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25 20:42:31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출처 늬우스
Subject [기타] ???: 영화음악은 걸작이 될 수 없어


https://www.yna.co.kr/view/AKR20250825041300009?input=tw
"죠스·스타워즈 음악 만든 거장의 고백 "영화음악 안 좋아해"

는 존 윌리엄스

대표작: 영상 참조

영화 음악은 비지니스라서 만든 거임.. 하셨는데 영화음악으로

아카데미 5회, 골든글로브 4회, 그래미 21회 수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화우승조국통일
25/08/25 20:45
수정 아이콘
??? : 추리소설은 걸작이 될 수 없다고!
아이군
25/08/25 20:45
수정 아이콘
25/08/25 20:47
수정 아이콘
영화 음악 작곡가 중에서는 존 윌리엄스, 게임 음악 작곡가 중에서는 제레미 솔을 제일 좋아했습니다.
(여자)아이들
25/08/25 20:58
수정 아이콘
아쿠아리움 가면 아직도 죠스 브금 틀어줌
그말싫
25/08/25 21:02
수정 아이콘
뜻하는 바에 대해서는 동의합니다.
영화 음악은 쓰인 맥락과 내러티브가 엮이면서 듣는 사람에게 주는 특별함 같은 게 생겨서 순수 음악 자체로 평가하기가 어렵죠.

케데헌 노래도 그냥 어떤 아이돌의 노래였다면 빌보드 줄세우기를 했을까 싶으면 답은 당연히 절대로 그럴리 없다죠.
밥과글
25/08/25 21:10
수정 아이콘
근데 또 저렇게 파고들면 공연의 열기도 가짜고 오로지 음악만 평가되야 하니 나는 앨범 녹음 외에는 어떠한 활동도 용납하지 않겠다던 그 분 정도까지 가야하는 거라 크크
엘제나로
25/08/25 21:12
수정 아이콘
앨범도 가수의 특별함이 있으니 팔리는거 아닌가요 크크크
파라슈
25/08/25 23:18
수정 아이콘
녹음도 기술적인 제한 위에 연주가 올라가야 하니, 라이브만이 진정한 음악이죠. 마이크도 써서는 안되죠. 연주 공간도 좌우 밸런스가다르니 연주가가 지정한 특정 장소만이 진짜죠..라고 계속 물고들어가면 끝이없게 되어서...
웜뱃어택
25/08/25 21:23
수정 아이콘
부끄럽지만 옛날에 이양반이 기타리스트 존 윌리엄스랑 동일인일 줄 알고 와 작곡과 연주 양쪽에서 미친 재능이구나 했었는데 알고보니 흔한 학창시절 멍청이슈였던...
안군시대
25/08/25 21:40
수정 아이콘
선생님이 그렇다고 하시면 그런거죠. 반박불가..
사이먼도미닉
25/08/25 23:29
수정 아이콘
대중 가수는 어느 정도 거장의 반열에 오르면 자기 맘대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데 영화 음악은 그게 아닐테니까요

어디까지나 영화 감독 아래에서 음악 파트를 맡는 거니 끝까지 클라이언트에게 맞춰 주는 비즈니스 마인드일 거 같기도 합니다
25/08/26 07:44
수정 아이콘
소위 말하는 종속된 입장이니까요.
근데 존님이랑 엔니오님은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됩....
25/08/25 23:51
수정 아이콘
지금은 클래식 걸작으로 평가 받는 오페라 음악도 당시에는 지금의 영화 OST 나 마찬가지 아니었을까요? 실내악곡들은 카페에서 틀어주는 무드음악이나 BGM 이었을테고.
handrake
25/08/26 09:34
수정 아이콘
왈츠는 클럽에서 나오는 댄스음악이었을거고....
캡틴에이헙
25/08/26 09:41
수정 아이콘
이 말씀이 거의 사실을 묘사한 것일 거라 생각됩니다.
25/08/26 10:38
수정 아이콘
그당시 클래식 포지션은 교회 음악인가요? 뭐가 클래식이었을지...
25/08/26 10:48
수정 아이콘
조금 다르긴 합니다. 오페라는 차라리 현대의 뮤지컬과 유사하다고 보는 것이 맞구요. (사실상 뮤지컬은 오페라가 조상이기도 하죠.) 쇼 비즈니스적 측면에서 진짜 종합예술입니다. 무대, 연출, 의상, 음악이 다 되어야 하니까요. 그리고 오페라는 갈라 콘서트라는 장르가 있긴 하지만 여전히 상연을 전제로 연주됩니다.

