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9/08 21:03:06
Name 개념적 문제
Subject [질문] 음치가 극복 가능한가요…? (수정됨)
노래를 엄청 못불러서 친한 친구들 아니면 같이 노래방에 가지도 않는 사람입니다 흑흑

집 근처에 코인 노래방이 생겨서 연습해보려는데 연습하면 노래가 늘까요? 멋도 모르니 걍 많이 불러볼 생각입니다.
많은 것도 안바라고 그냥 노래방 갔을 때 쪽만 안 팔 정도로 늘었으면 좋겠어요...

덧. 노래부를 때 팁 같은거 있으면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지영
19/09/08 21:08
수정 아이콘
음치 중에서 상위 3%정도는 극복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나머지는 평범하게 부르는 수준까지는 충분히 극복 된다고 하고요.
노래방 팁은 자기 음역대에 맞는 노래를 고르거나, 자기가 좋아하는 노래를 얼마나 음정을 낮춰야 좋은지 파악하시면 좋습니다
-PgR-매니아
19/09/08 21:10
수정 아이콘
혼코노 10년째 다니고 있습니다....저는 음치...까지는 아니였는데 친구, 회사동료들하고 가면 노래잘한다라는 소리는 들었습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리모콘에 '음표표시'라고 있는데 그거 키면 음표까지 나와서 음정맞추기가 더 쉽습니다
동방불패
19/09/08 21:29
수정 아이콘
저는.. 동전노래방 혼자가면 항상 녹음을.. 해요.
집에가서 자기전이나.. 청소하면서 듣다가.. 이 부분이 이상하구나! 여길 왜이렇게 불렀지! 고음이.. 이건 뭐 돼지 멱따는 소리도 아니고..크크;;
..이런저런 생각하면서.. 다음에는 여길 이렇게 불러야겠다..등등 미리 생각해 둡니다.. 뭐..어차피 생각대로 안되긴해도...
오랫동안 하다보니.. 뭐 조금은.. 늘은것 같긴한데..흐흐
저도 윗 분처럼 리모컨 '악보' 누르고 불러요. 그게 음정 박자 맞추기 편하더군요.
에베레스트
19/09/08 21:35
수정 아이콘
제가 엄청난 음치입니다. 학창시절에 학교에서 제일 노래 못하기로 유명했습니다. 음악 가창실기가 가장 싫었구요. 근데 대학가서 처음 사귄 여친이 노래방을 엄청 좋아해서 일주일에 2번씩 가고 그랬습니다. 그렇게 다니다 보니 제가 그럭저럭 부를수 있는 노래들을 찾게 되더군요. 지금도 음치인데 노래방가면 그정도 소리는 안 들을 수는 있는 노래 몇곡은 있습니다. 오랜만에 만난 초딩때 친구들이랑 노래방가면 다들 놀랍니다. 많이 가서 많이 부르다보면 찾게됩니다.
솔로14년차
19/09/08 21:44
수정 아이콘
음치를 벗어나는 건 음정과 박자를 맞추는 겁니다. 아주 정확하게 맞출 것까지는 없고 적당하게 맞으면 '음치'는 탈출 할 수 있죠.
음치를 벗어난 다음에 '노래를 잘 부르는' 단계는 음정과 박자가 아니라 발성과 호흡입니다. 친구들 사이에서도 노래를 잘 부른다 싶은 친구는 다른 친구보다 발성이 낫습니다.

음정과 박자를 맞추는 연습을 하기에는 반주소리가 큰 노래방은 부적절하지만, 도시에서 살면서 노래방이 아니고서야 노래를 부를만한 공간은 거의 없긴 하죠. 그래도 가능하다면 멜로디 정도만 나오는 소리에 혼자 노래를 부를만한 공간을 찾아서 연습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StayAway
19/09/08 21:54
수정 아이콘
종류에 상관없이 악기를 하나 정도 하시면 상당히 도움이 되실겁니다.
윗분 말씀대로 음정과 박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죠.
김유라
19/09/08 22:03
수정 아이콘
선천적으로 음정 구분을 아예 못하는 케이스(도레미를 도도도로 발성하는 경우) 아니면 모두 극복 가능합니다.
19/09/08 22:20
수정 아이콘
1. 듣는 귀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는 못 고쳐요. 그외엔 노력으로 나아질 수 있다고 봅니다.

2. 음역이 넓지 않고 리듬이나 멜로디가 복잡하지 않은 노래 위주로 연습하면 나아질것 같아요.
19/09/08 22:26
수정 아이콘
1. 네
2. 혼자서 많이 부르는걸로는 절대 안되요. 녹음하고 리뷰를 하던가 누군가의 코칭을 받아야 합니다. 음치가 음치처럼 부르는건 본인이 틀린걸 인지를 못하고 있는거기 때문에... 혼자 백날 부르기만 해서는 안됩니다.
작은마음
19/09/09 09:11
수정 아이콘
저도 많이 음치였는데 쉽고 본인에 맞는 노래 하나를 파면
그 비슷한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되고
그러면서 부를수 있는 노래가 늘어나는 기적이 열립니다
그래도 높낮이가 많은 노래나 새로운 노래는 다시 음치가 되는 ㅠ
19/09/09 10:19
수정 아이콘
다른 분들도 많이 써 주셨지만
기본적으로 노래를 다양하게 많이 들어야 돼요. 집중해서도 들어야 되고.
여러 가지 노래 가운데서 자기가 할 수 있겠다 싶은 노래 재미있겠다 싶은 노래를 많이 불러보고,
집에 와서 자기가 부른 노래를 들어도 되지만 가수가 부른 원본을 다시 들어보면서 아 이게 이렇군 생각해 보고 다시 가서 불러보고 이런 걸 반복하고.

