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4/22 10:16:29
Name EnergyFlow
File #1 123123312123123231123.png (28.4 KB), Download : 346
File #2 124124123123123123.png (70.1 KB), Download : 344
출처 인터넷
Subject [유머] 국립국어원의 공식 표기 지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지켜지지 않는 외국어





사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대미지가 맞는 표기이긴 한데 왠지 모르게 데미지가 맞는거같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2 10:18
수정 아이콘
어허 "대매지"란 말이다 (아님)
고등어자반
25/04/22 10:19
수정 아이콘
어허, "도모지"란 말이다. (아님)
25/04/22 10:18
수정 아이콘
내비게이션도 비슷하죠. 사실상 현대 한국어에서 'ㅔ'와 'ㅐ'의 발음 구분이 없어졌기 때문이기도 하고
25/04/22 10:19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말이라는 게 그 당시에 사람들이 어떻게 쓰냐가 우선인거지.
국립국어원이 쓰란다고 그게 무조건 맞는 지는 모르겠어요.
그놈의 바라 바래 문제도 그렇고요.
25/04/22 10:40
수정 아이콘
그 안에도 체계라는 게 있어야 하니까요. 사람들이 많이 쓰는 게 무조건 우선이면 사전도 필요 없잖아요.
인민 프로듀서
25/04/22 10:49
수정 아이콘
바라 바래는 어간 및 활용에 따른 문제라서 문법적으로 명백하게 잘못된 표현입니다.
발음 및 표기법 문제와는 달라요.
실제상황입니다
25/04/22 1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인의 인식체계 내에는 바래다라는 기본형 단어가 하나 더 있다고 봐야죠 사실상.
그런데 실은 이걸로도 쉽게 설명이 안 되는 게...
일상언어로 바래 대신 바라라고 쓰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내일 시험 꼭 잘 치길 바라!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 저는 한 번도 못 봤습니다.
그렇다고 바라다라는 단어를 안 쓰는 것도 아니고 확실히 좀 예외적이긴 합니다.
또 그렇다고 아무튼 바라다가 표준적으로 인정되는 기본형 단어니까
바래는 틀렸고 바라만 맞다고 하기에는
아무리 내적 체계를 존중하더라도 에지간히 안 써야 말이죠.
일상언어를 이론에 진짜 어거지로 갖다끼우는 수준입니다.
국어라는 게 원래 어느 정도 그런 거긴 하겠지만 이건 좀 도가 지나친 경우죠.
기무라탈리야
25/04/22 11:00
수정 아이콘
예전에 무도 일찍 와주길 바래를 딱 한번 일찍 와주길 바라 라고 읽은 적이 있는데(성우 나레이션) 겁나 어색하더라고요 크크

