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8/20 19:47:26
Name 똘빼
File #1 Screenshot_2019_08_20_19_45_52_192_com.kakao.talk.png (140.8 KB), Download : 19
File #2 IMG_20190820_213542.jpg (211.4 KB), Download : 3
Subject [질문] (수정)개인 종신연금을 가입하려 합니다. (수정됨)




현재 30대초반 남성입니다.

개인사업자 겸 법인직원이구요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대비가 불안하다 느껴서 개인종신연금을 가입하려 합니다. (월 34만원까지는 소득공제가 된다더군요)

아무래도 제가 개인사업자다보니까 몇살까지 일할수 있을지도 불투명하고, 노년의 삶은 더더욱 불투명한데.

개인연금을 드는게 안정적인 노후대비를 위한 최선의 선택일지 한번더 피지알 님들의 조언을 구해봅니다.

(참고로, 중도해지될 일은 아마 없지 않을까싶습니다. 제가 지금부터 5~10년정도만 더 일하면 연금납입액을 모을 수 있을 듯 한데, 연금에 넣을 돈은 안정적인 통장으로 따로 관리하려구요.)


<수정>
피지알러님들덕에 연금저축보험은 피해야겠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하나금융에 들어가서, 해외기반의 안정적인 연금저축펀드를 검색해보니 추천상품으로 2번째 그림파일의 상품이 나오네요. 이런류의 상품을 가입하면 될런지요?

(무지한 중생을 도와주셔서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트네르아
19/08/20 20:18
수정 아이콘
확실하진 않은데 연금저축보험같은데 맞나요? 연금저축펀드로 가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19/08/20 20:22
수정 아이콘
네 연금저축보험 맞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연금저축펀드는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저축신탁과는 달리 원금보장과 예금자보호가 안된다는것때문에 망설여지게되네요. 사실 제 성격과도 관계가 깊은데, '미래의 안정'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도 크거든요. 연금저축펀드도 안정적일까요?
트네르아
19/08/20 20:26
수정 아이콘
변동성은 훨씬 큽니다. 마이너스 날 구간도 많겠죠? 하지만 연금이라는건 기본적으로 장기투자가 보장되어있기에 해외주식 기반의 펀드가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상향을 믿고 기다리실 수 있다면 펀드가 훨씬 좋다고 봐요. 그리고 연금저축보험도 사업비가...
19/08/20 21:2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다시 고민해봐야 할 듯 합니다. 해외주식기반의 펀드.
19/08/20 21:41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합니다. 원글을 수정했습니다. 수수료=보수(0.71%) 개념이 맞는거겠죠?
트네르아
19/08/20 22:11
수정 아이콘
네. 우선 은행/오프라인 금융사들은 수수료가 높으니 글에서 보듯이 키움이나 펀드슈퍼마켓(이름 바뀌었는데 기억이...) 사용하시길 추천드려요. 펀드들도 몇개 추천 드리고 싶은데 이건 사실 본인이 믿어야하는 부분이라.. 공부하시고 원하시는 펀드 고르세요.
19/08/21 00:23
수정 아이콘
펀드 추천해주실 만한 상품 있으시면 좀 부탁드립니다...부담갖지마시구요!!
19/08/20 21:02
수정 아이콘
[사업비]라는것이 무엇인지 아신다면 들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19/08/20 21:21
수정 아이콘
사업비 개념을 검색해보고 알았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은 이런 단점이 있었네요...
19/08/21 00:57
수정 아이콘
레이달리오 4계절 포트폴리오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트네르아
19/08/21 13:27
수정 아이콘
한국 펀드로 불가능하지 않나요..? 뭐 비슷하겐 되겠지만....
19/08/21 15:36
수정 아이콘
식견을 넓히고 갑니다...! 재테크의 세계는 정말 알면 알수록 묘하네요
19/08/21 05:57
수정 아이콘
30년후에 매년 천만원이면 한달에 80만원꼴인데...

30년후에 매달 80만원이 도움이 될까요??
제가 알기로 물가가 8년마다 두배씩 뛴다고 들었는데...
19/08/21 07:58
수정 아이콘
본인이 8년마다 재산을 두배로 뿔리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괜찮아 보입니다.
19/08/21 09:20
수정 아이콘
30년뒤에 물가가 대충잡아 10배라고만 쳐도

