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5/01 20:38:56
Name 내설수
File #1 AKR20250416002700075_01_i_P4_20250416024817665.jpg (62.5 KB), Download : 313
출처 https://naver.me/xq3MCH8W
Subject [기타]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시청시간 전세계 2위…영국·일본 제쳐"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Ampere)는 15일(현지시간) "한국 프로그램이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중략)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밥과글
25/05/01 20:42
수정 아이콘
일본도 5프로면 상당한데 뭐가 히트쳤을까요
25/05/01 20:44
수정 아이콘
애니메이션일거 같네요.
다시마두장
25/05/01 20:45
수정 아이콘
애니메이션에 더해, 아리스 인 보더랜드 등의 드라마도 넷플릭스에서 밀어주는 것 같더라구요.
코미카도 켄스케
25/05/01 20:47
수정 아이콘
킹구 선생님..
덴드로븀
25/05/01 20:53
수정 아이콘
?? : 바쁘다 부르지마라. 봐도봐도 끝이 없네
25/05/01 21:08
수정 아이콘
크크크 요즘 너무 소환되시는
25/05/01 20:50
수정 아이콘
한국이 미영일이라는 컨텐츠 강국 사이에 낄 날이 올줄은...
아따따뚜르겐
25/05/01 21:00
수정 아이콘
오겜의 위엄인거 같기도 하고
Jedi Woon
25/05/01 21:04
수정 아이콘
비영어 컨텐츠에서는 압도적인 1위를 하겠네요
파라슈
25/05/01 21:13
수정 아이콘
터키도 유럽 사람들에게 잘먹히는 드라마 강국이라던데, 저 순위에는 없네요
고민시
25/05/01 21:14
수정 아이콘
전세계에 헬조선 프로파간다를
25/05/01 22:16
수정 아이콘
집에 넷플릭스 없으세요? 뭔소리야 이게 크크크크
사이먼도미닉
25/05/01 22:42
수정 아이콘
영화관이 잘 안되는 이유랑 상관관계가 있을 거 같네요. 펜데믹 이후로 OTT 문화가 너무나도 잘 정착된 나라라는 거니.
동굴범
25/05/01 22:50
수정 아이콘
OTT로 드라마 보느라 극장 갈 시간도 없고 따로 시간을 내서 보러 갈 만한 영화도 없으니 더더욱 극장을 안가게 되고 이제 습관이 된 지경에 이른 것 같습니다.
사이먼도미닉
25/05/01 22:5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제는 거대 자본과 좋은 인력이 OTT 시리즈로 모이니, 영화 시장에는 소비자도 없고, 좋은 작품도 없고 그렇게 변하는 거 아닌가 싶어요. 결국은 소비 행태의 자연스러운 변화지 않나.
25/05/01 23:35
수정 아이콘
실제로 다른 나라보다 극장이 빨리 망해가는 중이죠. 코로나 전 비슷하게 회복한 국가들도 있는데요.
성야무인
25/05/01 23:17
수정 아이콘
한국에 넷플릭스 시청자가 1223만명이며

1년에 한국에서 나오는 넷플릭스 매출이 약 9000억 된다고 합니다.

(구독자 기반이겠죠?)

근데 1년 넷플릭스 매출이 60조정도 니까

한국 컨텐츠가 전세계 점유율의 8-9%라면

대략 5조에서 6조의 넷플릭스 매출을 한국이 책임지는 겁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발생할 매출을 그대로 한국에 투자해도 (1조정도)

넷플릭스 자체에는 엄청난 이익이고

이정도면 평균 100억짜리 텐트폴 영화를 100편정도 만들수 있는데

(어디까지나 한국기준에서)

100억이면 한국에서는 충분히 퀄리트 좋은 영화 나올테니까요..

드라마도 마찬가지겠구요.