막판에는 바라 라고 쓰고 바래 라고 읽기로 정착된 걸로 기억합니다
시린비
25/04/22 11:03
수정 아이콘
전 제가 써봐서 저를 봤습니다! 는 뭐 쓰면 약간 이상하게 볼까봐 이젠 잘 안쓰긴 합니다 사실 쓸 일도 잘 없고
25/04/22 11:19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는 맞게 쓰는 사람 꽤 있습니다. 사실 익숙함의 문제일 뿐이죠.
25/04/22 14:05
수정 아이콘
저는 '바라'라고 쓰는 사람을 종종 보는데 호감을 느낍니다. 노래 가사에도 그렇고요.
25/04/22 14:08
수정 아이콘
저는 바라는 도저히 적응이 안되더라고요
김성수
25/04/22 11:03
수정 아이콘
문법적으로 명백히 잘못되더라도 틀리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편이고, 맞춤법이 망가진 사람들에게 불호 감정이 전혀 없고 오히려 사람이 대화를 시도한다는 것 자체에 긍정적인 에너지를 느끼는 편이라.. 전형적인 한국어 파괴자 타입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틀린 건 틀린 거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평소에 맞춤법에 엄격하다가 바라에 돌아서는 분들 보면 제가 오히려 리버스가 되서 뭔가 오묘한 감정이 듭니다. 크크
이카리 신지
25/04/22 11:17
수정 아이콘
ㅏ를 ㅐ로 발음하는 명백한 서울 사투리이죠. [애]기, 같[애], [챔]기름 등...
人在江湖身不由己
25/04/22 16:17
수정 아이콘
앰지
마일스데이비스
25/04/22 21:12
수정 아이콘
근데 애기라고 쓴다고 발작하는 사람은 없지만 바래라고 쓰면 발작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5/04/22 11:39
수정 아이콘
닭볶음탕!
25/04/22 12:19
수정 아이콘
네가 내가를 구분 못한다고 해서 네가를 다 너가 니가로 바꿀 수 없는 것과 같죠
Primavera
25/04/22 12:49
수정 아이콘
[하다 - 해] 를 고려하면
[바라다 - 바래] 의 경우도 걍 예외처리 해버리면 안될까 싶은데..
이카리 신지
25/04/22 14:16
수정 아이콘
[해]는 예외가 아니라 [하여]의 준말입니다. [바라여]란 말이 없으니 [바래]는 불가능
Primavera
25/04/22 15:23
수정 아이콘
하여 자체가 예외잖아요. 
그리고 명령문으로 쓸때,
공부해 가 자연스럽고 공부하여는 안쓰는거 보면
뭔가 비슷한 매커니즘이 한국어화자사이에 공유되고 있는게 아닐까 싶음..
여기에있어
25/04/24 09:59
수정 아이콘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재밌네요. '가다'의 명령형 '가'이고, '사다'의 명령형은 '사'인데, '하다'의 명령형은 왜 '해'가 되었을까요.
시드라
25/04/22 12:58
수정 아이콘
제가 좀 시간 걸려서 바라는 습득했는데 남들이 바래 라고 써도 그래 라고 생각합니다 크크
키르히아이스
25/04/22 12:59
수정 아이콘
국립국어원이 문제가 많긴 하지만
없으면 영어처럼 중구난방이 되겠죠..
덴드로븀
25/04/22 10:19
수정 아이콘
자매품

매뉴얼 / 메뉴얼
팰리세이드 / 펠리세이드
배터리 / 베터리
내고 / 네고
25/04/22 11:07
수정 아이콘
오 배터리는 거의 배로 쓰는듯요
25/04/22 11:43
수정 아이콘
헐 네고 아니었나요
덴드로븀
25/04/22 11:46
수정 아이콘
그냥 나열한건데 써놓고 보니 내고가 맞는것처럼 느껴지네요 크크

[네고]가 맞습니다.
20060828
25/04/22 12:26
수정 아이콘
내비/네비
한화우승조국통일
25/04/22 10:19
수정 아이콘
맞춤법 검사 돌리면 빨간줄 떠서 '대미지'로 씁니다...
25/04/22 10:22
수정 아이콘
大美地
25/04/22 10:23
수정 아이콘
데미지는 약간 뾰족해서 아픈 느낌이고, 대미지는 둔탁해서 덜아픈 느낌이죠 (...)
無欲則剛
25/04/22 11:10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전 정반대로 느껴지는데....
엔타이어
25/04/22 10:28
수정 아이콘
대미지가 맞는거였다니.... 대미지로 쓰다가 남들이 다 데미지라고 해서 데미지로 바꿧는데...
Winter_SkaDi
25/04/22 10:29
수정 아이콘
저도 찾아보고 나서부터는 대미지라고 적습니다. 근데 아무리 생각해도 데미지인데...크크크
글쓴이
25/04/22 10:33
수정 아이콘
다 맞다 해줘
25/04/22 10:34
수정 아이콘
컨텐츠라고 쓰면 안되고 콘텐츠라고 쓰라고 하더라고요.
싫은데?
냠냠펀치
25/04/22 10:38
수정 아이콘
자매품 레인보 윈도 섀도..
한때잘나간직장인
25/04/22 10:42
수정 아이콘
빅 대미지 - '대'미지 라는 표현을 생각하면서 익혔죠
無欲則剛
25/04/22 10:43
수정 아이콘
다메지는 다메지?
25/04/22 10:44
수정 아이콘
데미지가 아니면 무슨맛이야
복타르
25/04/22 10:45
수정 아이콘
닭도리탕이나 돌려줘요
두드리짱
25/04/22 10:45
수정 아이콘
걍 ㅔㅐ 통일해줘!
25/04/22 10:46
수정 아이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은 영어계 외래어에 가급적 ㅔ를 쓰고 싶어하는 이상한 습성이 있지요.
하지만 이건 애초에 발음기호가 [æ]라서 비교적 알기 쉬운 건이라 생각합니다.
Pygmalion
25/04/22 12:35
수정 아이콘
꼭 그런 것도 아닌 게 [페]널티를 [패]널티로 표기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요즘은 오히려 페보다 패가 더 많이 보입니다. pgr에서도 꽤 많이 봤구요.
25/04/22 13:17
수정 아이콘
오 그러네요. 좋은 반례 감사합니다.
쵸젠뇽밍
25/04/22 10:47
수정 아이콘
ㅔ로 바꾸는 게 좋을 것 같은데.
단순히 사람들이 많이 쓴다를 넘어서 식별하기가 더 좋습니다. 외래어 표기법 자체를 바꿔서 비슷한 사례들 다 ㅔ로 하는 게 좋아보여요.
25/04/22 10:50
수정 아이콘
식별이라는 게 어떤 걸 말씀하시는 건가요?
쵸젠뇽밍
25/04/22 12:51
수정 아이콘
외래어 같은 단어로 식별이 쉽다는 의미였는데, 댓글 우수수 달린 걸 보니 제 생각이 짧았던 것 같습니다.
기무라탈리야
25/04/22 11:01
수정 아이콘
사과는 에플
25/04/22 11:10
수정 아이콘
해석 좀...
25/04/22 12:21
수정 아이콘
스텐펜
스토리북
25/04/22 10:49
수정 아이콘
대미지는 왠지 한국어 같은 느낌적인 느낌 크크
동굴범
25/04/22 18:32
수정 아이콘
저도ㅐ를 쓰는 것보다 ㅔ를 쓰면 좀 더 영어스러운 너낌이 나서 다들 그렇게 하는 걸로 추측합니다. 아마도..
25/04/22 10:49
수정 아이콘
大米地
25/04/22 10:49
수정 아이콘
는 미국(?)
썬콜and아델
25/04/22 13:2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인민 프로듀서
25/04/22 10:51
수정 아이콘
스티브 내시, 자말 머리, 닉 너스, 클레이 톰프슨

