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8/23 20:36:42
Name 개념적 문제
Subject [질문] 인생에서 개인의 노력은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물론 개인이 속한 사회적 환경에 따라 노력이 가지는 영향력이 달리질 수 있지만, 한국사회에서의 영향력으로 한정한다면 노력의 역할은 어느정도 될까요?

저는 개인이 타고날 때 선택할 수 없는 것들, 가령 지역이나 시대적 배경, 부모의 재력과 부모의 인성, 개인의 재능, 외모, 성격 등의 역할이 적어도 7할에서 8할은 되고 개인이 후천적 노력으로 극복하거나 결정되는 것은 2할에서 3할에 불가하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너무 부정적인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storPollux
19/08/23 20:42
수정 아이콘
요즘 시대에는 진짜 극한으로 끌어도 5할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19/08/23 20:47
수정 아이콘
타고난게 많을 수록 노력의 영향이 더 커집니다
리리컬 매지컬
19/08/23 20:47
수정 아이콘
전 운칠기삼이라고 생각하고요, 단순히 태어날때 가지고 태어난것뿐 아니라 인생을 살면서도 솔직히 시운이
최소 절반이상 제 생각으로는 70%은 먹고들어간다고 봅니다. 똑같이 비슷하게 노력하고 비슷하게 살아도
별거아닌 시운 한두개로 확 갈리는경우 정말 많이 봤어요.
In The Long Run
19/08/23 20:49
수정 아이콘
요즘은 자유의지 그딴거 없고 인간도 주변 환경과 자극에 반응하는 정밀로봇에 불과하다는게 대세아닌가요? 1할 미만이죠.
19/08/23 20:56
수정 아이콘
범인의 입장에서 비범했던 친구를 지켜보면 운이 9할은 되는 것 같은데..
qpskqwoksaqkpsq
19/08/23 21:03
수정 아이콘
안하면 0인데 어차피 노력이라는것도 유전자와 환경으로 결정되는거라 굳이 노력와 재능을 구분할필요가 있나 싶네요
그리고 정말 안좋은 환경에서도 노력만으로 성공할수 있냐는 질문이면, 자기 혼자 먹고살기는 무조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부양가족 다 포기하면요
잠이온다
19/08/23 21:06
수정 아이콘
성공의 기준이 어디냐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자기몸 하나 건사하는 것은 운의 요소가 그렇게 크다고 생각되지는 않지만, 크게 성공하는 것은 아무리 잘나고 능력이 좋아도 운의 요소가 어마어마하게 커질 것 같거든요. 크게 성공하려면 운,실력 모두 필요한데 예능같이 승자 독식 사회를 보면 운이 70%이상 간다고 생각해요.
19/08/23 21:33
수정 아이콘
어쨌든 본인이.가진것중에는 가장 큰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바램
19/08/23 21:35
수정 아이콘
2~3할 정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삶에서 통제 가능한 것도 그것 뿐이죠.
달달한고양이
19/08/23 21:36
수정 아이콘
(아주 몹시 심하게) 케바케인 문제지만 노력으로 극복 안되니 난 안돼 하고 사는 것보다는 그래도 할 수 있는 걸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사는 게 의미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환경적인 면에선 나름 열심히 노력해서 극복했다고 생각하지만 그 노력할 수 있는 성향(?)을 타고 난 거다 하고 하면 또 애매해지기 때문에...
19/08/23 21:37
수정 아이콘
노력안하면 포텐이 안터집니다. 포텐없으면 노력하나 마나긴 합니다만..
노력 아예 안하면 숨쉬는거 말고 되는거 없습니다.
은때까치
19/08/23 21:45
수정 아이콘
이게 +는 한계가 있는데 -는 한계가 없지 않나요?
그래서 저는 100%라고 생각합니다.
Rorschach
19/08/23 21:56
수정 아이콘
전 유전적 요인 포함해서 미리 정해지는건 최대치이고 노력은 그 최대치까지 도달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페로몬아돌
19/08/23 22:19
수정 아이콘
일단 공부의 노력은 크게 인생에서 안 미치는것 같아요.
