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3/15 14:43:49
Name Leeka
Subject [LOL] 롤 경기를 보는 짤막한 관전 팁들.. #1

0. 입롤과 손으로 하는 사람의 차이.

입롤이 되는 사람이 있고
그런거 몰라도 손으로 올라가는 사람도 있고
둘 다 되는 사람도 있죠..

머리는 전자두뇌로 돌아가더라도 ㅠ_ㅠ.. 손이 안따라가서 퀵실도 못쓰고 녹는 사람도 있고..
이즈 Q가 물뎀인지 마뎀인지.. 그런거 하나 모르더라도 그냥 손으로 다이아 가는 사람도 있고.. 세상엔 다양한 부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롤 경기를 볼때는.. '보편적인 상황 파악' 들만 봐도. 관전에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왜냐면.. 기본적으로
'가장 정석적인 상황' 이. 롤에서 득점과 실점이 빈번하게 일어나면서도. 교전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타이밍이니까요.

물론, 프로레벨에선 그 타이밍을 변칙적으로 비트는 플레이도 많이 나옵니다.
어제 데이드림이 보여준..  블루에서 시작하고. 레드를 먹자마자 벽에 붙어서 다시 탑에 역갱을 간게 그 예가 될 수 있겠네요.




1. 정글러의 스타팅 위치.

그냥 쉽게 생각합니다.

정라인일 때 :
상단 버프 먹고 시작하면 '바텀을 밀어주는거'
하단 버프 먹고 시작하면 '탑을 밀어주는거'

스왑상황일 때 :
스왑한쪽 버프 먹고 시작하면 커버플레이
스왑안한쪽 버프 먹고 시작하면 다이브.

많은 예외 케이스가 있지만. 기본적으론 정글러 스타팅 위치에 따라선 위와 같은 전략이 나옵니다.


2. 첫 쌍버프를 두른 3레벨 정글러는 게임의 초반 빌드를 결정짓는다.

정글러가 쌍버프를 두르고 첫 선택을 합니다.
다이브, 커버, 역갱, 갱킹, 카정, 딜갱.

양팀 정글러가 어느 라인에, 어떤 선택을 하는지가 초반 빌드가 펼쳐지는 공간입니다.

3레벨에 QWE를 다 찍고 쌍버프를 두른 이 타이밍.
이때가 게임 전체에서 '정글러가 가장 강력한 타이밍' 입니다.

어떤 라이너보다도. 이 때 정글러는 강하니까요.
이때 최고의 정석적인 선택은, 1번에서 말한 스타팅 위치에 따른 플레이가 가장 국민 플레이입니다.

솔랭은 바텀에게 리시를 받고 정글을 도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3렙에 탑갱이 가장 많죠. 



3. 두번째 블루 타이밍. 이 타이밍에 허리싸움이 시작.

두번째 블루.
이 두번째 블루가 나올때쯤이면. 양팀의 미드라이너는 궁극기를 탑재하고. 본격적으로 파밍&킬각&로밍이 가능한 타이밍이 됩니다.
이때 블루를 섭취한다면, 미드를 빠르게 푸쉬하고.. 탑/바텀 로밍 또는 정글 주도권을 손에 넣거나. 드래곤 트라이가 가능합니다.

이 두번째 블루를 서로 나눠 가진다면, 무승부지만

어느 한쪽의 미드가 블루를 못먹는다면.. 허리에서 스노우볼이 구르기 시작합니다.

게임 전체에서, 이 타이밍에 미드의 블루는 정말. 너무나도. 어마어마하게 중요합니다.
(물론 야스오같은 예외 케이스는 있지만..)


4. 기본적인 초반 정글러의 임무.

초반 정글러의 가장 큰 임무는 크게 다음 순서로 내려갑니다.(정석 기준)

초반엔 우리 탑을 도와주거나, 상대 탑을 괴롭히면서 탑에 힘을 줍니다.
두번째 블루 타이밍쯤 부터는. 미드와 손을잡고 블루 싸움 이후에 맵을 장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용타이밍쯤에는 바텀에 힘을 주고, 프리드래곤 타이밍을 잡아줘야 하죠. 

즉 탑 - 미드 - 바텀. 순으로 정글러는 힘을 주는게 가장 정석입니다. 
(물론 정석대로만 돌면 당연히 역갱, 카정등 많은걸 얻어맞기 때문에. 실제 프로레벨에선 정석대로 돌지 않고
각 프로팀마다, 정글러마다 루트를 비비 틀여서 머리싸움을 시작합니다.) 




혹시 반응이 좋다면 시리즈물이... 될거고 아님 말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3/15 14:48
수정 아이콘
3번 완전히 동의합니다.
잘만하면 승부의 흐름까지 결정할 수 있죠.