최소한 기자들은 표기법에 맞춰야 하는데, 이것도 다 잘못된 표기로 쓰더군요.

왜 앤디는 머리고 자말은 머레이야...
無欲則剛
25/04/22 10:56
수정 아이콘
앤디는 머리가 맞아요.
https://youtu.be/Qwh9k2K5vDQ
인민 프로듀서
25/04/22 11:03
수정 아이콘
맞아요. 그러니까 자말도 자말 머리가 맞는데, 기자들도 자말 머레이라고 쓰더라구요.
無欲則剛
25/04/22 11:09
수정 아이콘
앤디도 초창기엔 머레이라고 했다고 언제부턴가 머뤼라는 지적글이 돌다가 정착이 된걸로 기억합니다.
자말도 언젠간 그렇게 될라나요? 아니면 북미라 애초에 다른건가?
척척석사
25/04/22 10:57
수정 아이콘
표기법 준수에 인생을 건 강따이호우 기자가 생각나는데 그렇게 보면 제발 잘못써줘 싶기도

주니오르 두스 산투스
비토르 베우포르트
파브리시우 베르둥
엘제나로
25/04/22 11:40
수정 아이콘
야이르 유리엔스 자이어 저젠스
죠리스 차신 줄리스 차신 율리스 샤신 쥴리스 챠신
동굴곰
25/04/22 10:51
수정 아이콘
하지만 평댐, 지속댐, 독댐은 이상한걸요
평뎀, 지속뎀, 독뎀
Jon Snow
25/04/22 10:55
수정 아이콘
대미소다?
25/04/22 10:59
수정 아이콘
갓댐은 그럼?!!
25/04/22 11:04
수정 아이콘
댐지 뎀지
기무라탈리야
25/04/22 11:05
수정 아이콘
저는 처음 본 게 대미지 였던 걸로 기억해서 (아마도 영웅전설 1)

