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4/27 15:06:32
Name a-ha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음질 하나는 끝내 준다는 무선 이어폰들
Bowers & Wilkins Pi8
jo1zNJJ.jpeg

Technics EAH-Az100
UFVjV3n.jpeg

Devialet Gemini II
fxb8CyA.jpeg

(하지만 음질 만큼이나 가격도 끝내준다고 합니다. 가격이 보통 20 qcy에서 28 qcy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고 하네요...구매는 못 하더라도 어느 정도인지 들어는 보고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르세포네
25/04/27 15:12
수정 아이콘
그나마 무선은 고가라도 200 넘는건 없죠..

유선으로 넘어가면...
25/04/28 03:22
수정 아이콘
이어폰은 모르겠고 코드리스 헤드폰은 200 넘는거 있습니다.
25/04/27 15: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밖에나가면 끊겨서 못듣고
집에서 들으면 유선대비 가성비 망해버리는 템들이라...

그냥 하루 푹 자고 술 안마시고 조용한 방에서 들으면 어떤 이어폰도 음질 좋아보입니다
퍼블레인
25/04/27 15:16
수정 아이콘
qcy 찬양합니다...
마스터충달
25/04/27 15: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들어보면 별것 없습니다. 바로 "이걸 왜 이 가격에?"라는 말이 육성으로 튀어나옵니다.

근데 다시 qcy를 끼는 순간 귀가 썩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소위 역체감이 쩔죠.

그렇게 AV에 발을 들이게 되고,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면서 저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습니다.

"40점에서 60점짜리로 이동하는 데는 10만원이면 된다. 60점에서 70점이 되려면 3~40만원이 더 필요하다. 70점에서 80점이 되려면 100만 원 이상 깨진다. 80점에서 90점이 되려면 3~4백만 원이 필요하다. 90점에서 93점은 500만원 넘게 필요하고, 93에서 95점은 천만원 이상 필요하며, 95점 이후부터는 차값이더라."
닉네임을바꾸다
25/04/27 15:29
수정 아이콘
그건 거의 모든거에 해당되기도...
마스터충달
25/04/27 15:32
수정 아이콘
그쵸. 크크크. 자전거만 해도 무게 줄어드는 게 처음에는 2~30만 원만 더 써도 10kg 넘게 줄일 수 있는데, 비용이 올라가면 1kg 줄이겠다고 수백, 수천만 원을 써야 하니...

그래서 결론은 자전거 비싼 거 살 생각 하지 말고 살을 빼라!
RED eTap AXS
25/04/27 18:51
수정 아이콘
살을 못 빼니까 비싼 자전거를 사는 겁니다!
시드라
25/04/27 22:20
수정 아이콘
그런 사람을 위한 위고-비
25/04/27 15:31
수정 아이콘
모든 공산품이 다그렇죠.. 자전거 무게줄이기도 그렇고..
불순물없는 광물이나 화합물도
순도99퍼 99.9퍼 99.99퍼 99.999퍼... 갈수록 가격이 미친듯이 뛰어오르는..
구라리오
25/04/27 15:3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된 이상 한방에 하이엔드급으로 간다.
마스터충달
25/04/27 15:34
수정 아이콘
AV에 수십억을 쓴 어떤 분은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스피커에 수십억 쓰는 것보다 콘서트 가는 게 더 싸더라. 미국에서 공연하는 거 보러 가봤자 몇 백만 원밖에 안 듬. 개이득."
No.99 AaronJudge
25/04/27 15:36
수정 아이콘
크크크 수능이랑 비슷하네요
나른한우주인
25/04/27 17:44
수정 아이콘
어차피 듣는건 음악이지 이어폰이 아닙니다.
성향만 맞으면 저가로도 비싼기기 싸다구 때릴 수 있어요.
강날두
25/04/28 15:16
수정 아이콘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듣자마자 우와 하는 오디오들도 많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경제사정에 맞춰 듣다보니 못들어보는 것일 뿐
25/04/27 15: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비슷한 라인에 ze8000 mk2 쓰는데 음.. 이건 구립니다. 역체감이거 뭐고 구립니다 휵시 저정도 금액에서 고민중인 분들은 꼭 피허시길 빕니다. 파이널이 왜 이런짓을 했는지 이해가 안됩니더 크크 귾김도 ldac 아니먄 소소하고 저도 유선도 운용하지만 실외는 무조건 무선 씁니다 어릴때 어떨게 씨디피며 엠피쓰리 썻는지 머르겟습니다..
김삼관
25/04/27 16:15
수정 아이콘
boss 울트라 어쩌고 무선 헤드폰 살까 고민중인데 너무 비싼걸까요 
스웨이드
25/04/27 16:28
수정 아이콘
무선은 그냥 적당히 가성비좋은거 쓰시면됩니다 아직은 뭘해도 유선 못따라와요
25/04/28 03:26
수정 아이콘
그게 유선도 근래 많이 발전했고 무엇보다 유선 가성비 제품이 많이 나와서 그런데
본문에 나온 무선 제품이면 예전 유선 30만원대 까지는 따라왔습니다.
조금 더 있으면 구 유선 3대장도 가시권일거 같고요.
JAZZMANIA
25/04/27 16:29
수정 아이콘
오직 음질만 이라면 헤드폰으로 그것도 유선 헤드폰으로 가시는게 가성비입니다!
랜슬롯
25/04/27 16:33
수정 아이콘
실제로 사용해보면 체감 꽤 되는편이긴합니다. (청음샵에서 테스트 해봄 + 유선 고가 이어폰 보유자)