인재들이 넷플릭스에 몰리는 이유가 있고

방송사들도 초기 손실을 감소하고 자회사의 드라마를 넷플릭스에

동시 공개하는 이유가 당연합니다.
VictoryFood
25/05/02 00:33
수정 아이콘
영국도 영어일테니까 비영어 중에선 진짜 압도적이네요.
25/05/02 05:40
수정 아이콘
매출점유율도 보고싶네요. 지역별 단위 시청시간당 넷플릭스 매출 영향이 얼마나 다른지가 관건이긴 할텐데.
너T야?
25/05/02 07:07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펄럭이네... 일본을 이기다니
동년배
25/05/02 08:07
수정 아이콘
한국 드라마가 시장을 잡고 있는 동남아에서 넷플릭스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저 시청시간 비율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겠네요. 아직 인구도 늘어나는 시장이라
25/05/02 10:15
수정 아이콘
의외로 프랑스 컨텐츠가 너무 없네요..
일본 컨텐츠는 말도 안되는 것에 유머를 심으려고 한다거나.. 너무 잔인하거나.. 뭐가 좀 언밸런스해요.
탑클라우드
25/05/02 12:26
수정 아이콘
당장 베트남만 해도 Top10에 대략 5개는 한국 드라마입니다.
처음 베트남 왔을 때만 해도, 그냥 일정 기간의 열풍이겠거니 생각했는데,
지난 6년 내내 그런걸 보면 이제 K드라마는 하나의 장르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6683 [방송] [스포없음] 해외 매체들의 오징어게임3 평가 [25] EnergyFlow8033 25/06/28 8033
516682 [서브컬쳐] 워너, 20년간 추진해오던 아키라 실사화 포기. [16] 캬라6006 25/06/28 6006
516681 [기타] 어릴 때 만난 여우 이야기(순애만화) [38] lasd2416062 25/06/28 6062
516680 [유머] 대형 나무를 벌목하는 방법 [44] 길갈8498 25/06/28 8498
516678 [유머] 월식 일식 종식 [1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085 25/06/28 10085
516677 [유머] 모르면 간첩 실제 사례.jpg [3] 동굴곰11629 25/06/27 11629
516676 [기타] 한 달 정도 된 띠용스러운 국토부 공무원 대면 이슈 [52] 김삼관16891 25/06/27 16891
516675 [게임] 스타2 우라리 [6] STEAM7034 25/06/27 7034
516674 [유머] 마블 스냅 표절 논란 이대로 가면 [10] 길갈8992 25/06/27 8992
516672 [방송] 스포)시네플 오징어게임 시즌3 평점 [40] 카루오스10410 25/06/27 10410
516671 [스포츠] 상대팀 마스코트가 마음에 들었던 KBO의 외국인 용병들 [5] EnergyFlow8470 25/06/27 8470
516670 [유머] 2천원으로 인생 하드코어 난이도 도전 [21] 천영11366 25/06/27 11366
516669 [LOL] 롤 카톡 이모티콘이 나왔나보네요 [16] 김삼관5843 25/06/27 5843
516668 [LOL] 독하디 독한 페이커 (in 공항) [36] 매번같은8317 25/06/27 8317
516667 [유머] 뭔가 있어보이고 싶을 때 갈만한 라멘집 [14] EnergyFlow9151 25/06/27 9151
516666 [유머] 당신의 삶이 무료하다면 [21] EnergyFlow8981 25/06/27 8981
516665 [유머] 티니핑에 광적으로 집착하는 회사원들의 책상 [34] EnergyFlow9400 25/06/27 9400
516664 [기타] 일본 기상관측 사상 역대 최단기간 장마 종료 [17] 아롱이다롱이8887 25/06/27 8887
516663 [기타] 의외로 검소한 사람들 [35] Lord Be Goja8172 25/06/27 8172
516662 [기타] 현재 무자녀 기혼 공무원들 비상 걸렸다는 이유 [43] 묻고 더블로 가!12335 25/06/27 12335
516661 [유머] 돈가스 사이언스 [7] 일사공사일육5715 25/06/27 5715
516660 [기타] 애플 정상화는 EU [6] 크레토스6292 25/06/27 6292
516659 [유머]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드라마화 결정! [50] 깃털달린뱀7620 25/06/27 76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