공부 제일 잘하던 친구가 고시 낭인 백수 노총각이고, 공부 젤 안하던 공고 나온 친구가 현차에서 돈 잘 벌고 장가도 좋은 와이프 만나서 잘 간거 보면...
백검유
19/08/23 22:42
수정 아이콘
어디까지가 노력이고 어디까지가 타고난 건지 딱 잘라서 구분할 수 없으니, 따져묻는게 무의미하다고 생각해요.
박현준
19/08/23 23:13
수정 아이콘
100프로 영향을 미치죠. 논지가 이해가 잘 안 가는데. 열거하신 조건들을 매우 안 좋게 태어난 사람이. 노력한다 vs 노력 안한다 로 비교하면 후자는 말 그대로 노답이고. 전자의 경우는 높은 확률로 매우 만족스러운 삶을 살겠죠.
19/08/23 23:30
수정 아이콘
일단 노력을 하지 않고 노력의 결과물을 논하는게 무의미하다는 것 자체에서 이미 노력이 얼마나 큰 가치가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봅니다.
누구 말마따나 인생에 아무리 개판 같은 환경이라도 거기서 조금이라도 벗어날 기회가 3번은 온다는데,
그 기회를 잡느냐 못 잡느냐가 노력을 해왔는가에 달렸다고 봅니다.
미카엘
19/08/23 23:56
수정 아이콘
운이 전부라고 생각합니다. 노력이라는 것도 능력이고, 그 능력도 타고나는 운이라고 여겨서요.
19/08/23 23:57
수정 아이콘
당연하지만 단순히 노력했다고 해서 최고수준까지 포텐이 터지지는 않는거 같구요.
그래도 높은 수준까지 도달할 수는 있다고 봅니다만....

그 노력 조차 사실 하기 힘들죠..사람이라는게 이것저것에 너무 휘둘리니..
칸나바롱
19/08/24 00:08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난것 조차 이미 운은 다쓴거라고 봐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19/08/24 01:01
수정 아이콘
재능이 몇프로고 운이 몇프로고 따질 필요가 없는게

어차피 우리가 할 수 있는건 노력밖에 없습니다.
샤를마뉴
19/08/24 06:59
수정 아이콘
그런 마음가짐으로 살면 그렇게 살아지겠죠
19/08/24 08:50
수정 아이콘
90% 이상이라 봅니다
cluefake
19/08/24 09:37
수정 아이콘
별로 못 미칩니다. 머리 좋은 놈이 한 두시간 쓱 보는 걸로 안 좋은 녀석이 일이년 낑낑대던 성과를 제칠 수도 있지요.
일반적으로 동일업종의 남들이 하는 만큼만 한다고 가정하면 거의 의미가 없구요. 그 이상의 노력을 해도 차이 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노력을 아예 안하면 결과가 안 나온다고 그러는데 평균과 비교해서 거의 제로에 가까운 노력을 해도 꽤 괜찮은 성과가 나올 수도 있지요 그친구 최대치는 한참 못 미치겠지만.
남들만치만 노력하면 그 이후는 거의 백퍼센트 운이죠.
지구사랑
19/08/24 10:25
수정 아이콘
성공의 크기로 어느 정도를 보느냐에 따라 다를텐데, 클수록 운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비율상 운의 역할이 크다는 거지, 노력의 절대치가 줄어든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즉, 할 수 있는 것은 다 한 상태에서, 운이 결정적이 되는 것이지,
필요한 노력을 채우지 못하면 로또 같은 것 말고는 애당초 입구컷이겠죠.
다만, 열심히 한다고 해서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열심히보다는 현명하게가 더 중요하죠.
물론, 둘 간의 차이를 아는 것도 재능이니, 결국 큰 의미에서는 운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The)UnderTaker
19/08/24 10:42
수정 아이콘
10퍼센트요
티모대위
19/08/24 10:56
수정 아이콘
인생 성공의 기준에 따라 다르죠.
대통령 급의 엄청난 인물이 돼야 최고의 성공이라고 친다면 개인의 노력은 10%정도도 안되는 영향을 미칠거고
먹고 사는 문제 걱정 없이 가족들과 함께 물질적/관계적으로 아주 편안한 삶을 사는 정도로 충분하다면 개인의 노력은 80%이상 작용하죠.

