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9/22 13:45:42
Name 플레스트린
Subject [질문] 2010년작 크리스천 베일 주연 영화 파이터 보신분께 질문드립니다. (스포일러) (수정됨)
실화를 소재로 한 복싱영화로 알고 있는데요. 스토리도 실제 선수의 인생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영화 내 묘사와 실제 사실이 매치가 안되는 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작중에서 주인공 미키 워드는 초반부에 좋아하는 술집 여직원에게 '져주고 돈받는다며?' 같은 소리를 듣기도 하는 등 커리어가 별로인 것처럼 묘사됩니다. 이 부분은 자막의 오역일 가능성도 있네요. 대본에는 패배가 직접 명시된 건 아닌데 자막에 대놓고 졌다고 적어버리니... 영어 대본도 옮겨볼게요.

CHARLENE
(works, not looking)
I heard you're a steppin' stone. / 난 니가 디딤돌이라고 들었는데 <- 여기서 디딤돌은 1승용 떡밥선수겠죠?

MICKY
A steppin' stone?! I'm no steppin'  stone. / 디딤돌? 난 디딤돌 아냐.

CHARLENE
(finally turns and looks)
The guy -- they use -- against other fighters to move the other fighters up. / 다른 선수들 전적 높여주는 용도로 쓰인다는데.

MICKY
Maybe I had a few -- tough fights, but that's not who I am. / 몇번 힘든 경기를 하긴 했지만, 그땐 진짜 내 모습이 아니었어.
Next's gonna show who I am. / 다음 경기엔 진짜 실력을 보여줄게.


이 대화 후 다음 경기인 먼진 전에서 체급 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미키가 지게 되죠.

그런데 복싱통계 사이트에서 커리어를 찾아보니 먼진 전 패배 전까지 미키 워드는 18승 1패였는데요, 이정도면 상당히 준수한 전적 아닌가요?

https://boxrec.com/en/proboxer/3603

위 사이트 통계를 보면 87년에 딱 한번 졌고 그 뒤로 4연승이라 영화 내 대사처럼 이선수와 패배를 연결시킬 근거가 전혀 안보입니다. 물론 18승 중 대부분의 승리가 부실한 커리어의 선수들을 잡아먹은 양민학살이고 중요도가 낮은 경기들인 듯 하지만 그래도 진 적은 없지 않습니까? 통계에 안잡히는 다크매치라도 뛴걸까 생각해봐도 그럴 만한 시간적 공백이 없습니다.

격투계에서 떡밥용 선수란 최홍만이 이겼던 아케보노같이 아예 격투 베이스가 없는 선수, 혹은 무명의 신인, 말년의 추성훈처럼 네임밸류는 있으나 폼이 떨어진 선수 같이 이기라고 내주는 선수 아닙니까? 그런데 영화 시점에서 딱 1번 있었던 미키 워드의 패배 경기는 당시 21승 7패의 Edwin Curet이란 선수와 한 경기인데요. 이 선수는 미키 워드와의 경기 전에 2연패 중이었습니다.

중상위 랭커가 2연패하면 올라오라고 떡밥을 줄 법하긴 한데 10연승 넘게 하던 유망주를 떡밥이라고 하진 않지 않나요? 그냥 서로에게 해볼만한 매치 아닙니까. 이게 떡밥이라고 쳐도 딱 1번뿐이구요. 도저히 여주인공의 대사처럼 넌 다른 선수들 포션, 떡밥으로 유명하다더라 소리가 나올 커리어는 아닌 것 같습니다.

떡밥임을 강조하는 대사는 주인공의 빈곤하고 어려운 처지를 강조하기 위한 과장인 것일까요? 언더독으로 만들려고? 근데 영화 만듬새를 보면 굉장히 사실주의적인 톤이고 실존인물들을 그대로 따왔기 때문에 이렇게까지 현실에 안맞는 극적 각색을 할 필요가 보이지 않습니다.