전 15분 이전 라인전단계에서 정글러의 행동에 하나하나 점수를 매겨 (예를 들어 용스킬은 +3킬)
정글러가 잘했다 못했다를 판단하는 편인데
두번쨰 블루 스틸은 +1킬 거기서 우리 블루까지 지킨다면 +2킬 정도로 평가합니다.
거의 용스틸에 근접하는 수치죠.
14/03/15 14:51
수정 아이콘
사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내용입니다만,
확실히 롤이 어떤 게임인지 잘 모르는 분들이 경기라도 찾아보려 하시면 그에 알맞는 정보가 없어 난감한 건 사실입니다.
결국 게임을 어느정도 해야 보이는 것들이 많아져서 그때부터 관전하는 재미도 붙는지라...
이렇게 정리해주시면 그런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려올
14/03/15 15:03
수정 아이콘
오오오 저같은 눈롤(!?)에게믄 황송한 글이네요.추천 드립니다!
14/03/15 15:36
수정 아이콘
어휴 마지막 츤츤 쯧쯧...
딱히 님을 위해서 추천 드린건 아니애요
가을독백
14/03/15 16:47
수정 아이콘
전 현직 프로급 정글러들의 의견도 수렴하면 더 양질의 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천이 하나밖에 안되는게 아쉽군요.
불건전PGR아이디
14/03/15 18:09
수정 아이콘
글구 탑 유저가 텔포 들었을때 초반3버프 컨트롤싸움도 중요합니다.
14/03/15 20:33
수정 아이콘
게임을 보는 눈이 없는 저에게는 단비와 같은 글입니다 흐흐
문영재
14/03/16 07:55
수정 아이콘
정말 도움이 되는 글이네요! 정리를 이렇게 깔끔하게 하긴 쉽지 않죠. 효율적으로 최적화 되었기에 정석이라서, 출발점으로 삼기에 좋은 것 같아요. 윗 댓글에서도 말씀해주신 것 같은데 롤 관련해서 정보/정리같은 게 더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어요. 관련 글을 읽는 것도 매우 재밌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18127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83860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53012 13
81416 [기타] 다시돌아온 림월드 축제일 신규DLC 발매 [5] 겨울삼각형804 25/07/14 804 0
81415 [LOL] 캐니언 선수와 오너 선수가 생각보다 커리어가 많이 차이나네요 [41] watarirouka2750 25/07/14 2750 2
81414 [LOL] 2025년 개정된 LCK 샐러리캡 감면 성적우수 조건 [5] Rorschach1829 25/07/14 1829 0
81413 [LOL] 클템 MSI 결승 찍어! [10] 두드리짱3890 25/07/14 3890 0
81412 [LOL] 이번 시즌의 젠지는 정말 다른거 같습니다. [61] 능숙한문제해결사6508 25/07/13 6508 3
81411 [LOL] 잠시나마 다시 보게되어 너무나 반갑습니다. '성클동' [46] AGRS7500 25/07/13 7500 10
81410 [LOL] 매드라이프의 MSI 결승전 후기 [12] Leeka7333 25/07/13 7333 6
81409 [LOL] EWC 2025 롤 부문 대진, 일정, 상금 [25] Silver Scrapes5516 25/07/13 5516 1
81408 [LOL] 그 종이 한장 차이가 너와 나의 결정적 차이다 - MSI 결승 젠지vsT1 후기 [40] 하이퍼나이프7392 25/07/13 7392 35
81407 [LOL] 캐니언, 페이커에 이어 두번째로 LCK 성적 감면 달성 [14] Leeka5141 25/07/13 5141 6
81406 [LOL] 듀로 제발 절어줘 [58] roqur5938 25/07/13 5938 9
81405 [LOL] 7월 13일 일요일의 일정 [15] 발그레 아이네꼬5083 25/07/12 5083 1
81404 [LOL] 이쯤에서 다시보는 쉽이스포츠 MSI 파워랭킹 [3] ZOFGK4620 25/07/12 4620 1
81403 [LOL] 돌고 돌아 또 나다! MSI2025 패자결승전 T1vsAL 후기 [61] 하이퍼나이프10001 25/07/12 10001 6
81402 [LOL] "T1을 정복했다고 생각하지 마라" [47] roqur9828 25/07/12 9828 8
81401 [LOL] 7월 12일 토요일의 일정 [13] 발그레 아이네꼬6968 25/07/11 6968 0
81400 [LOL] 힘없이 무너져내린 LPL의 거인 - MSI 2025 브래킷 스테이지 AL vs BLG 후기 [61] 하이퍼나이프10829 25/07/11 10829 11
81399 [LOL] 양쪽 팬덤 심정: 아 정말 상대도 징글맞게 잘하네. MSI2025 승자결승 T1vs젠지 후기 [104] 하이퍼나이프16244 25/07/10 16244 9
81398 [PC] 이번 스팀 여름 할인때 지른 게임들을 공유합니다 [21] Cand8254 25/07/10 8254 0
81397 [LOL] 젠티전 2세트 보고 느낀점 - 완벽 [28] 79년생11387 25/07/10 1138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