현재 34만원부어서 30년후에 8만원 받는꼴인데요...
Phlying Dolphin
19/08/21 11:11
수정 아이콘
8년마다 2배는 인플레이션이 심하네요... 1.03^30=2.4배 정도로 하시죠. 그러면 똑같은 돈이겠네요.
19/08/21 13:29
수정 아이콘
그냥 30년전 물가를 생각해보시죠
19/08/21 12:44
수정 아이콘
아랫분이 인플레 높게 잡으신거 는 말씀하셨으니 넘어가고
제 이야기은 금액이 적네 마네의 이야기가 아니라
어차피 가만 냅두면 금액 그대로라는 거는 아실꺼고
투자를 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10만원 넣고 8년후에 두배 만들려면 복리로 년 9프로대는 먹어야 합니다. 이런 투자처가 있나는 말이었습니다
19/08/21 15:38
수정 아이콘
모두 일리있는 말씀입니다. (1)물가상승률을 따라잡을 (2)안정적인 투자처를 찾기가 어려운걸로 알고 있어서...일단은 '연금저축'의 이름을 달고 있는 상품들 내에서만 보려합니다. 감사합니다.
19/08/21 08:04
수정 아이콘
위에분들은 펀드를 추천하지만 전 저축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펀드는 보험보다 좀더 위험성이 있고 예금자 보호도 안됩니다.
사업비가 걱정 되시면 예를 들면 40넣으실 생각이시면 20만 넣고 20은 추가납입하면 사업비는 20에 대해서만 들어감니다. 지급.형태도 고를수 있구요.
보험은 급하면 약관 대출도 받습니다.
전 여러모로 했을때 펀드 운용 잘된거를 본적이 별 없어서
걍 보험으로 했습니다. (지금 든 펀드도 마이너스가 몇프로인지...)
트네르아
19/08/21 13:23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보험이 추가납입이 가능한가요? 몰랐네요 이건...
19/08/21 15:39
수정 아이콘
레벨12님께서 또 식견을 넓혀주셨네요. 추가납입에 관한 내용도 알아보아야 하겠습니다.
19/08/21 14:43
수정 아이콘
아니면 월 30씩 본인이 직접 장기투자 (주식 or ETF 등) 을 하는것도 좋아보입니다.
10년 20년 볼거라면요
19/08/21 15:40
수정 아이콘
일단은 '소득공제가 되는 연금상품' 한도 내에서 월34만원을 정한 후에, 추후 (1)잉여자금이 남고 (2) 어느정도 투자에 관한 공부가 된 후에 시도해볼 생각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714 [질문] 마라톤화 추천해주세요 [4] 내사랑로빈2549 19/08/21 2549
136713 [질문] 판타지 혹은 무협지좀 추천해주세요 [15] 삭제됨5915 19/08/21 5915
136712 [질문] 조립PC 모니터에 아무것도 뜨지 않습니다. [12] Finding Joe4745 19/08/21 4745
136711 [질문] 페르소나5 게임 어떤가요? (턴제 게임 관련 질문 [11] 삭제됨3431 19/08/21 3431
136710 [질문] 로봇 청소기에 대해 한 번 더 질문입니다. [5] 카페알파4082 19/08/21 4082
136709 [질문] 갤럭시 S10 쓰시는 분들께 여쭤봅니다(입력관련) [2] 강미나2513 19/08/21 2513
136708 [질문] 여수 갓김치 어디서 사면 좋을까요? [8] 밧줄의땅3317 19/08/21 3317
136707 [질문] 엔커버나 하모닐란 아직도 처방받을 수 없나요? [4] To_heart3308 19/08/21 3308
136706 [질문] 액상 커피 유통기한 있나요? [4] 버티면나아지려나8892 19/08/21 8892
136705 [질문] 문과 대학원의 생활은 어떤가요? [4] possible5060 19/08/21 5060
136704 [질문] 피지알에 어울리는?? 화장실 변기 비누로 인해 막힘 질문입니다 [8] rDc662948 19/08/21 2948
136702 [질문] 이메일 내용을 자동으로 정리하는 방법 [6] FRAN3016 19/08/21 3016
136701 [질문] [연애] 저녁메뉴 어떤게 좋나요? [4] 연애잘합니다2753 19/08/21 2753
136700 [삭제예정] 회사를 상대로 내용증명을 보낼때 수신자는... [7] 김철(34세,무좀)4676 19/08/21 4676
136699 [질문] 노트10 구입방법 질문드립니다. [12] 원탑임팩트4300 19/08/21 4300
136698 [질문] 야외에서 자유롭게 뒤를 보고 싶습니다 [4] 짐승먹이3280 19/08/21 3280
136697 [질문] (팩트체크) 지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접속 가능하신분? [7] 매일푸쉬업3425 19/08/21 3425
136696 [질문] 팟플레이어 업데이트 되시나요? [2] Dwyane2418 19/08/21 2418
136695 [질문] 노트8 쓰시는 분들 괜찮나요? [9] 청자켓3453 19/08/21 3453
136694 [질문] 일본 수출규제 관련하여 매출액, 수출액 등의 자료를 조회해보고자 합니다. 라도비드3355 19/08/20 3355
136693 [질문] 서울,일산쪽 야간 찜질방을 찾고있어요! [8] 태연­3081 19/08/20 3081
136692 [질문] Fm용 노트북 질문입니다. [6] 어빈5689 19/08/20 5689
136691 [질문] 구글 게임 환불 가능할까요? [9] 슬숑3480 19/08/20 34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