물론 장르가 다큐멘터리가 아닌 이상 실제 역사를 그대로 갖다붙일 필요까진 없겠죠. 영화의 특성도 복싱 자체나 주인공보다는 주인공의 가족들에게서 재미를 뽑아내고 있기도 하고요.

그래도 존재하지 않는 패배를 강조할 필요까진 없어보이는데. 가족들의 겐세이로 인생은 거지같지만 그래도 복싱 하나만큼은 소질이 있었던 청년이 2번째 패배를 맞이하면서 인생이 더 꼬이기 시작했다... 정도로 묘사해도 괜찮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미키 워드란 선수가 굉장히 유명한 선수로 알고 있습니다. 이 선수를 알만한 사람들은 이렇게 틀린 사실이 초반부부터 나오면 신경쓰이지 않을까요?

영화가 편하게 가자는 마인드로 각색한 것일까요? 아니면 통계에 잡히지 않은 패배, 혹은 스파링이라도 묘사한 것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미키 워드가 이기긴 많이 이겼지만 실제로 떡밥으로 볼만한 건덕지가 있는 건가요.

이 영화나 복싱에 대해 잘 아시는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7843 [질문] 교통사고 합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5] 보로미어3451 19/09/24 3451
137842 [질문] (건강) 옆으로 자다가 경동맥 등의 혈류가 막힐 수 있나요 [4] 인생은서른부터3147 19/09/24 3147
137839 [질문] 롤드컵 조편성 중계 하는 곳 있나요? [9] 오늘보다 나은 내일3009 19/09/23 3009
137838 [질문] 옛날 노래를 찾습니다 [5] 도축하는 개장수3138 19/09/23 3138
137837 [질문] 남자 1km 몇분만에 뛰어야 잘뛰는건가요? [21] 레너블83549 19/09/23 83549
137836 [질문] 광주 회갑잔치 식당 추천부탁드립니다 [2] 줄리엣3042 19/09/23 3042
137835 [질문] 교통 속도위반은 잘 안 걸리나요? [15] 메이진4262 19/09/23 4262
137833 [질문] 애플워치 고민입니다. [6] ofpower3659 19/09/23 3659
137832 [질문] 글을 찾습니다. [2] 예혁2499 19/09/23 2499
137829 [질문] 직장동료와 엄청 친한 분 있으신가요? [17] 삭제됨8911 19/09/23 8911
137828 [질문] 스테로이드 부작용에서 벗어나는 법?(성분 빼기?) 있나요? [6] wook983308 19/09/23 3308
137827 [질문] 선상 쭈꾸미 낚시 잘 아시는분 낚시대 추천좀 해주세요 [3] 뽕뽕이3190 19/09/23 3190
137826 [질문] 양재역 점심식사 추천부탁드려요! [4] 교자만두4340 19/09/23 4340
137825 [질문] 오버사이즈 티셔츠 브랜드 질문입니다. [1] 아이시스 8.02695 19/09/23 2695
137824 [질문] 반전이 기가 막힌 추리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36] 인혜86831 19/09/23 6831
137823 [질문] 엑셀 관련 질문입니다. [2] OnlyJustForYou2646 19/09/23 2646
137822 [질문] 폰트를 찾아주세요.. [2] brothers2170 19/09/23 2170
137821 [질문] 듀얼모니터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슬라임3217 19/09/23 3217
137820 [질문] 남자 150~250 시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사이시옷5026 19/09/23 5026
137819 [질문] 영어단어 질문입니다. [5] No.102842 19/09/23 2842
137818 [질문] PC 모니터 구입 조언 구합니다. [6] 콩심는한예슬3794 19/09/23 3794
137817 [질문] 롤 랭크게임에 대한 질문입니다. [6] 종이컵5356 19/09/23 5356
137816 [질문] 사무실 저소음 키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Secundo3884 19/09/23 38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