대미지로 쓰는 편인데 가끔 다른 사람들에 휩쓸려서 데미지로 쓰기도 합니다 크크
15년째도피중
25/04/22 11:06
수정 아이콘
아 제 블로그 와서 모든 외래어 표기를 정정해 주겠다면서 글마다 외래어 수정 펀치 날리던 어떤 사람이 생각나네요. 딱 저런 것들이긴 했어요.
차라리 글에 대한 어떤 소감이라도 남겨주고 말하면 모르겠는데, 와서 딱 외래어 수정 펀치만 날리고 감. 크크
25/04/22 11:07
수정 아이콘
90년대 즈음에 [데미지]라고 꽤 유명한 영화가 있었습니다. 야한거 생각하고 보면 실망할 영화인데 그런쪽으로 유명했죠..
25/04/22 11:09
수정 아이콘
과거 서울방언이라도 통용되던 표현들은 폭넓게
표준어로 받아주면서 일상화된 몇몇 표현은
절대 인정안하는게 일관성이 없죠.
25/04/22 11:10
수정 아이콘
다마게
25/04/22 11:10
수정 아이콘
대미지 너무 한자어 같은데
25/04/22 11:14
수정 아이콘
이건 디아블로2 때문 아닌가요? 무기 증뎀 300%, 오라 뎀감 -25%. 너무 많이 썼어서...
Zakk WyldE
25/04/22 11:14
수정 아이콘
내비 이것도 다들 네비라고 쓰죠
25/04/22 11:17
수정 아이콘
a는 ㅐ 이고 e는 ㅔ죠.
이른취침
25/04/22 18:39
수정 아이콘
NAVER 내이버
전기쥐
25/04/22 11:18
수정 아이콘
대미지라고 쓰니까 뭔가 어색하네요
메존일각
25/04/22 11:18
수정 아이콘
전 한 번도 데미지라고 적어본 적이 없네요.
25/04/22 11:25
수정 아이콘
ㅔ와 ㅐ의 음가가 무너졌는데, 정서법이라는게 음운과는 별도로 존재하는게 언어라지만 (당장 영어만 봐도...), ㅔ와 ㅐ를 구분해서 적으라는 것 자체가 모순 같기도 하고요...
마일스데이비스
25/04/22 21:14
수정 아이콘
개랑 게도 나눠서 적으니까 딱히 모순될 건 없죠
김삼관
25/04/22 11:27
수정 아이콘
데미지로 합시다 그냥 자장면 같네요
마음속의빛
25/04/22 11:32
수정 아이콘
저는 평소 대미지라고 썼는데 누군가가 저에게 데미지가 맞다고 시비를 걸어서
다투지 않으려고 데미지라 쓴 경험이 있네요.
다람쥐룰루
25/04/22 11:42
수정 아이콘
외국어표기법까지 완벽하게 맞춰서 써야하는 공식 문서를 쓰게된다면 그땐 대미지로 적겠습니다만 평소에는 제가 편한대로 쓰겠습니다.
그리고 짧게 줄여서 뎀 으로 적는경우가 있는데 이때 1댐 2댐 이렇게 적으면 뭔가 이상하더군요
싸우지마세요
25/04/22 11:42
수정 아이콘
갑자기 god damn은 갓 뎀인지 갓 댐인지 궁금해졌네요
To_heart
25/04/22 13:36
수정 아이콘
갓 때윰
25/04/22 11:56
수정 아이콘
[다마게]
R.Oswalt
25/04/22 12:46
수정 아이콘
대미지보단 데미지가 더 세보이니까!
이부키
25/04/22 13:07
수정 아이콘
현재 표준어 자체가 예외가 많습니다. 그 예외라는게 대중들이 규칙 무시하고 편한 대로 또는 좋아하는 대로 말하는 것들을 표준어로 인정해준 것들이 많죠.
화씨100도
25/04/22 13:32
수정 아이콘
Dam이 age를 먹어서 금이 갔다면 Damage를 입었다고 해 보죠.
모링가
25/04/22 13:34
수정 아이콘
근본도 없는 맑스도 막스로 변경좀..
이른취침
25/04/22 13:34
수정 아이콘
닭도리탕부터 좀…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4/22 13:57
수정 아이콘
컬래버 극혐
25/04/22 14:05
수정 아이콘
컨셉 -> 콘셉트
세인트루이스
25/04/22 14:14
수정 아이콘
네이버
하아아아암
25/04/22 14:16
수정 아이콘
한자로도 많이쓰는 "대"자는 영어가 아닌 느낌이에요
25/04/22 14:17
수정 아이콘
시간이 지나면 많은 사람들이 쓰는게 문법으로 채택되겠지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씁니다
25/04/22 14:33
수정 아이콘
오우싯 댓데미지
안철수
25/04/22 14:38
수정 아이콘
요즘 초등학교 국어시간에 ㅔ ㅐ 구별해서 발음하는거 안가르치나요? 
카마인
25/04/22 17:39
수정 아이콘
크고 아름다운 대 미 지!!
뎀으로 줄이는 게 더 익숙해보여서 그런듯
성배hollyship
25/04/22 17:59
수정 아이콘
스펠링 알고있으면 ㅐ와ㅔ 구분 쉬울텐데요. 
25/04/22 18:45
수정 아이콘
스펠링 알면 어떻게 구분하나요?
성배hollyship
25/04/22 20:23
수정 아이콘
sp‘e’lling 스‘펠’링.  d’a’mage ‘대’미지 처럼 구분되죠. 
25/04/22 21:16
수정 아이콘
cake aging tape sage
다 표기법 상으로도 ㅔ일텐데
스펠링 a랑 e로는 구분 못하지 않나요?
성배hollyship
25/04/23 02:49
수정 아이콘
읍니다 틀리고 습니다 맞다는 애들이니까요. 
25/04/22 18:36
수정 아이콘
Orange:???
25/04/22 23:33
수정 아이콘
어린쥐
25/04/22 18:39
수정 아이콘
웨건이랑 데미지는 너무 뇌리에 박혀있어서
가스트락스
25/04/23 09:21
수정 아이콘
일본어 또 네이놈이냐?

