지 가끔은 의심이 듭니다 크크
20/03/08 00:55
수정 아이콘
결국 과학이란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입니다. 과학철학에 입문하셔야 이 질문에 대한 어느 정도나마 만족스러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 철학은 이기홍 선생이 번역하신 책들이 좋고 자연과학철학은 아래 책들이 좋습니다. 두 번째 책이 더 심도있습니다. 물론 대형서점에 가서 조금 씩 읽어 보고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것은 같은 번역서를 택하셔도 됩니다.

https://www.amazon.com/Philosophy-Science-Very-Short-Introduction/dp/0198745583
https://www.amazon.com/What-This-Thing-Called-Science/dp/162466038X
타카이
20/03/08 01:10
수정 아이콘
이론과 현실이 다른 이유는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건 통제된 환경(조건) 속에서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현실이 이론에서 상정한 조건을 전부 갖췄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올 수 있죠.
그마저도 신뢰구간 외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구요.
20/03/08 01:22
수정 아이콘
댓글에서 많이들 말씀들 하십니다만

귀납법의 함정 같은 게 있어서 수십만개의 데이터를 추출해서 정립한 이론 그러면 와 되게 정밀하구나 느껴지겠지만 수천억번 반복되면 에러가 날 확률이 생길 수밖에 없으니까요.

그리고 역시 말씀들 하셨습니다만 현실에서 추출이 되었다고는 해도 특정 환경에서의 특정 변인을 자극했을 때의 현실을 추출했을 때 이렇더라는 정도니까요.
여러 다른 환경, 다른 변인들이 투입될수록 이론이 무력해지게 되죠.

또 하나 더 말해보자면 수학으로의 환원 가능성이 있는데요,
수학이건 숫자건 아무튼 현실의 사태들이 숫자 데이터로 깔끔하게 환원이 될수록 혹은 환원이 된다고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간주될수록 변수가 적어요. 건축 같은 거요. 건물 잘 안 무너지잖아요.
반면에 댓글에서 나오는 것처럼 경제학 분야의 경우 아직 많은 변수들이 결코 숫자로 깔끔하게 환원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그래요.

별로 가치는 없는 얘기지만 어떻게 보면 마지막 혹은 최초의 체라고 할 수 있는 논리학 자체도 뭐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야기가 많아서... 현실적으로는 영향이 끼칠 정도로 뭐 그런가 하면 그런 건 없지만요.
20/03/08 09:13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__)...
나이스후니
20/03/08 12:13
수정 아이콘
이론자체가 완벽할수 없으니까요. 예를들어 자동차를 만든다고 하면, 부품을 설계해야하는데, 실제 부품은 이론과는 차이가 있게 나오죠.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100프로 이론과 똑같지는 않습니다. 그렇게 수천개의 부품이 1프로씩만 어긋나도, 생각치 못한 문제가 나오곤 하죠.
우리가 이론을 정할때는 상식선에서 정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할건지 정하기 시작하면 이론을 정할수가 없게 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2942 [질문] 플스타이틀 추천.. 저도 요청해 봅니다! [25] Kaga4057 20/03/10 4057
142941 [질문] 베어본PC 쓸만할까요? [4] 른밸4915 20/03/10 4915
142940 [질문] 요즘 노트북은 엘지나 삼성 어디가 나은가요? [19] 봄바람은살랑살랑5631 20/03/10 5631
142939 [질문] 파리 숙소 추천 가능한 곳 있을까요? [5] LG의심장박용택4779 20/03/10 4779
142938 [질문] 자크 자르반으로 솔랭에서 어떻게 해야하나요? [7] 이부키4193 20/03/10 4193
142937 [질문] 롤 초보입니다 챔피언 추천부탁드립니다 [10] 뜨거운눈물7801 20/03/10 7801
142936 [질문] PC 견적 문의합니다. [4] 삭제됨3689 20/03/10 3689
142935 [질문] 전자담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moonland5888 20/03/10 5888
142934 [질문] 코로나19 확진환자 다녀간 곳 방역비용, 마스크 생산 관련 [4] 레뽀3590 20/03/10 3590
142933 [질문] 넷플릭스 tv로 보는 방법 [11] YX4686 20/03/10 4686
142932 [질문] 5단계완전자율주행이 정착된다면 부동산안정화가 가능할까요? [43] AKbizs4339 20/03/10 4339
142931 [질문] 어머니를 요양원으로 모셔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7] 마지막좀비4006 20/03/10 4006
142930 [질문] 일본의 입국금지 조치에 대한 질문 [5] 더치커피2817 20/03/10 2817
142929 [질문] 파판6, 크로노트리거 같은 SFC에뮬게임은 어떻게하는게 제일 재미있을까요? [12] 콘초4792 20/03/10 4792
142928 [질문] 전세/반전세 조건 고민입니다! [8] 잠이오냐지금2950 20/03/10 2950
142927 [질문] 비디오테이프로 만화보시던 분들께 [14] FLUXUX3518 20/03/10 3518
142926 [질문] 보험설계사의 역할? 보험 청구에 관한 질문입니다. [4] 기억의습작3256 20/03/10 3256
142925 [질문] 80년 초반 분들 항상 피곤하신가요? [29] CastorPollux4297 20/03/10 4297
142923 [질문] 지금 KF95 마스크 생산을 덴탈 마스크로 돌릴 경우, 생산 물량이 얼마나 늘어날 수 있을까요? [5] 체르마트3822 20/03/10 3822
142922 [질문] 캐슬배니아 같은 폰게임 없을까요? 지수2697 20/03/10 2697
142921 [질문] 공매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2] 큐브큐브3597 20/03/10 3597
142920 [질문] 데스크탑 하나 사려고합니다 (미국) [2] 보름달이뜨는밤에3282 20/03/10 3282
142919 [질문] 공기청정기 하나 구매하려합니다 [4] 롯토3866 20/03/10 38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