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5/14 08:54:13
Name a-ha
File #1 1.jpg (118.7 KB), Download : 125
출처 스레드
Subject [기타] 유니스트에서 개발했다고 하는 투명 태양광 패널 (수정됨)


유니스트에서 투명 태양광 패녈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게 상용화가 잘 되면 빌딩이나 건물 유리창을 태양광 패널로 바꿔서 효율이 크게 올라갈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은 태양광 패널을 건물 옥상 같은데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데 만약 유리창 대신 쓸 수 있다면 아주 뛰어난 제품이 될 것 같습니다. 관건은 패널 자체의 효율이 기존의 불투명한 패널보다 더 나은가 하는 점이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오루
25/05/14 08:55
수정 아이콘
제발 전기차 유리에 도입좀..!!
25/05/14 13:22
수정 아이콘
와...그거 끌리네요
25/05/14 16:14
수정 아이콘
흠 달아도 현재 기준 태양광 패널 효율 + 매일 운행한다고 가정시 항속거리 5%도 안 늘어납니다. 일단 용도 자체가 열받는데 적합하지 않고(냉각에 에너지를 다시 끌어다 쓸 순 없으니)지금 지붕에 달리는 패널은 비유하자면 타이타닉 잘 가고 있는데 장정 열댓명이 힘 보태겠다고 노 젓는거랑 비슷해용
nn년차학생
25/05/14 08:57
수정 아이콘
가격과 성능에 따라 상용화 여부가 갈리겠네요
시린비
25/05/14 08:58
수정 아이콘
창문청소를 잘해야
김건희
25/05/14 08:59
수정 아이콘
제발 니콜라 엔딩만 아니기를
라방백
25/05/14 09: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순 투명 태양전지 기술은 나온지가 좀 된 기술로 아는데 재료가 비싸다 + 효율이 낮다 (제가 논문 보던시기 기준으로 최대 5%쯤) 때문에 상용화는 거리가 좀 있었던 걸로..
츠라빈스카야
25/05/14 09:02
수정 아이콘
에너지를 얻는 전자파 대역을 가시광선을 제외하도록 하는 건 둘째치고, 그걸 달성하는 소재 자체를 가시광선을 투과하는 소재로 만든 게 대단한 듯....
김유라
25/05/14 09:03
수정 아이콘
저희 연구실에서 그래핀 기반으로 10년 전 즈음인가 했었던거네요 크크

위에 라방백님 말씀대로 나온지는 좀 됐고, 가성비 문제때문에 상용화는 힘듭니다
타츠야
25/05/14 15:54
수정 아이콘
수명은 어떤지요? 현재 많이 설치되는 패널은 20년 이상은 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김유라
25/05/14 16:59
수정 아이콘
희토류 기반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은 제 분야가 아니라서 잘 모르는데,
그래핀 기반은 아무래도 외부에 의한 데미지를 어느 정도 받는 소재다보니 20년은 절대로 못갈 것 같습니다 크크크
타츠야
25/05/14 17:2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그럼 저건 힘들겠네요. 단열 문제도 있는 창문에 저걸 설치했는데 자주 갈아야 하면 크크
25/05/14 09:09
수정 아이콘
제가 연구실에 있을때 유리위에 얹을 목적으로 유기태양광 연구를 했었는데
이건 색조가 있는 대신 20%정도 효율을 보였었습니다.
근데 제오라이트에 비하면 많이 떨어지고 기존 태양광이랑 효율만 비교하면 많이 부족하죠...
깜디아
25/05/14 09:28
수정 아이콘
와 이제 저기에 디스플레이 기능까지 넣어서 콘센트 안꼽아도 되는 디스플레이 창문이 나오면!
25/05/14 09:40
수정 아이콘
와 이제 창문마다 광고가!
살려야한다
25/05/14 12:07
수정 아이콘
광고 해제는 별도 구독제!
25/05/14 09:42
수정 아이콘
가격이...!!!!
지니팅커벨여행
25/05/14 09:40
수정 아이콘
가격만 싸면 효율 떨어져도 더 보급이 잘 되겠죠.
근데 투명 유리판이 과연 광자를 얼마나 반사 안 시키고 전기를 만들어 낼지 의문이긴 하네요.
크레토스
25/05/14 09:43
수정 아이콘
효율이 떨어지는데 가격 싼 경우는 기술 자체가 저가에 특화된 경우거나 양산한지 몇년된 제품이라 가격이 싸거나 그런 경우가 많은데..
이건 그런게 아니니 가격이 기존 것보다 쌀 수가 없고 효율도 마찬가지죠. 아마 건축가들이 예술적으로 짓는 그런 건축에 일부 유리 대신 쓰는 거 말곤 쓸일 없을거에요.
미카엘
25/05/14 09:40
수정 아이콘
저거 한답시고 유리창 비율 높은 유리 건물 안 세우길.. 공조와 온도 제어에 최악입니다. 그 온도 제어에 들어가는 에너지량이 압도적이라 오히려 더 안 좋아요.
라니안
25/05/14 09:59
수정 아이콘
썬루프 정도에만 활용되어도 대박아닐까요?
인생잘모르겠
25/05/14 10:05
수정 아이콘
너무 안좋게만 이야기 할께 아니라 시작 단계라 생각하면 좋을꺼같습니다. 이걸 시작으로 점점더 효율 좋고, 가격도 싸게 만들수 잇는 기술들이 나오겠죠.