그렇기 때문에 자기랑 맞는다 좋아한다 하고 싶다 하기 쉽다 이런 가수를 찾아야 해요. 그 가수의 느낌이나 스타일을 어느 정도 따오는 걸 목표 삼아서 소리를 그려가는 게 편하구요. 가수들도 초창기에 자기가 좋아해서 그 스타일을 따오는 가수들 많으니까요.

그런데 그렇다 하더라도 너무 과하게 따오는 것도 듣기 싫어지면 무리가 있죠. 노래방 수준에서는 그냥 내가 부르기 편하고 남도 듣기 편한 게 최고예요. 기복 없고 쉬운 노래를 먼저 찾는 것도 좋죠. 평탄한 노래 몇 개 찾아서 발성 편하게 하고, 목소리도 되도록이면 과도하게 꺾인다거나 울렁거린다거나 거슬리지 않고 예쁘게 하고, 이 정도만 해도 괜찮죠.

투트랙 전술로 가는 게 괜찮을 거예요 노래 자체에 기복이 적고 편한 발성 편한 음역대의 노래 몇 개, 그리고 나랑 맞거나 내가 따라가고 싶은 가수 몇 사람.
툼레이더
19/09/09 11:42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난 음치였는데, 노래방이 세상에서 가장 싫은 장소였을 정도로요
고등학교때 친한 친구가 노래를 엄청 잘했어서 같이 오락실 다니다가 몇 번 코인방에 끌려 들어갔어요
그때 친구가 한 얘기가
"음정, 박자 뭐 하나 맞지가 않는다 일단 음정, 박자, 멜로디가 저절로 머리에서 재생이 되게 노래를 많이 듣고 많이 불러봐라"고 해서
그대로 몇 달을 했더니 신기하게 음정, 박자는 얼추 맞아 들어가더군요
그리고 나서는 재밌어서 코노를 자주 갔더니 점점 고음역대도 어느 정도 소화 가능한 말 그대로 평벙한 수준까지는 가더군요
물론 쌩목으로 부르는거긴 하지만 일반인이 뭐 그런거 구지 따질 필요는 없으니까요^^
아무튼 제 케이스가 일반적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리 특별한 케이스는 아닐거라 생각하니 어느 정도 음치를 고치는건 가능하다 생각합니다.
개념적 문제
19/09/10 09:15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7387 [질문] 112 문자 신고 후 처리 확인 방법이 궁금합니다 [4] 튜브2464 19/09/09 2464
137386 [질문] 전화 걸기 확인 어플이 다 사라진 건가요? 빠독이4038 19/09/09 4038
137385 [질문] [눈마새] 그 질문 맞습니다 [9] Cand3854 19/09/09 3854
137384 [질문] 금주 하시는 분들 식욕이 살아나나요? [8] CastorPollux3670 19/09/09 3670
137383 [질문] 쓸때없는 질문 드립니다! [4] 잠이오냐지금2267 19/09/09 2267
137382 [질문] 유튜브 광고 수익에 대한 질문. [4] 렌야2715 19/09/09 2715
137381 [질문] 롤 승급전 질문입니다. [6] 웬디4304 19/09/09 4304
137380 [질문] 어깨충돌증후군 치료 문의 [4] 아이시스 8.02933 19/09/09 2933
137379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8] 러블세가족3746 19/09/09 3746
137378 [질문] 이탈리아 남부여행 질문있습니다! [16] 무새3365 19/09/09 3365
137377 [질문] 손목터널 오는거같은데 버티컬마우스로 게임하시는분 있나요? [8] DSlayer11611 19/09/09 11611
137376 [질문] 혹시 사진을 찍고 사진에 메모 기능 붙이는? 어플이 있나요? [2] 버티면나아지려나2449 19/09/09 2449
137375 [질문] 컴퓨터 견적 확인 요청드립니다 [2] 그리드2813 19/09/09 2813
137374 [질문] 네이버 북마크로 모아놓은 것들을 pdf로 변환하고 싶은데요 [2] 삭제됨2505 19/09/09 2505
137373 [질문] PC사망했습니다ㅠ 견적요청드립니다. [15] 물여우3631 19/09/09 3631
137372 [질문] 용산에서 그래픽카드 구매하는법 [9] 분당선4730 19/09/09 4730
137371 [질문] 어머니 칼슘보충제 추천좀 해주세요 [1] 스핔스핔3338 19/09/09 3338
137370 [질문] 살 빠지는 다이어트 한약이 있다던데 어떤가요? [24] will4618 19/09/09 4618
137369 [질문] 램은 반드시 짝수가 좋은건가요? [5] 다크템플러5772 19/09/09 5772
137368 [질문] 조반월(손톱밑 하얀부분)에 대해 잘아시는 분 있나요? Quantum213365 19/09/09 3365
137367 [질문] 오버워치 리그 시청자 입문해보고 싶습니다 [6] Secundo2909 19/09/09 2909
137366 [질문] PC고장(전원 안들어옴) 테스트 및 교체문의 [1] 피아칼라이2524 19/09/09 2524
137365 [질문] 렌즈 삽입술 (ICL) 수술하신 분들 계신가요? 35살에 해도 괜찮나요? [8] LG의심장박용택3652 19/09/09 36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