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7/27 23:22:14
Name nexon
Subject [질문] 중국 한족이나 조선족이 한국에서 경제력을 확보했다고 느끼시는지요...?

안녕하세요..

구한말부터 조선에서 거점을 마련했던 중국인들은 1960년대 박정희 때문에 경제적 영향력을 거의 완전히 상실하는데요

그 이후 주요 국가 중 차이나타운 없는 나라는 한국뿐이라고 할 정도로 일부 한국화된 화교들 외에는 거의 한국에 기반을 잡지 못했던 중국인들이,

90년대 이후 조선족의 대량입국과 한족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현재는 한국에서 최소 수십만명이 살고 있는 것 같아서요..


생활방식, 취업 등에서 이미 상당히 한국화된 화교들과 달리 조선족과 한족들은 중국식 생활방식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고 식당 서빙이나 공사장 인부로 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이제는 서울의 특정 지역 아파트 가격은 이들이 올렸다고 할 정도로 부유해졌고 그 영향력도 다른 지역에까지 점점 커지고 있어서

앞으로 조선족이나 한족이 경영하는 발마사지샵에서 한국인이 일해야 할 거라는 말도 있는데

만약 조선족과 한족들이 한국에서 경제적 영향력을 갖춘 게 사실이라면

그들은 어떻게 해서 그렇게 거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것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토리해물전
19/07/27 23:31
수정 아이콘
조선족 한족이 경영하는 발마사지 샵 정도면 거대한 부라고 할수 없지 않을까요
한국 사람들이 미국에서 슈퍼마켓이나 세탁소 하면서 현지 알바생 쓰는 그 정도
제가 보기에 큰 식당이나 큰 공장, 단순 생산직 노무직은 진짜 조선족 없는 곳이 없더군요.
그 사람들도 열심히 일하고 그돈 밑천 삼아 사업하고 하면 일반 한국 사람만큼 돈벌수는 있을 것 같아요
큰 부는 아니고요.
그냥 서민들이 열심히 일해서 일굴 수 있는 정도의 재산?
그 재산을 밑천삼아 부동산이든 뭐든 해서 굴리면 좀 더 불리는 정도이지 거대한 부는 아닐 것 같네요
강미나
19/07/27 23:55
수정 아이콘
진짜 거대한 부는 본토에서 바로 들어올테고 말씀하신 것처럼 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집값이 그렇게 높지 않아서(특히 지금 조선족들이 터를 잡은 서울 서남부권은 정말 낮았죠) 꾸준히 열심히 일하면 얼마든지 살 수 있었습니다. 그게 몇 차례 폭등하면서 어느 정도 생활 기반을 일군거죠. 거대한 부까지는 아니겠지만요.
19/07/27 23:56
수정 아이콘
박정희가 몇 안되게 잘 한 것중 하나가 화교자본 두들겨패서 박살낸거라고 생각하는데 발마사지정도면 거대한 부라고 보긴 좀 힘들죠.....필리핀처럼 SM그룹이 한 나라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수준은 되어야 거대한 부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19/07/28 00:08
수정 아이콘
질문글에 답이 나와있는게,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은 전세계적입니다. 이게 크죠.
근데 그게 한국을 쥐락펴락 할 수 있는 부냐고 하면 저는 미국기업의 영향력이 훨씬 압도적이라 생각되네요.
19/07/28 00:31
수정 아이콘
'거대한 부'라고까지 할 정도는 전혀 아닌것 같구요.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 들어왔던 사람들이 세월이 흐르면서 경제력이 좀 생겨서, 그 중 한국 중산층과 어느정도 비슷한 계층이 형성된것 뿐입니다.