근데 이름이 유비소프트랑 비슷하네요.
25/05/14 10:08
수정 아이콘
전기차에 적용되면 야외 주차장에 세워만 둬도 충전이?
쵸젠뇽밍
25/05/14 10:12
수정 아이콘
유리창에 쓰는 건 별로일 것 같고, 어딘가 특수하게 쓰일 곳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시광선만 투과하고 나머지 영역대를 일정정도 흡수한다는 것을 활용하는 방법도 나올 수 있을 것 같고요.
하아아아암
25/05/14 10:18
수정 아이콘
관건은 효율보단 생산단가일거 같네요
이사빠
25/05/14 10:30
수정 아이콘
유리창은 단열도 중요해서..
최종병기캐리어
25/05/14 10:41
수정 아이콘
15~6년 전 유기화합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BIPV(건축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을 주제로 국책연구를 했었는데,
결정질보다 낮은 효율, 수직설치로 인한 효율 저하로 2~3% 수준의 발전 효율이 나왔습니다.

그 이후 그 과제는 실증화까지 가지 못하고 조용히 사라짐..
아이군
25/05/14 10:54
수정 아이콘
소위 도시형 발전이 신재생의 목표죠.... 뭐 잘 될지는 아직....
25/05/14 11:49
수정 아이콘
튼튼할까요? 우박 한대 맞으면 바로 고장나고 그러면 좀..
뒹굴뒹굴
25/05/14 11:49
수정 아이콘
지금 상용 패널 효율이 20%가 넘으니까 이게 한 10%만 나와도 전기차에는 의미가 있을 것 같기는 한데요.
25/05/14 11:50
수정 아이콘
투명하면 여러개 겹쳐서 단위면적당 전력생산을 늘릴 수도 있을까요??
25/05/14 12:43
수정 아이콘
수력발전 터빈을 여러 개 연달아 놓는다고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뒤에 거는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VictoryFood
25/05/14 12:58
수정 아이콘
가시광선을 통과시키고 비가시광선으로 발전을 하는 거라 두번째 부터는 급격히 효율이 떨어질 거 같습니다.
iPhoneXX
25/05/14 12:07
수정 아이콘
효율이 엄청 좋거나 가격이 싸거나 혜택이 있거나 해야 되는데 쉽지 않죠..
VictoryFood
25/05/14 12:59
수정 아이콘
판유리처럼 패널 한장을 얼마나 크게 만들 수 있느냐가 중요할 거 같아요.
본문 그림의 저정도 크기면 창으로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니까요.
無欲則剛
25/05/14 16:07
수정 아이콘
본문에 있듯이 관건은 전환효율이 얼마인간데 그게 안 니와있다는건 대체적으로 신통찮으니까 그런거죠
raindraw
25/05/14 16:07
수정 아이콘
효율은 최소한만 나오더라도 가격 싸게 대량생산만 가능하면 될 것 같은데 그게 안되는게 현재의 문제이겠죠?
손꾸랔
25/05/14 22:10
수정 아이콘
농작물 등 아래쪽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면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용하겠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9942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74561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8904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92639
515514 [기타] 백종원 장터광장 상표권 특허신청... 분노한 예산시장 상인들 [25] + 홍검5189 25/05/20 5189
515504 [기타] 진라면 중간맛이 필요해진 이유?! [60] + Lord Be Goja6787 25/05/20 6787
515502 [기타] 오뚜기에서 새로 출시한 라면 [22] a-ha5811 25/05/20 5811
515498 [기타] 세종대왕 짱이야 [18] BTS5142 25/05/20 5142
515493 [기타] 그냥 소스 하나 만들어 보겠다고 도전하다가 좌절하는 부분 [39] TQQQ5373 25/05/20 5373
515491 [기타] 한 서버업체의 현실적인 근무환경 [14] + Lord Be Goja6923 25/05/20 6923
515473 [기타] 21세기 인도 최고 명문가 집안이 한순간에 몰살 당한 이유 (혐주의) [5] 홍검6609 25/05/19 6609
515468 [기타] 국산 캐리어 가나요?? 네 갑니다 [12] Lord Be Goja5857 25/05/19 5857
515467 [기타] 캐리어 가나요? 네, 갑니다. [24] a-ha5424 25/05/19 5424
515461 [기타] 독일 자동차 역사... [7] a-ha4220 25/05/19 4220
515447 [기타] 1986년 서울지역 빈민지역 위치도 [57] a-ha8693 25/05/19 8693
515446 [기타] 법의학자가 본 어떤 편안한 죽음 [19] 김아무개9295 25/05/19 9295
515432 [기타] 이틀간 극과 극이었다는 고척돔 이세계 페스티벌 [78] 묻고 더블로 가!11281 25/05/18 11281
515427 [기타] 애플 기기 당 20달러 '시리 합의금' 보상 신청하세요 [6] 유머7360 25/05/18 7360
515426 [기타] 일본에서 자위대가 인기 없는 이유 [7] 톰슨가젤연탄구이8008 25/05/18 8008
515425 [기타] 은근히 관리가 쉬웠다는 예전 당뇨병 [3] Lord Be Goja10769 25/05/17 10769
515420 [기타] 계층)피지알에서도 팬층이 있었던 똥겜&고겜 스트리머 근황 [11] Thirsha5559 25/05/17 5559
515418 [기타] [478140번 글 관련] 정정된지 모르겠을 오보에 대하여 [12] 시린비4118 25/05/17 4118
515417 [기타] 최신 의수 근황 [28] 어강됴리9994 25/05/17 99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