다만, 무선 이어폰이란게 배터리가 결국 소모품이라... 기간을 생각했을때 가치가 있을지는 좀 고민좀 해봐야합니다.
가스트락스
25/04/27 16:45
수정 아이콘
그냥 귀라는 기관이 DR도 낮고 심리 영향도 많이 받는 감각기관이라
에어팟 프로 정도면 연결성도 좋고 제 기준 소리도 좋아서 그것만 사용합니다
25/04/28 03:26
수정 아이콘
에어팟 프로 소리는 정말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영양만점치킨
25/04/27 16:52
수정 아이콘
버즈3 개판이라 교체 두 번하고 포기했습니다. 그래서 qcy 오픈형 샀습니다.
에우도시우스
25/04/27 16:57
수정 아이콘
소니꺼 30쯤 주고 사서 3년 반 정도 쓰고있네요. 음질도 좋아지긴 했는데 노캔이 특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다시마두장
25/04/27 17:40
수정 아이콘
무선이어폰은 어차피 태생적 한계가 있는데 그 돈을 써야하나 + 어차피 소형 배터리 들어가는 소모품 이라는 생각에 더 돈을 안 쓰게 되더라구요.
록타이트
25/04/27 17:57
수정 아이콘
평판형 유선에 블루투스 리시버만 따로 사서 물리니 가성비 좋더라고요. 
다람쥐룰루
25/04/27 18:16
수정 아이콘
음감용으로는 유선...씁니다 애초에 저전력 고음질이라는게 양립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LuckyVicky
25/04/27 18:36
수정 아이콘
B&W 보는 순간 가격부터 궁금해졌습니다
25/04/27 19:02
수정 아이콘
60만원 초반부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이쥴레이
25/04/27 23:38
수정 아이콘
스피커도 파고 들면. 흑흑..
25/04/28 03: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것들 보다 더 고음질 제품들도 있습니다
노블 포커스 프레스티지 같은게 더 윗급입니다.
가격은 본문에 나온 제품들 2배 정도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5636 [기타] 옳게 된 공개 처형 [16] 밥과글12144 25/05/24 12144
515635 [유머] 이젠 해외에서 함부로 입털면 안되는 세상이 되었네요... [42] 김아무개13183 25/05/24 13183
515634 [기타] 한적한 동네상권 특징 [17] Lord Be Goja11306 25/05/24 11306
515633 [LOL] 하.... 승상 이게 어려워요? [23] roqur8891 25/05/24 8891
515632 [유머] 고양이가 사라진 마라도에 새로 들어온 외래종 [9] kapH10257 25/05/24 10257
515631 [게임] '울라리' 파생 밈 [35] K-DD10732 25/05/24 10732
515630 [유머] 운전 베테랑도 절대 참을 수 없는 것 [24] 한화생명우승하자11685 25/05/24 11685
515629 [스포츠] 윤석민이 선수시절 선동열 때문에 울었던 사연.jpg [10] insane9481 25/05/24 9481
515628 [기타] 리오토 7인승 MPV 시승영상 feat.자율운전 [8] ZAKU9598 25/05/24 9598
515627 [기타] 가능할 지 궁금한 한옥아파트 컨셉트 이미지 [44] a-ha10772 25/05/24 10772
515626 [기타] 백종원의 홍보 스킬 [42] lasd24112493 25/05/24 12493
515625 [음식] 저가위스키+미원 [8] 로켓9342 25/05/24 9342
515623 [유머] 군인 실명 사건은 보훈처도 억울한 부분이.. [53] 밥과글12007 25/05/24 12007
515622 [게임] 창세기전만 몇년 울궈먹는 줄 알았다.. [48] 지수8795 25/05/24 8795
515621 [유머] ???: 지금 미국 달러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구요? [12] 길갈13151 25/05/24 13151
515620 [기타] 의사쌤이 외면 하는 말 [15] 카미트리아11661 25/05/24 11661
515619 [기타] 군 복무 중 한쪽 눈이 실명된 남성 [21] 럭키비키잖앙10264 25/05/24 10264
515618 [서브컬쳐] 왠지 들리면 팔을 뒤로하고 뛰어야 할 것 같은 애니송 [10] 투투피치8681 25/05/24 8681
515617 [음식] 오늘의 면식 순두부라면 - 대실패.jpg [16] Thirsha9860 25/05/24 9860
515616 [게임] (약후?) 로스트아크 에키드나 중국 트레일러 [6] 묻고 더블로 가!9288 25/05/23 9288
515615 [유머] 제로음료의 진실과 거짓 [63] 퍼블레인12739 25/05/23 12739
515614 [기타] 트럼프, 6월 1일부터 EU에 일률적으로 50% 관세 부과할 것 [60] 크레토스12171 25/05/23 12171
515613 [유머] 장사 안될때 손님 소환술 [34] Croove13613 25/05/23 136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