차라리 영화 OST 에 가까운 것은 극음악 쪽 장르가 있습니다. 이쪽은 연극은 모르겠고 연주만 되죠. 그래서인지 지금까지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들이 적긴 합니다. 대표작으로 멘델스존의 "한 여름밤의 꿈"이나 그리그의 "페르귄트" 입니다. 아마 모음곡 형식이 더 유명할텐데 극음악 전곡을 녹음한 음반도 있습니다. 베토벤의 "아테네의 페허" 같은 작품도 있긴 하네요.

실내악곡의 번역은 Chamber Music 이니 어느 정도 설명하신 부분은 맞습니다. 바로크 시대에는 아무리 커도 오페라를 제외하면 기악곡은 거의 다 귀족이나 왕족의 저택이나 궁에서 연주될 것을 고려해서 작곡되었습니다. 혁명기 이후에는 시민(정확히는 부르주아)들을 위한 음악회가 극장 수준에서 연주되어야 해서 오케스트라 음악이 발전한 것이구요. 반대로 실내에서는 피아노나 현악4중주 정도 규모로 연주하는 것이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는 셈입니다. (결혼식만 해도 피아노 아니면 잘 해봐야 현악 4중주니까요.)

이와 별개로 존 윌리엄스타 엔니오 모리코네 같은 경우는 순수 클래식 음악들도 작곡했습니다. 협주곡들도 좀 있구요. 그리고 그들의 영화음악은 이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합니다. 저 두 단체가 연주한다는 것은 정규 클래식 음악으로 편입되었다고 봐도 되겠죠.
약설가
25/08/26 08:30
수정 아이콘
???? : 셜록 홈즈는 심심풀이로 써본 별거 아닌 작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846 [기타] 간만의 꿀잼 역사 콘텐츠 [11] 로켓5203 25/08/29 5203
518845 [기타] 사실로 밝혀진 스웨덴 게이트 [81] 퍼블레인8016 25/08/29 8016
518828 [기타] 한국인들만 유독 잘 틀린다는 문제 [24] 묻고 더블로 가!8286 25/08/29 8286
518827 [기타] 대부에 진짜 마피아가 출연했던거였군요 [5] 김삼관6298 25/08/29 6298
518813 [기타] 9월부터 시행되는 5대 반칙운전 단속 [176] Cand10029 25/08/28 10029
518808 [기타] 신기한 도라에몽 장난감 [10] 묻고 더블로 가!4185 25/08/28 4185
518803 [기타] 몇백억도 필요없다는 30대 신장투석 환자.jpg [43] 핑크솔져9889 25/08/28 9889
518800 [기타] 뭔가 이상한 짓을 하고 있는 배민 [20] 닭강정7692 25/08/28 7692
518784 [기타] 후회할짓을 안하면 되잖아 [14] 유머6521 25/08/27 6521
518780 [기타] 어쩌면 헬게이트가 열릴 수도 있는 중고거래 시장 [21] 깃털달린뱀7376 25/08/27 7376
518771 [기타] 스타필드 청라돔구장 건설현장 상황과 그 주변 모습 [26] 아롱이다롱이6610 25/08/27 6610
518768 [기타] (약후?) 호불호 갈리는 모에 요소 [25] 묻고 더블로 가!8191 25/08/27 8191
518767 [기타] 케이팝 데몬 헌터스, 레드노티스를 제치고 넷플릭스 영화 역대 1위달성 [59] 카루오스7769 25/08/27 7769
518765 [기타] nano-banana 제미나이에서 사용 가능(정식 명칭: Gemini 2.5 Flash Image) [15] 우왓5282 25/08/27 5282
518758 [기타] 시어머니가 물려주신 자개장 [27] VictoryFood8916 25/08/26 8916
518757 [기타] 북한이 없어진다면? [61] 묻고 더블로 가!7501 25/08/26 7501
518745 [기타] 직업이? 코인투자합니다 [60] insane7913 25/08/26 7913
518742 [기타] 금일자 발표된 구글 안드로이드 정책 [32] 에스콘필드7688 25/08/26 7688
518733 [기타]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은 과정... [76] 페이커757469 25/08/26 7469
518728 [기타] 달리기 할 때 중요한 팁 [31] 카미트리아8388 25/08/26 8388
518727 [기타] 헛웃음 나오는 케데헌 근황 [42] 퀀텀리프12813 25/08/26 12813
518724 [기타] “‘밤 10시 39분’ 지나서 자면 아무리 자도 다음 날 피곤하다” (연구) [30] 유머10153 25/08/25 10153
518722 [기타] ???: 영화음악은 걸작이 될 수 없어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7280 25/08/25 72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