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11/06 09:35:16
Name 우엉
Subject [질문] 천체망원경 입문용 질문 드립니다. (수정됨)
오래전에 천문대에서 달을 관측했을 때 엄청 감동 받았던 경험이 있었는데
https://m.funshop.co.kr/goods/detail/75173

요 제품이 저렴하게 나온 것 같아서 돈 몇푼으로 달 좀 쳐다 볼까 싶습니다.
그래도 구매하기 전에 혹시나 싶어서 피지알에 질문 올려봅니다.

10만원도 안되는 돈이면 괜찮다.
저것은 그저 패션 망원경일 뿐이다. 아무리 입문이라도 장난감은 비추라던가
한번 사면 몇년 쭉 갖고 놀거 같은데 이왕 사는 거 좀 더 투자하시오 라던가...

다양한 의견 구해봅니다^^

PS - 달이 초저녁에 낮게 뜨는 날을 알 수 있나요? 낮게 떠서 나무와 빌딩과 어우러지는 사진을 찍어보고 싶어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19/11/06 09:43
수정 아이콘
뭐 달정도 볼 레벨이면 너무 좋은건 필요는 없으니 흐음...
19/11/06 09:44
수정 아이콘
저 정도로는 토성 고리 못볼까요?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19/11/06 12:39
수정 아이콘
글쌔요...볼 수 있을거 같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말이죠...클클
FlyingBird
19/11/06 10:01
수정 아이콘
저는 우선 주변 천문대를 한번 가보시거나, 천문 동호회 모임에 참석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빈손으로 가도 엄청 반겨주십니다. 가셔서 다시 한 번 그 감동을 느껴보시고 달 뿐만 아니라 행성, 성단, 성운 등 놀라운 우주 속 보물들을 보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정말 이 취미생활을 계속하실 생각이 있으시면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합니다.
저는 초심자가 사용하기엔 저가형 망원경을 사느니, 쌍안경이 더 낫다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물론 스마트폰 촬영을 생각하시면 어쩔수 없이 망원경이..)
초승달은 음력 5~7일 정도 생각하시면 되고, 일반 달력의 음력날짜만 보셔도 됩니다.
더 구체적인 정보는 한국천문우주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페이지에서 해/달 출몰 시각 페이지(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6)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9/11/06 10:18
수정 아이콘
달이 초저녁에 낮게 보이는 경우는 두 가지. (1) 초저녁에 동쪽에서 떠오르는 직후 (2) 초저녁에 서쪽으로 지기 직전. (1)의 경우에는 보름에 가까울 때이니 음력 15일 경이 될테고...이때는 달이 거의 꽉 차게 보일 겁니다 (2)의 경우는 반대로 음력 1일 전후가 되겠는데 이때는 달이 초승달에 가깝게 보입니다.
고란고란
19/11/06 11:31
수정 아이콘
저건 달만 보기에는 나쁘지 않습니다. 달은 워낙 밝아서요. 근데 달만 보고 말 수는 없잖아요. 몇 번 보면 흥미를 잃으실텐데.
플라잉버드님 댓글대로 천문대 방문 추천드려요. 1박 가능한 데도 찾아보시면 있을 거고, 일반인상대로 별자리 교육해주고, 성운/성단 보여주고 하는 프로그램도 있을거에요.

달은 보름 되기 며칠 전에 해진 후 동쪽 하늘에 낮게 뜨고요, 초승달이 보기에 이쁜데, 음력 2,3일쯤이 적당해요. 해가 진 곳 근처를 잘 보면 보입니다. 플라잉버드님이 말씀하신 음력 5~7일은 이미 반달에 가까워져요.
FlyingBird
19/11/07 05:31
수정 아이콘
초승달 날짜 생각을 잘못했네요. 윗분들 말씀대로 더 일찍이 맞습니다. 요즘 취미생활 안하던거 티나내요 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9256 [질문] 헬린이 질문 좀 드립니다. [9] 에밀리아클라크33523 19/11/07 33523
139255 [질문] 단백질 따로 챙겨드시나요? [6] 드워프는뚜벅뚜벅3582 19/11/07 3582
139254 [질문] 헤드폰 Philips X2HR관련 질문입니다.(덱?,앰프?) [4] 수루룩3568 19/11/07 3568
139253 [질문] 디아블로 2와 3의 평이 크게 갈리는 이유가 뭔가요? [42] 던져진9763 19/11/07 9763
139252 [질문] 컴퓨터 견적 최종본입니다. 이대로 가도 될까요?? [4] 도시의미학3963 19/11/07 3963
139251 [질문] 컴퓨터 견적 이륙 허가 요청 드리옵니다!! [최종본] [19] 신류진5475 19/11/07 5475
139250 [질문] 엑셀 함수 질문입니다. [3] possible3104 19/11/07 3104
139249 [질문] 업무용 모니터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밸런스3277 19/11/07 3277
139248 [질문] 게임 타이틀 주로 어떻게 구매하시나요 [11] 쌍무지개4332 19/11/07 4332
139247 [질문] 보통 컴퓨터 수리를 맡기면 기존 부품을 돌려주지 않나요? [9] 세종3612 19/11/07 3612
139245 [질문] 드라마 추천해주세요.. [18] 도널드 트럼프3573 19/11/07 3573
139244 [질문] [lol] 롤 하시는분들 이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43] 치토스3357 19/11/07 3357
139243 [질문] 사무용 의자 및 아이템 추천받습니다. [2] moqq3827 19/11/07 3827
139242 [질문] 김치냉장고 과일보관모드에 쌀을 보관해도 괜찮을까요? [4] 나를찾아서3880 19/11/07 3880
139241 [질문] 모뎀 & 공유기 질문입니다. [1] 하루아빠2970 19/11/07 2970
139240 [질문] 직장인 정신과상담 [7] Todbecool3513 19/11/07 3513
139239 [질문] 영화 개봉 정보를 가장 빨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3] Healing2968 19/11/07 2968
139238 [질문] 태명 아이디어 공모해 봅니다~ [26] 총알인생3609 19/11/07 3609
139237 [질문] 미국이었다면 프듀 제작진/CJ 는 어떤 소송을...?! [4] 유재석3420 19/11/07 3420
139236 [질문] 카드배틀 게임방송에서 쓰는 일본어 질문. [4] 쿠라2686 19/11/07 2686
139235 [질문] 영어회화 스터디는 어떻게 참여하나요? [3] 블루레인코트3224 19/11/07 3224
139234 [질문] 강남역에 가시면 무엇을드십니까?? [13] 차기백수4422 19/11/07 4422
139233 [질문] 프로젝터빔 구입 관련 [3] InoriLee3982 19/11/07 39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