살다보며 느낀건... 사람은 생각 이상으로 자기 최선을 다하지 못합니다. 진짜 온 힘을 다해 사는 사람은 어떻게든 풀리더라고요.
srwmania
19/08/25 10:20
수정 아이콘
부모 잘 만나서 신나게 먹고 노는 인생 뭐 이런 것과 비교를 해서 그렇지, 그냥 노력이 전부 다입니다.
특정 분야의 상위 1% 이내로 들어가겠다는게 아닌 이상, 5% 전후는 노력만 하면 성취할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댓글을 보면서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군요.
불굴의토스
19/08/25 10:51
수정 아이콘
저도 공감합니다.
80%정도 이상이라고 봅니다.
19/08/26 13:50
수정 아이콘
전 운이 전부라고 생각
진주삼촌
19/08/30 08:28
수정 아이콘
올라가는건 한계가 있겠지만 떨어지는건 끝이 없죠.
떨어지지않으려면 노력이 100%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838 [질문] 롤 랭크게임 내에서의 타인을 욕하는 심리 질문 [14] 고블린점퍼케이블3529 19/08/25 3529
136837 [질문] 조국만큼 시끄러운 장관후보자 임명 전례가 있나요? [15] Treenic4259 19/08/25 4259
136836 [질문] 전세계약 질문입니다. [1] EPerShare2561 19/08/25 2561
136835 [질문] 이번 롤토체스 메타에 아예 적응을 못하고 있습니다. [4] 내꿈은퇴사왕3661 19/08/25 3661
136834 [질문] GPU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6] woocho2636 19/08/25 2636
136833 [질문] 윈도우 10 작업표시줄 및 시작/알림센터 색깔이 멋대로 바뀌었습니다. [2] 독수리의습격5011 19/08/25 5011
136832 [질문] 오늘 아침에 pgr21 이상했었나요? [14] 비익조3504 19/08/25 3504
136831 [질문] 장거리 연애(주말부부) [25] Autumn8082 19/08/25 8082
136830 [질문] 목제 방문에 페인트를 칠할 예정인데 파손된 부분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3] Hastalavista2371 19/08/25 2371
136829 [질문] 조일장 유영진 사건이 뭔가요? [11] 안경5806 19/08/25 5806
136828 [질문] 아이폰 리퍼 질문입니다. [5] 모랄레스중위2511 19/08/24 2511
136827 [질문] 서울에 자동차 게임 전문점 없을까요? [2] 물리쟁이2509 19/08/24 2509
136826 [질문] 영어 질문입니다,all countries ,countries all 두개가 차이가 있나요?? [3] 메모장시인2273 19/08/24 2273
136825 [질문] 소형 냉장고 고장으로 콘덴서 교체를 했는데요. bonee3490 19/08/24 3490
136824 [질문] 육회 냉동보관했다가 다시 꺼내서 먹어도 괜찮은가요? [8] empty31316 19/08/24 31316
136823 [질문] 거실에서 쓸만한 조그만 식탁 있을까요? [2] 니나노나2329 19/08/24 2329
136822 [질문] 여자친구와 같이 할 스팀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찬양자6988 19/08/24 6988
136821 [질문] 보디빌딩식 운동방법이 따로 있는게 맞는 걸까요? [15] Tyler Durden5023 19/08/24 5023
136820 [질문] 백색가전류는 LG 삼성이 전세계에서 기술력이 제일 좋나요? [25] Haro5605 19/08/24 5605
136819 [질문] 은행원 카드실적 문의 드립니다 [4] rebel122860 19/08/24 2860
136818 [질문] 자급제폰 중 가성비 좋은 국산폰은 뭔가요? [7] will4829 19/08/24 4829
136817 [질문] 자영업자 폐업 관련 질문드립니다. [11] BloodDarkFire3658 19/08/24 3658
136815 [질문] 이어폰 수리하는 곳 있을까요? (서울, 경기) [4] 니나노나2499 19/08/24 24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