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7/31 15:07:29
Name 데부루리
Subject [질문] 기술서적의 독서회는 어떤식으로 진행하는게 좋을까요?
1. 모여서 조용히 책을 읽는다.

2. 읽을 분량과 시간을 정해놓고 모여서 조용히 책을 읽는다.

3. 읽을 분량과 시간을 정해놓고 모여서 조용히 책을 읽는다. 그리고 새롭게 알게된 사실을 주제로 자유롭게 얘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4. 큰 문단 별로 돌아가며 함께 읽는다. 읽기가 끝나면 문단의 포인트를 얘기하며 정리하는 시간을 짧게 갖는다.

기술서적을 여럿이 함께 읽을 때 어떤식으로 하는게 퍼포먼스가 잘 나올까요? 그냥 분량채우기같은게 아니라 깊이있게 이해하는 점에서요.

전 개인적으로 4번이긴 한데 다른분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웃집개발자
19/07/31 15:46
수정 아이콘
제가 적는 방법이 왕도는 아니지만 고르라면 3번일 것 같아요.

책 정해서 하나 조지는(?) 스터디는 분량 매주/매달마다 정하고 할당된 부분 같이 각자 읽어와서, 만나는 자리에서는 그 주/그 달 당번이 읽어본 부분 공부해와서 발표하고.. 그럼 읽어왔던 사람들이 그에 대해 의견 주고.. 그런식으로 진행하곤 했는데.. 이런 기술적인 스터디는 남들보다 지식이 좀 많아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멤버가 있냐 없냐가 모임 수명에 깊이 관계가 있어요. (그래서 사내스터디가 오래가죠)

이게 명확한 목표가 없이 그저 각자의 분발이 요구되는 스터디라면 뒤로 갈수록 유야무야해지는 경우가 많잖아요. (처음엔 쉬우나 나중엔 어려워지면서 발표내용이 곤궁해지고 부담되므로) 아래같은 대화가 시작되면 위기인거죠.

A:"챕터 24장 할 차례네. 당번 공부 해왔음?"
B:"걍 좀 훑어봤음 솔찌 봐도 모르겠음 흐"
A:"어 나도 흐" ...
(일동 조용)

이런거 반복되면 유야무야되기 쉬워서 음..

저 같은 경우는 팀원끼리 간단한 플젝 같이 하면서 기술서적의 내용을 적용해보는 쪽이 오히려 집중은 더 잘됐던 것 같습니다. 서적에서 정말 어려워서 적용하기 어려운 내용은 플젝에 적용하기 난감하다는 의견도 전에 있었는데 솔직히 그런 고도화된 내용은 책에서 읽는것만으로는 체득했다고 하기 어려운 부분인지라 거기서 거긴거같아요.

기술 체득보다 책 내용 진도 빼는게 목적이라면 글쓴분 말씀처럼 4번이 나을 것 같네요.
데부루리
19/07/31 18:40
수정 아이콘
4번의 방법은, 주제별로 심도있게 생각하고 또 대화하는 시간을 갖게되면서 기술체득의 목적이 강합니다.
다만 잘 따라오지 못하는 멤버가 있는 경우엔 좀 멱살잡고 끌고가야하는게 있어서 힘든 점이 있어요.
적어주신 대화는 몇번이나 경험해본지라 크게 공감합니다 크크.
미카엘
19/07/31 16:20
수정 아이콘
챕터를 나누고 돌아가면서 적절한 수준의 ppt를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대학원 다닐 때 했던 방식이네요.
19/07/31 16:55
수정 아이콘
원페이지 PT가 이런 자리에서 꽤 괜찮게 쓰였어요
데부루리
19/07/31 18:42
수정 아이콘
저는 사전에 뭔가를 준비해야하는 모임에 약간 부담을 느끼는 편인데,
회사에서 진행하는 독서회는 돌아가면서 얘기하신것처럼 자료를 만드는 방식으로 많이들 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100 [질문] 유선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iptime 제외 [8] 유열빠3332 19/08/01 3332
136099 [질문] 노래부를 때 가성-> 진성 으로 바뀌는 건 뱃심인가요? [9] 비싼치킨3974 19/08/01 3974
136098 [질문] 휘트니스와 GYM의 차이점이 뭘까요? [2] 레오나3137 19/08/01 3137
136096 [질문] 마그네슘 영양제 질문드립니다. [8] GoThree3252 19/08/01 3252
136095 [질문] 유튜브 관련 자격증에 대한 질문입니다. [2] lifewillchange2766 19/08/01 2766
136094 [질문] 다른 조건 없이 현금완납 10만원 정도면 동네에서 S10 5G 살 수 있을까요? [8] 강미나3910 19/08/01 3910
136093 [질문] 넷플릭스 영화,드라마 추천부탁드립니다. [19] 유니꽃4676 19/08/01 4676
136092 [질문] 지리산이나 남원에 가족끼리 먹거나 볼때 별로 없을까요? [2] 기나2222 19/08/01 2222
136091 [질문] 영국 일상용 회화 많이 접할 수 있는 드라마/영화 있나요? [1] 트와이스정연2478 19/08/01 2478
136090 [삭제예정] 차 미등을 켜놓고 하루지났네요.. [2] LubyH3547 19/08/01 3547
136089 [질문] 후방추돌 교통사고 처리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5] 정발산기슭곰발냄새3952 19/08/01 3952
136088 [질문] 중국어(북경어) 회화 입문하려면 어떤방법이 가장 좋을까요...? [5] 추적왕스토킹2409 19/08/01 2409
136086 [질문] 영양제는 무엇무엇을 먹어야하나요? [10] 크리스 프랳4088 19/08/01 4088
136085 [질문] 남자 바지 살곳 추천부탁드립니다. [7] Secundo3451 19/08/01 3451
136084 [질문] Unity 개발중인데 질문있습니다. [2] LucasTorreira_113199 19/08/01 3199
136083 [질문] 바이올린 배우는 난이도가 어떻게 되나요? [35] 저격수21978 19/08/01 21978
136082 [질문] 피파20 관련 질문입니다 [4] 오트레하오3888 19/08/01 3888
136081 [질문] 램8기가 노트북을 샀는데 5.88기가 사용가능하다 뜨네요 [16] 배고픕니다10350 19/08/01 10350
136080 [질문] 안경 렌즈는 양쪽이 같은 시력이 되게 맞추는게 정상이겠죠? [10] 칼라미티4830 19/08/01 4830
136079 [질문] 중국 약 관련 질문입니다. (한자, 효능) [8] Xeri2608 19/08/01 2608
136078 [질문] 이런 사람들은 롤을 왜 하는걸까요? [38] 굿럭감사5351 19/08/01 5351
136077 [질문] 컴도사님들 도와주세요 (넷플릭스 4k 관련) [14] akroma4366 19/08/01 4366
136076 [질문] 운전할때 듣기 좋은 노래들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0] Jurgen Klopp2949 19/07/31 29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