하지만 일본어는 [다메-지] 
여덟글자뭘로하지
25/04/23 13:41
수정 아이콘
전 바라/바래, 데미지/대미지 다 이해할 수 있는데
Tutorial을 듀토리얼 이라고 쓰는 사람을 진심으로 이해 할 수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5157 [유머] 이번에 새로 선출된 교황 레오 14세의 비밀(?)... [19] a-ha8338 25/05/09 8338
515153 [유머] 주 100시간씩 일해도 행복하다는 엔비디아 직원들. [25] 캬라8735 25/05/09 8735
515152 [유머] 이 악물고 웃는다는 말 그 자체 [16] 김아무개9588 25/05/09 9588
515151 [유머] 물린 후의 변화 [9] 김아무개7672 25/05/09 7672
515150 [유머] 교황이 되지 못해 아쉬워하는 추기경들 [23] Davi4ever10181 25/05/09 10181
515149 [유머] 스카이넷이 습격할때 필살기.jpg [8] 김아무개7349 25/05/09 7349
515148 [유머] "잠시 후 좌회전입니다" [16] 길갈10959 25/05/08 10959
515142 [유머] 웃고리즘 햄버거 먹방 [2] Croove4685 25/05/08 4685
515140 [유머] ??? : 우리는 인도-파키스탄 양측을 모두 도울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19] 캬라7171 25/05/08 7171
515139 [유머] 어떤 독일인의 한글 문신... [8] a-ha6882 25/05/08 6882
515136 [유머] 아빠가 88년생이라 연세가 많으신데 [61] VictoryFood11762 25/05/08 11762
515135 [유머] 섹드립 치면 음란물 유포죄로 잡아가는 나라 [52] 깃털달린뱀11322 25/05/08 11322
515133 [유머] SKT가 국회에서 의원들에게 배포한 위약금 면제 의견서 [68] EnergyFlow10373 25/05/08 10373
515127 [유머] 의외로 추기경들도 잘 몰라서 공부하고 있는 것 [30] EnergyFlow8435 25/05/08 8435
515126 [유머] 고인물 세계대회 근황 [3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182 25/05/08 11182
515125 [유머] 일본여자와 결혼했는데 장인이 혐한발언해서 이혼했습니다 [26] 나미르13071 25/05/08 13071
515124 [유머] 새 교황 선출 투표 근황 [42] VictoryFood11663 25/05/08 11663
515123 [유머] 박대리, 이거 번역 어디에 맡긴 거에요? [11] a-ha10476 25/05/07 10476
515120 [유머] 미국의 타이무 스토뿌 DogSound-_-*4373 25/05/07 4373
515118 [유머] 유재석의 방송중 최고의 실수 [20] DogSound-_-*8663 25/05/07 8663
515115 [유머] 최태원 “SKT 위약금 면제, 형평성·법적 검토해야... 이사회 논의 [38] 나미르7294 25/05/07 7294
515113 [유머] 태극기 티셔츠를 입고 현 정권은 나가라고 시위하는 청년 [8] 김유라7588 25/05/07 7588
515112 [유머] 봄철 문구점 사무용품 영혼의 라이벌.txt [40] Croove8194 25/05/07 81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