그리고 그건 한국인도 마찬가지에요.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 경제활동을 시작한 한국인들 중 2010년대 후반 현재 서울 수도권에 30평대 아파트에 살면서 중형차 굴리는 사람들이 많죠.
그거랑 전혀 다를게 없습니다.
19/07/28 00:3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서울의 고가형 아파트나 소규모 상업용 건물 등을 주로 매수하는 자금은 당연히 중국 본토 혹은 미국, 유럽, 동남아 등 해외의 중국인들 쪽에서 더 많이 들어올겁니다.
한국 내에서 자수성가한 중국인들도 물론 꽤 있기는 하겠지만 그보다는 해외가 더 많을 수 밖에 없죠. 숫자가 그쪽에 더 많으니까요.
qpskqwoksaqkpsq
19/07/28 02:07
수정 아이콘
한국 부동산 사들이는 중국인은 해외자본으로 사는거에요 축적한게 아니라 외부에서 들여온거죠
독수리가아니라닭
19/07/28 10:27
수정 아이콘
요즘은 한국에서 번 돈으로 건물 매입해서 음식점 크게 하는 사람도 있다고 하니 번 사람은 벌었겠죠.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은 중산층 이하일 듯.
19/07/28 11:15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020 [질문] GTX 1050으로 피파온라인4 할수 있나요? [3] 허스키4253 19/07/30 4253
136019 [질문] 정말 간단한 엑셀 질문이에요. [4] Ryan_04103250 19/07/30 3250
136018 [질문] 호날두 관련 질문 [57] 목화씨내놔4597 19/07/30 4597
136017 [질문] 북미 선수 tfblade는 어떤 선수인가요? [2] 저격수2628 19/07/30 2628
136016 [질문] 피지알에 글 올릴 때 이미지 파일을 여러개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2] 修人事待天命2328 19/07/30 2328
136015 [질문] 중국에서 캐나다로 송금해서 돈 옮기는 일 [9] poocang3277 19/07/30 3277
136014 [질문] 세계사 관련 전문-교양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대만3538 19/07/30 3538
136013 [삭제예정] 급합니다. 옆집 개가 계속 짖습니다. [16] 돼지콘5657 19/07/30 5657
136012 [질문] 수학 집합 한문제 부탁드립니다. [4] StondColdSaidSo2368 19/07/30 2368
136011 [질문] 반팔 티셔츠 브랜드나 제품 추천해주실수 있을까요? [4] 대치동박선생2899 19/07/30 2899
136010 [질문] 지니뮤직으로 갈아탈려고 하는데 단점이 있나요? [11] 부폰4999 19/07/29 4999
136009 [질문] 어머니가 파생상품?을 가입 당하신것같은데요... [6] 청자켓4027 19/07/29 4027
136008 [질문] 정말 듣고 싶은 노래가 있습니다. [1] 카오루2714 19/07/29 2714
136006 [질문] 자취방 선택 [22] poocang3381 19/07/29 3381
136004 [질문] YG엔터테인먼트의 미래 예상 [11] acdang4211 19/07/29 4211
136003 [질문] 롤은 리플 같이 볼 수가 없나요? [1] 레너블3089 19/07/29 3089
136002 [질문] 8월초 부산에서 청주사이 1박2일 피서지 추천부탁드립니다. [2] 콘초3002 19/07/29 3002
136000 [질문] 엔드게임 vod내일 풀린다는데 [13] 율리우스카이사르3830 19/07/29 3830
135999 [질문] [LOL]파랑정수 현질 [8] 첸 스톰스타우트10123 19/07/29 10123
135998 [질문] 레이싱 게임 제 취향에 맞는게 있을까요? [8] 꿀꿀꾸잉2461 19/07/29 2461
135997 [질문] 알라딘과 기생충 내려받기 [7] F.Nietzsche3586 19/07/29 3586
135996 [질문] 지정생존자, 보좌관, 호텔델루나, 왓쳐 볼만한거요 [22] 파란무테4916 19/07/29 4916
135995 [질문] 분양권 전매 취등록세 납부기한 관련 [5] akroma3500 19/07/29 35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